채소(菜部)

내복(萊?, 무)

한닥터 2011.11.04 조회 수 845 추천 수 0
◈ 萊? ○ 댄무우性溫(一云冷一云平)味辛甘無毒消食去痰癖止消渴利關節練五藏惡氣治肺?吐血勞瘦咳嗽 ○ 處處種之常食之菜也此物下氣最速久服澁榮衛令鬚髮早白 ○ 俗名蘿?亦曰蘆?以能制來??毒故亦名萊?[本草]

☞ 내복(萊?, 무) ○ 성질이 따뜻하고[溫](차다[冷]고도 하고 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매우면서 달고[辛甘] 독이 없다. 음식을 소화시키고 담벽(痰癖)을 헤치며 소갈을 멎게 하고 뼈마디를 잘 놀릴 수 있게 한다. 5장에 있는 나쁜 기운을 씻어 내고 폐위(肺?)로 피를 토하는 것과 허로로 여윈 것,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 아무 곳에나 심는데 늘 먹는 채소이다. 무가 기를 내리는 데서는 제일 빠르다. 오랫동안 먹으면 영(榮), 위(衛)가 잘 돌지 못하게 되고 수염과 머리털이 빨리 희어진다. ○ 민간에서는 나복(蘿?) 또는 노복(蘆?)이라고 한다. 메밀국수의 독[??毒]을 푼다. 일명 내복(萊?)이라고도 한다[본초]. 

◈ 子 ○ 治膨脹積聚利五藏及大小二便又硏末飮服吐風痰甚效 ○ ?子黑蔓菁子紫赤大小相似惟蘿?子黃赤色大數倍復不圓也[本草]

☞ 내복자(萊?子, 무씨) ○ 배가 팽팽하게 불러 오르는 것과 적취를 치료하는데 5장을 고르게 하고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한다. 또한 가루내어 미음에 타서 먹으면 풍담(風痰)을 토하게 되는데 효과가 아주 좋다. ○ 배추씨(?子)는 거멓고 순무씨는 자줏빛이 나면서 붉은데 크기는 비슷하다. 그러나 무씨는 누러면서 벌건 빛이 나고 배추씨보다 몇 배나 크며 둥글지 않다[본초].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단방정리 나복(蘿蔔, 무)나복근(蘿蔔根, 무우) 나복즙(蘿?汁, 무즙)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동기가 오른쪽에 있는 것[動氣在右] 413
[옹저(癰疽)] 약쑥뜸을 떠서 치료한 경험[艾灸治驗] 413
[잡방(雜方)] 계명주(鷄鳴酒) 413
[잡방(雜方)] 옥용고(玉容膏) 413
[풀(草部)] 난초(蘭草) 412
[눈(眼)] 혈관동인(血灌瞳人) 412
[진맥(診脈)] 남정과 북정의맥[南北政脈] 412
[기침(咳嗽)] 천식이나 기침 때에는 한증과 열증을 갈라야 한다[喘嗽宜辨寒熱] 412
[흙(土部)] 단철조중회 412
[제창(諸瘡)] 월식창(月蝕瘡) 411
[잡방(雜方)] 구기자주(枸杞子酒) 411
[제창(諸瘡)] 사전창(蛇纏瘡) 410
[해독(解毒)] 두부중독[豆腐毒] 410
[벌레(蟲部)] 누고(??, 도루래) 410
[풀(草部)] 산장(酸漿, 꽈리) 408
[눈(眼)] 눈에 피가 진 다음에 예막이 생긴 것[赤眼後生瞖] 408
[변증(辨證)] 모든 병은 아침에 경해졌다가 저녁에 중해진다[百病朝慧夕加] 407
[용약(用藥)] 병이 급할 때에는 표를 치료하고 완만할 때에는 본을 치료해야 한다[急則治標緩則治本] 407
[한(寒)] 상한 때의 제중증[傷寒除中證] 407
[해독(解毒)] 약을 지나치게 먹었거나 중독되어 안타깝게 답답하고 죽을 것같이 된 것[服藥過劑或中毒煩悶欲死] 407
[잡방(雜方)] 돌을 연해지게 하는 방법[爛石法] 407
[부인(婦人)] 해산 전의 여러 가지 증[産前諸證] 407
[소아(小兒)] 두, 반, 진 3가지 증은 주로 태독이 원인으로 된다[痘?疹三證專由胎毒] 407
[벌레(蟲部)] 사태(蛇?, 뱀허물) 407
[천지운기(天地運氣)] 4철의 기후[四時氣候] 406
[제상(諸傷)] 납거미한테 물린 것[壁鏡傷] 406
[벌레(蟲部)] 의어(衣魚, 옷좀) 406
[풀(草部)] 백호(白蒿, 다북떡쑥) 405
[침구(針灸)] 족태음비경의 순행[足太陰脾經流注] 405
[변증(辨證)] 음식을 먹는 것과 먹지 못하는 것[能食不能食]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