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菜部)

사과(絲瓜, 수세미)

한닥터 2011.11.04 조회 수 854 추천 수 0
◈ 絲瓜 ○ 수세외性冷解毒治一切惡瘡小兒痘疹幷乳疽丁瘡脚癰 ○ 霜後取老絲瓜連皮根子全者燒存性爲末蜜湯調下二三錢則腫消毒散不致內攻[入門] ○ 一名天蘿一名天絡絲葉名虞刺葉[正傳] ○ 嫩者煮熟薑醋食之枯者去皮及子用?滌器[食物] ○ 自中原得子移種形如胡瓜極長大[俗方]

☞ 사과(絲瓜, 수세미) ○ 성질이 찬데[冷] 독을 푼다. 모든 악창과 어린이의 마마[痘疹], 유저(乳疽), 정창(丁瘡), 각옹(脚癰)을 치료한다. ○ 서리가 내린 뒤에 늙은 수세미오이를 껍질, 뿌리, 씨까지 온전한 것으로 약성이 남게 태워서 가루내어 4-12g을 꿀물에 타 먹으면 헌데가 삭으면서 독이 헤쳐져 속으로 들어가지 못한다[입문]. ○ 일명 천라(天蘿)라고도 하고 천락사(天絡絲)라고도 한다. 이것의 잎을 보고는 우자엽(虞刺葉)이라고 한다[정전]. ○ 어린것은 삶아 익혀서 생강과 식초로 양념하여 먹고 마른 것은 껍질과 씨를 버리고 그 속으로 그릇을 씻는다[식물]. ○ 중국에서 씨를 가져다가 심은 것인데 생김새는 오이 같으나 매우 길고 크다[속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혈(血)] 9규에서 피가 나오는 것[九竅出血] 1038
[전음(前陰)] 음낭이 축축하고 가려운 것[陰囊濕痒] 1038
[폐장(肺臟)] 폐병의 허증과 실증[肺病虛實] 1040
[허리(腰)] 찬 기운으로 허리가 아픈 것[寒腰痛] 1040
[골(骨)] 뼈가 아픈 것[骨痛] 1040
[서(暑)] 중갈과 중열의 감별[中?中熱之辨] 1040
[습(濕)] 습온(濕溫) 1040
[물(水部)] 생숙탕(生熟湯, 끓는 물에 찬 물을 탄 것을 말한다.) 1040
[허로(虛勞)] 비가 허한 데 쓰는 약[脾虛藥] 1041
[소갈(消渴)] 소갈 때에는 반드시 옹저가 생기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消渴須預防癰疽] 1041
[진액(津液)] 땀을 멈추는 방법[止汗法] 1044
[곽란(?亂)] 곽란을 앓은 뒤에 힘줄이 뒤틀리는 것[?亂後轉筋] 1045
[오줌(小便)] 관격증(關格證) 1046
[오장육부(五臟六腑)] 부(腑)에는 6가지가 있다[腑又有六] 1047
[옹저(癰疽)] 옹저에 약을 뿌리고 붙이는 방법[癰疽?貼法] 1048
[코(鼻)] 비사(鼻?) 1049
[서(暑)] 주하병(注夏病) 1050
[부인(婦人)] 혈붕(血崩) 1050
[꿈(夢)] 잠을 편안하게 자지 못하는 것[臥不安] 1051
[내상(內傷)] 내상때 조리하고 보하는 약[內傷調補藥] 1052
[정(精)] 맥 보는 법[脈法]/정 1053
[간장(肝臟)] 간의 위치[肝部位] 1053
[담부(膽腑)] 담병을 치료하는 법[膽病治法] 1054
[오줌(小便)] 여러 가지 임병[諸淋證] 1054
[소아(小兒)] 숫구멍이 아물지 않는 것[解?] 1054
[맥(脈)] 27맥 상세설명 1055
[한(寒)] 감한과 4시상한[感寒及四時傷寒] 1055
[물고기(魚部)] 만려어(鰻?魚, 뱀장어) 1057
[정(精)] 단방(單方)/정 1059
[풀(草部)] 감초(甘草) 감초소(甘草梢, 감초초) 감초절(甘草節, 감초마디) 1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