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약(用藥)

소속을 찾아 치료하는 방법[求屬之法]

한닥터 2011.08.29 조회 수 397 추천 수 0
◎ 求屬之法 ○ 內經曰微者謂之其次平之盛者奪之汗之下之寒熱溫凉衰之以屬隨其攸利註曰假如小寒之氣溫以和之大寒之氣熱以取之甚寒之氣則下奪之奪之不已則逆折之折之不盡則求其屬以衰之小熱之氣凉以和之大熱之氣寒以取之甚熱之氣則汗發之發之不已則逆制之制之不盡則求其屬以衰之[東垣] ○ 求屬之法是同聲相應同氣相求經曰陷下者炙之夫衰熱之法同前所云火衰于戌金衰于辰之類是也[東垣]

☞ 소속을 찾아 치료하는 방법[求屬之法]

 ○ 『내경』에 "약[微]하면 조화시킨 다음 평형되게 하고 심[盛]하면 통하게 하거나 땀을 내거나 설사시켜야 한다. 찬가[寒], 더운가[熱], 따뜻한가[溫], 서늘한가[凉], 약한가[衰]에 따라 좋은 것을 택해야 한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 "가령 찬 기운이 약간 있으면 따뜻한 것으로 조화시키고 찬 기운이 심하면 더운 것으로 치료하며 찬 기운이 몹시 심하면 설사시켜서 없애 버려야 한다. 그래도 낫지 않으면 역치법[逆]으로 내리눌러야 한다. 내리눌러도 완전히 낫지 않으면 그 소속을 찾아 약해지게 해야 한다. 더운 기운이 약간 있으면 서늘한 것[凉]으로 조화시키고 더운 기운이 심하면 찬 것으로 치료하고 더운 기운이 몹시 심하면 땀을 내서 헤쳐지게[發表] 해야 한다. 그래도 낫지 않으면 역치법으로 억제해야 한다. 억제하여도 완전히 낫지 않으면 그 소속을 찾아 약해지게[衰] 해야 한다"고 씌어 있다[동원]. ○ 소속을 찾아 치료한다는 것은 같은 것끼리 서로 응(應)하게 한다는 말이다. 『내경』에 "처져 내려갔으면 뜸을 뜨라"고 씌어 있다. 열(熱)을 약해지게 한다는 것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화(火)는 술(戌)로 약해지게 하고 금(金)은 진(辰)으로 약해지게 한다는 것이다[동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짐승(獸部)] 낭육(狼肉, 이리고기) 405
[채소(菜部)] 순채(蓴菜) 405
[침구(針灸)] 족태음비경의 순행[足太陰脾經流注] 404
[용약(用藥)] 땀을 내거나 설사시킬 때 주의해야 할 점[汗下之戒] 404
[괴질(怪疾)] 몸이 번들번들해지는 것[身有光色] 404
[벌레(蟲部)] 와(?, 머구리) 404
[진맥(診脈)] 지대맥으로 죽는 시기를 알 수 있다[止代脈定死期] 403
[해독(解毒)] 버들옻중독[大戟毒] 403
[잡방(雜方)] 백화춘(白花春) 403
[천지운기(天地運氣)] 표와 본에 대하여[論標本] 402
[천지운기(天地運氣)] 사해년[巳亥之歲] 402
[용약(用藥)] 병을 치료할 때에는 먼저 병의 뿌리를 없애야 한다[治病先去根] 402
[소아(小兒)] 저절로 땀이 나는 것[自汗] 402
[한(寒)] 상한에 삼가하고 꺼려야 할 것[傷寒戒忌] 401
[해독(解毒)] 감수중독[甘遂毒] 401
[곡식(穀部)] 청과맥(靑顆麥, 쌀보리) 401
[벌레(蟲部)] 청령(??, 잠자리) 401
[진맥(診脈)] 잔적맥(殘賊脈) 400
[곡식(穀部)] 국(麴, 누룩) 400
[새(禽部)] 효목(?目, 올빼미눈알) 400
[눈(眼)] 흑예여주(黑瞖如珠) 399
[눈(眼)] 누정농출(漏睛膿出) 399
[내상(內傷)] 도인법(導引法) 399
[해독(解毒)] 채소중독[菜蔬毒] 399
[침구(針灸)] 침과 뜸에 견디지 못하는 것[不耐鍼灸] 398
[눈(眼)] 침예(沈瞖) 398
[이빨(牙齒)] 이빨병 때 꺼릴 것[齒病禁忌] 398
[잡방(雜方)] 젖을 햇볕에 말리는 방법[?乾人乳法] 398
[눈(眼)] 횡개예(橫開翳) 397
[눈(眼)] 눈병 때 치료하기 쉬운 것과 치료하기 어려운 것을 갈라본 것[眼病易治難治辨] 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