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영실(營實, 찔레나무열매) 영실근(營實根, 찔레나무뿌리)

한닥터 2011.11.15 조회 수 520 추천 수 0
◈ 營實 ○ 딜위여?性溫(一云微寒)味酸(一云苦)無毒主癰疽惡瘡敗瘡陰蝕不?頭瘡白禿 ○ 營實卽野薔薇子也莖間多刺蔓生子若杜棠子其花有五葉八出六出或赤或白處處有之以白花者爲良[本草] ○ 八九月採實漿水拌蒸?乾用[入門]

☞ 영실(營實, 찔레나무열매) ○ 성질은 따뜻하고[溫](약간 차다고도[微寒] 한다) 맛이 시며[酸](쓰다고도[苦] 한다) 독이 없다. 옹저, 악창, 패창(敗瘡), 음식창이 낫지 않는 것과 두창(頭瘡), 백독창(白禿瘡) 등에 쓴다. ○ 찔레나무열매는 즉 들장미의 열매(野薔薇子)이다. 줄기 사이에 가시가 많고 덩굴이 뻗으며 열매는 산사@)와 같고 꽃은 5잎이며 6-8개가 한데 나온다. 붉기도 하고 희기도 하며 어느 곳에나 다 있다. 흰 꽃이 피는 것이 좋다[본초]. ○ 음력 8월, 9월에 열매를 따서 신좁쌀죽웃물(漿水)에 버무려 쪄서 볕에 말려 쓴다[입문]. 

◈ 根 ○ 性冷味苦澁無毒治熱毒風癰疽惡瘡止赤白痢腸風瀉血小兒疳??痛[本草]

☞ 영실근(營實根, 찔레나무뿌리) ○ 성질은 차고[寒] 맛이 쓰며[苦] 떫고[澁] 독이 없다. 열독풍으로 옹저, 악창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또한 적백이질과 장풍(腸風)으로 피를 쏟는 것을 멎게 하고 어린이가 감충으로 배가 아파하는 것을 낫게 한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짐승(獸部)] 진육(震肉, 벼락맞아 죽은 짐승의 고기) 454
[물고기(魚部)] 물고기부[魚部] ○ 모두 53가지이다. 537
[물고기(魚部)] 이어담(鯉魚膽, 잉어쓸개) 1460
[물고기(魚部)] 즉어(?魚, 붕어) 768
[물고기(魚部)] 오적어골(烏賊魚骨, 오징어뼈) 700
[물고기(魚部)] 여어(?魚, 가물치) 638
[물고기(魚部)] 만려어(鰻?魚, 뱀장어) 1057
[물고기(魚部)] 교어피(鮫魚皮, 상어가죽) 683
[물고기(魚部)] 궐어(?魚, 쏘가리) 734
[물고기(魚部)] 청어(靑魚) 579
[물고기(魚部)] 석수어(石首魚, 조기) 675
[물고기(魚部)] 치어(?魚, 숭어) 571
[물고기(魚部)] 노어(?魚, 농어) 586
[물고기(魚部)] 점어(鮎魚, 메기) 690
[물고기(魚部)] 선어(?魚, 두렁허리) 815
[물고기(魚部)] 비목어(比目魚, 가자미) 827
[물고기(魚部)] 공어(?魚, 가오리) 609
[물고기(魚部)] 하돈(河?, 복어) 727
[물고기(魚部)] 구어(?魚, 대구) 527
[물고기(魚部)] 팔초어(八梢魚, 문어) 711
[물고기(魚部)] 소팔초어(小八梢魚, 낙지) 847
[물고기(魚部)] 송어(松魚) 618
[물고기(魚部)] 연어(?魚) 662
[물고기(魚部)] 백어(白魚, 뱅어) 532
[물고기(魚部)] 추어(鰍魚, 미꾸라지) 689
[물고기(魚部)] 황상어(黃?魚) 559
[물고기(魚部)] 후어(?魚) 524
[물고기(魚部)] 은조어(銀條魚, 도루묵) 563
[물고기(魚部)] 해돈(海?, 곱등어) 710
[물고기(魚部)] 회어(?魚, 민어) 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