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사상자(蛇床子, 뱀도랏열매)

한닥터 2011.11.15 조회 수 621 추천 수 0
◈ 蛇床子 ○ ?얌도랏?性平(一云溫)味苦辛甘無毒(一云小毒)主婦人陰中腫痛男子陰?濕痒溫中下氣令婦人子藏熱男子陰强浴男女陰去風冷大益陽事腰痛陰汗濕癬縮小便療赤白帶下 ○ 處處有之似小葉芎?花白子如黍粒黃白至輕虛生下濕地五月採實陰乾[本草] ○ 凡入丸散微炒?去皮殼取淨仁用之若作湯洗病則生使[入門]

☞ 사상자(蛇床子, 뱀도랏열매) ○ 성질은 평(平)하고(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은 쓰며[苦] 맵고[辛] 달며[甘] 독이 없다(조금 독이 있다고도 한다). 부인의 음부가 부어서 아픈 것과 남자의 음위증(陰?證), 사타구니가 축축하고 가려운 데 쓴다. 속을 덥히고 기를 내린다. 자궁을 덥게 하고 양기를 세게 한다. 남녀의 생식기를 씻으면 풍랭(風冷)을 없앤다. 성욕을 세게 하며 허리가 아픈 것, 사타구니에 땀이 나는 것, 진버짐이 생긴 것 등을 낫게 한다. 오줌이 많은 것을 줄이며 적백대하를 치료한다. ○ 어느 곳에나 다 있는데 작은 잎은 천궁@)와 비슷하며 꽃은 희고 열매는 기장쌀알(黍粒) 같으며 누르고 흰빛이며 가볍다. 습지대에서 나고 자란다. 음력 5월에 열매를 받아 그늘에서 말린다[본초]. ○ 알약, 가루약에 넣어 쓸 때 약간 볶은 다음 비벼서 껍질을 버리고 알맹이만 가려서 쓴다. 만일 달인 물로 환처를 씻으려면 생것을 그대로 쓴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제창(諸瘡)] 천행반창(天行斑瘡) 378
[잡방(雜方)] 반하국을 만드는 방법[造半夏麴法] 378
[풀(草部)] 패장(敗醬, 마타리) 377
[눈(眼)] 청풍(靑風) 377
[새(禽部)] 황갈후(黃褐侯 호도애) 377
[벌레(蟲部)] 수질(水蛭, 거머리) 377
[눈(眼)] 정예근심(釘瞖根深) 376
[변증(辨證)] 3가지 치료할 수 없는 것과 6가지 치료할 수 없는 것[三不治六不治] 376
[제창(諸瘡)] 과창(?瘡) 376
[소아(小兒)] 배가 불러 오르는 것[腹脹] 376
[풀(草部)] 홍남화(紅藍花, 잇꽃) 홍남묘(紅藍苗, 잇꽃싹) 홍남자(紅藍子, 잇꽃씨) 374
[해독(解毒)] 여러 가지 물고기나 게를 먹고 중독된 것[諸魚毒及蟹毒] 374
[침구(針灸)] 자오류주(子午流注) 373
[눈(眼)] 화예백함(花瞖白陷) 373
[제창(諸瘡)] 화반창(火斑瘡) 373
[나무[木部]] 구기자(枸杞子) 지골피(地骨皮) 373
[천지운기(天地運氣)] 6경년(六庚年)은 견성(堅成)의 해[六庚年堅成之紀] 372
[부인(婦人)] 그 달에 태살이 있는 곳[月遊胎殺所在] 372
[해독(解毒)] 여러 가지 새고기에 중독된 것[諸禽肉毒] 371
[소아(小兒)] 경풍증(驚風證) 371
[기침(咳嗽)] 꺼려야 할 것[禁忌法] 370
[소아(小兒)] 여러 가지 감병[諸疳] 370
[짐승(獸部)] 모서육(牡鼠肉, 수쥐고기) 모서담(牡鼠膽) 370
[곡식(穀部)] 시(?, 약전국) 369
[새(禽部)] 노사육(鷺?肉) 369
[침구(針灸)] 오장육부소속오수오행五臟六腑所屬五?五行 368
[눈(眼)] 오풍(烏風) 368
[침구(針灸)] 침은 반드시 계절과 날씨에 맞추어 놓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用鍼須合天時] 367
[변증(辨證)] 8허에 생긴 증후는 5장과 관련이 있다[八虛候五臟] 367
[옹저(癰疽)] 낭옹(囊癰) 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