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뜸쑥을 만드는 법[製艾法]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439 추천 수 0
◎ 製艾法 ○ 艾葉主灸百病三月三日五月五日採葉暴乾以覆道者爲佳經陳久方可用[入門] ○ 端午日日未出時於艾中以意求其似人者輒採之以灸殊有效又云三月三日艾用灸極妙[類聚] ○ 取陳久黃艾葉不以多少入臼內用木杵輕搗令熟以細篩隔去靑滓再搗再篩直至柔細黃熟爲度用之[局方] ○ 艾熟搗去靑取白入硫黃?之用尤妙[入門]

☞ 뜸쑥을 만드는 법[製艾法] ○ 약쑥잎은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뜸뜨는 데 쓴다. 음력 3월 3일이나 5월 5일에 잎을 뜯어서 햇볕에 말리어 쓴다. 길섶에서 무성하게 자란 것과 여러 해 묵은 것이 좋다[입문]. ○ 단오날 해가 뜨기 전에 쑥 가운데서 좋은 것을 골라 뜯은 것으로 뜸을 뜨면 효과가 많다. 또한 음력 3월 3일에 뜯은 약쑥을 쓰면 더 좋다[유취]. ○ 오래 두어서 누렇게 된 약쑥잎 적당한 양을 절구에 넣고 나무공이로 약간씩 잘 찧어 가는 채로 쳐서 푸른 찌꺼기를 버리고 다시 찧고 또 쳐서 보드라우면서도 누렇게 될 때까지 찧어 쓴다[국방]. ○ 또한 약쑥잎을 잘 찧어 푸른 찌꺼기를 버리고 흰 것만 모아 유황을 넣고 비벼 쓰면 더욱 좋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과실(果部)] 야자(椰子) 353
[부인(婦人)] 갓난아이의 구급법[小兒初生救急] 352
[소아(小兒)] 만성 경풍에 치료되지 않는 증[慢驚風不治證] 352
[해독(解毒)] 원화중독[?花毒] 351
[소아(小兒)] 마마 때에 먹일 수 있는 좋은 음식[痘疹宜食物] 351
[천지운기(天地運氣)] 6정년(六丁年)은 위화(委和)의 해[六丁年委和之氣] 350
[풀(草部)] 아위(阿魏) 349
[눈(眼)] 순생예와 역생예[順逆生瞖 ] 349
[변증(辨證)] 5사소란(五邪所亂) 349
[소아(小兒)] 마마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48
[벌레(蟲部)] 작옹(雀瓮, 쐐기벌레집) 348
[벌레(蟲部)] 갈(蝎, 전갈) 348
[벌레(蟲部)] 형화(螢火, 반딧불) 348
[잡방(雜方)] 구고고(救苦膏) 346
[잡방(雜方)] 선응고(善應膏) 346
[변증(辨證)] 병에는 5가지 역증이 있다[病有五逆] 345
[벌레(蟲部)] 슬자(蝨子, 이) 345
[변증(辨證)] 5사맥이 나타나는 것[五邪所見] 344
[벌레(蟲部)] 서부(鼠婦) 343
[천지운기(天地運氣)] 진술년[辰戌之歲] 342
[기침(咳嗽)] 지나치게 웃어서 생기는 해역[過笑咳逆] 342
[옹저(癰疽)] 변독 때 뜸을 뜨는 방법[灸便毒法] 342
[변증(辨證)] 5가지 맛을 꺼릴 것[五味所禁] 341
[잡방(雜方)] 육향고(六香膏) 341
[잡방(雜方)] 신국을 만드는 방법[造神麴法] 340
[새(禽部)] 호작(蒿雀, 촉새) 340
[벌레(蟲部)] 활사(活師, 올챙이) 340
[짐승(獸部)] 필두회(筆頭灰, 오래된 붓끝을 태운 재) 336
[벌레(蟲部)] 천산갑(穿山甲) 335
[소아(小兒)] 마마를 앓는 기간[痘瘡日限] 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