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족양명위경의 순행[足陽明胃經流注]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511 추천 수 0
◎ 足陽明胃經流注 ○ 足陽明之脈起於鼻之交?中傍約太陽之脈下循鼻外(迎香穴)入上齒中還出挾口環脣下交承漿(穴名)却循?後下廉出大迎(穴名)循頰車(穴名)上耳前過客主人(穴名)循髮際至額?其支者從大迎前下人迎(穴名)循喉?入缺盆下膈屬胃絡脾其直者從缺盆下乳內廉下挾臍入氣衝中(穴名)其支者起胃下口循腹裏下至氣衝中而合以下?關(穴名)抵伏兎(穴名)下入膝?中(腿下脛上接處曰膝?謂膝之盖骨也)下循?外廉(卽上廉下廉解谿穴也)下足?(足面曰趺衝陽穴也)入中指內間(陷谷穴)其支者下膝三寸而別下入中指外間(內庭穴)其支者別?上入大指間出其端(?兌穴也自此出交入足太陰)是動則病凄凄然振寒善伸數欠顔黑(顔卽額也)病至則惡人與火聞木音則?然而驚心動欲獨閉戶?而處甚則欲上高而歌棄衣而走賁響腹脹是謂?厥(?卽脛之別名)是主血所生病者狂?溫淫汗出??口?脣疹頸腫喉痺大腹水腫膝?腫痛循膺乳街股伏兎?外廉足?上皆痛中指不用氣盛則身以前皆熱其有餘於胃則消穀善飢尿色黃氣不足則身以前皆寒胃中寒則脹滿盛者人迎大三倍於寸口虛者人迎反小於寸口也[靈樞] ○ 辰時自迎香穴交與承泣穴上行至頭維對人迎循胸腹下至足指?兌穴止[入門] ○ 陽明根于?兌結于?大?大者鉗耳也[靈樞]

☞ 족양명위경의 순행[足陽明胃經流注] ○ 족양명경맥은 콧마루뼈 속에서 시작하여 옆으로 수태양경맥에 연락하고 코 밖(영양혈)을 따라 아래로 내려와 윗잇몸 가운데로 들어갔다가 나와 입술을 돌아서 아래로 내려가 승장(承漿, 혈이름)에서 교차되고 다시 턱을 따라 뒤로 돌아가서 대영혈로 나와 협거(혈이름)를 에돌아 위로 올라가 귀 앞의 객주인(客主人, 혈이름)을 지나 머리털이 돋은 경계를 따라 이마로 갔다. ○ 그 한 가지는 대영혈에서 인영혈 앞으로 내려가 울대를 따라 결분에 들어갔다가 횡격막을 뚫고 내려가 위에 속하고 비에 연락되었다. 그 곧은 가지는 결분에 젖 안쪽 변두리를 거쳐 배꼽을 끼고 다시 내려가 기충혈 속으로 들어갔다. 그 한 가지는 위의 유문 부위에서 시작하여 뱃속을 따라 기충혈 속에 이르러 곧추 가는 가지와 합쳐 비관혈로 내려가 복토혈에 이르고 다시 내려가 종지뼈(넙적다리뼈와 정강이뼈가 맞닿은 곳을 종지뼈라고 하는데 슬개골을 말하는 것이다) 속으로 들어가서 정강이뼈의 바깥쪽 변두리(즉 상렴, 하렴, 해계 혈이다)를 따라 발등(충양혈)에로 내려가 가운뎃발가락 안쪽 사이(함곡혈)로 들어갔다. 그 한 가지는 무릎 아래 3치 되는 곳에서 갈라져 내려가 발잔등 가운데 뼈 사이(내정혈)로 들어갔다. 다른 한 가지는 발잔등에서 갈라져 두번째 발가락으로 들어가서 그곳(여태혈이다. 여기에서 족태음경맥과 연락되었다) 끝으로 나갔다. 시동병은 오싹오싹 춥고 떨리며 기지개를 잘하고 하품을 자주 하며 얼굴(이마를 말한 것이다)이 거멓게 된다. 병이 들면 사람과 불을 싫어하고 나무가 부딪치는 소리를 들으면 깜짝 놀라며 가슴이 두근거려서 문을 닫고 혼자 있으려 하며 심하면 높은 곳에 올라가 노래를 부르며 발가벗고 달아나며 배가 끓으면서 불러 오른다. 이것을 한궐(한은 정강이뼈의 별명이다)이라고 한다. 이것은 주로 혈과 관련된 병이다. 소생병은 광증, 학질, 온병, 땀이 나며 코가 메고 코피가 나며 입이 찌그러지고 입술에 구진이 돋으며 목안이 붓고 후비가 생기며 배에 물이 차고 무릎이 부으면서 아프다. 그리고 가슴, 젖, 기가혈 부위, 다리, 복토혈 부위, 정강이뼈 바깥쪽 변두리, 발등이 다 아프며 가운뎃발가락을 쓰지 못하게 된다. 이 경맥의 기가 실하면 몸 앞쪽에 열이 나며 그 기가 위에 몰려 실해지면 음식이 잘 소화되어 배가 자주 고프며 오줌빛이 누르고 기가 허하면 몸 앞이 다 차며 뱃속이 차고 배가 팽팽하게 불러 오른다. 실할 때에는 인영맥이 촌구맥보다 3배나 크고 허할 때에는 인영맥이 도리어 촌구보다 작다[영추]. ○ 이 경맥의 경기는 매일 진시(7-9시)에 영향혈로부터 시작하여 승읍혈에서 교차되고 위로 올라가 두유혈에까지 간다. 다른 가지는 인영혈로 내려와 가슴과 배를 따라 내려가 발가락의 여태혈에서 끝난다[입문]. ○ 족양명경맥은 여태에서 시작되어 상대(?大)에서 끝났다. 상대는 감이(鉗耳, 귀)이다[영추]. 

◎ 足陽明胃經左右凡九十穴 

☞ 족양명위경(좌우 모두 90개 혈) 針灸 

? ?兌二穴 ○ 在足大指次指端外側去爪甲如?葉足陽明脈之所出爲井鍼入一分可灸一壯[銅人]

☞ 여태(?兌, 2개 혈) ○ 두번째 발가락 발톱 바깥모서리에서 부추잎만큼 떨어져 있다. 족양명경의 정혈이다. 침은 1푼을 놓고 뜸은 1장을 뜬다[동인]. 

? 內庭二穴 ○ 在足大指次指外間陷中[銅人] ○ 在足次指與三指岐骨間陷中[入門] ○ 足陽明脈之所流爲滎鍼入三分留十呼可灸三壯[銅人]

☞ 내정(內庭, 2개 혈) ○ 두번째 발가락 바깥쪽 우묵한 곳에 있다[동인]. ○ 두번째 발가락과 가운뎃발가락이 갈라진 사이 우묵한 곳에 있다[입문]. ○ 족양명경의 형혈이다. 침은 3푼을 놓으며 10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陷谷二穴 ○ 在足大指次指外間本節後陷中去內庭二寸足陽明脈之所注爲?鍼入三分留七呼可灸三壯[銅人]

☞ 함곡(陷谷, 2개 혈) ○ 두번째 발가락 바깥쪽 밑마디 뒤 우묵한 곳에 있으며 내정혈에서 2치 위에 있다. 족양명경의 수혈이다. 침은 3푼을 놓으며 7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衝陽二穴 ○ 一名會原在足?上五寸骨間動脈去陷谷三寸[銅人] ○ 在內庭上五寸骨間動脈[入門] ○ 在足?上五寸陷者中搖足而得之[靈樞] ○ 足陽明脈之所過爲原鍼入五分留十呼可灸三壯[銅人]

☞ 충양(衝陽, 2개 혈) ○ 일명 회원(會原)이라고도 하는데 발등에서 위로 5치 올라가 뼈 사이 맥이 뛰는 곳, 함곡에서 3치 뒤에 있다[동인]. ○ 내정혈에서 위로 5치 올라가 뼈 사이 맥이 뛰는 곳에 있다[입문]. ○ 발등에서 위로 5치 올라가 우묵한 가운데 있으며 발을 쳐들었다 놓았다 하면서 잡는다. 족양명경맥의 원혈(原穴)이다. 침은 5푼을 놓고 10번 숨쉴 동안 꽂아 두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解谿二穴 ○ 在衝陽後一寸半腕上陷中[銅人] ○ 上衝陽一寸半陷者中[靈樞] ○ 在足腕上繫草鞋帶處去內庭上六寸半[入門] ○ 足陽明脈之所行爲經鍼入五分留五呼可灸三壯[銅人]

☞ 해계(解谿, 2개 혈) ○ 충양혈에서 뒤로 1치 5푼 나가 발목 위의 우묵한 곳에 있다[동인]. ○ 충양혈에서 위로 1치 5푼 올라가 우묵한 곳에 있다[영추]. ○ 발목 위의 짚신끈을 매는 곳에 있으며 내정혈에서 6치 5푼 올라가 있다[입문]. ○ 족양명경맥의 경혈이다. 침은 5푼을 놓으며 5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豊隆二穴 ○ 在外?上八寸下廉?骨外廉間陷中 ○ 足陽明絡別走太陰鍼入三分可灸三壯[銅人]

☞ 풍륭(豊隆, 2개 혈) ○ 바깥쪽 복사뼈에서 위로 8치 올라가 정강이뼈 바깥쪽 변두리 사이 우묵한 곳에 있다. ○ 족양명경의 낙혈이며 여기서 갈라져서 족태음경맥으로 간다. 침은 3푼을 놓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下巨虛二穴 ○ 一名下廉在上廉下三寸[銅人] ○ 在三里下六寸當擧足取之[入門] ○ 在上廉下三寸兩筋兩骨?陷宛宛中?坐取之[資生] ○ 鍼入八分可灸三壯[銅人]

☞ 하거허(下巨虛, 2개 혈) ○ 일명 하렴(下廉)이라고도 하는데 상렴혈에서 3치 아래에 있다[동인]. ○ 족삼리혈에서 6치 아래에 있으며 발을 들고 침혈을 잡는다[입문]. ○ 상렴혈에서 아래로 3치 내려가 두 힘줄과 뼈 사이 우묵한 곳에 있으며 걸터 앉히고 침혈을 잡는다[자생]. ○ 침은 8푼을 놓으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條口二穴 ○ 在下廉上一寸上廉下一寸[銅人] ○ 在三里下五寸擧足取之[入門] ○ 鍼入三分禁不可灸[入門]

☞ 조구(條口, 2개 혈) ○ 하렴혈에서 위로 1치, 상렴혈에서 아래로 1치 되는 곳에 있다[동인]. ○ 족삼리혈에서 5치 아래에 있으며 발을 들고 침혈을 잡는다[입문]. ○ 침은 3푼을 놓으며 뜸은 뜨지 말아야 한다[입문]. 

? 上巨虛二穴 ○ 一名上廉在三里下三寸[銅人] ○ 在膝犢鼻下?外廉六寸擧足取之 ○ 在三里下三寸兩筋兩骨?陷宛宛中[資生] ○ 鍼入八分可灸三壯一云隨年數爲壯[銅人]

☞ 상거허(上巨虛, 2개 혈) ○ 일명 상렴(上廉)이라고도 하는데 족삼리혈에서 3치 아래에 있다[동인]. ○ 무릎에 있는 독비혈에서 정강이뼈 바깥쪽으로 6치 아래에 있으며 발을 들고 침혈을 잡는다. ○ 족삼리혈에서 아래로 3치 내려가 두 힘줄과 뼈 사이 우묵한 곳에 있다[자생]. ○ 침은 8푼을 놓고 뜸은 3장을 뜬다. 또는 나이수만큼 뜸을 뜨기도 한다[동인]. 

? 三里二穴 ○ 在膝下三寸?骨外大筋內宛宛中[銅人] ○ 在膝下三寸陷中?骨外廉兩筋肉分間[內經] ○ 在犢鼻下三寸?骨外廉分肉間[入門] ○ 以手約膝取中指梢盡處是穴[得效] ○ 深則足趺陽脈不見按之太衝脈不動是正穴[資生] ○ 足陽明脈之所入爲合鍼入一寸可灸七壯(一云三壯)[銅人] ○ 明堂云人年三十以上若不灸三里令氣上衝目 ○ 三里下三寸爲上廉復下三寸爲下廉大腸屬上廉小腸屬下廉足陽明胃脈也然則是大腸小腸皆屬于胃也[靈樞] ○ 點三里穴但按趺陽脈不應方是正穴[丹心]

☞ 족삼리(足三里, 2개 혈) ○ 무릎에서 아래로 3치 내려가 정강이뼈 바깥쪽 큰 힘줄 안쪽 우묵한 곳에 있다[동인]. ○ 무릎에서 아래로 3치 내려가 정강이뼈 바깥쪽 변두리의 두 힘살 사이 우묵한 곳에 있다[내경]. ○ 독비혈에서 아래로 3치 내려가 정강이뼈 바깥쪽 변두리의 살 사이에 있다[입문]. ○ 자기 손바닥으로 무릎뼈를 싸쥘 때 가운뎃손가락 끝이 닿는 곳이다[득효]. ○ 꾹 누르면 발의 부양맥(趺陽脈)이 나타나지 않고 조금 누르면 태충맥(太衝脈)이 뛰지 않는 곳이다[자생]. ○ 족양명경맥의 합혈이다. 침은 1치를 놓으며 뜸은 7장을 뜬다(또는 3장을 뜨기도 한다)[동인]. ○ 『명당경』에는 사람이 30살이 지나서는 족삼리혈에 뜸을 뜨지 않으면 기가 눈으로 치밀어 오르게 된다고 하였다. ○ 족삼리혈에서 3치 아래가 상렴혈이고 거기서 다시 3치 아래가 하렴혈인데 대장은 상렴혈에 속하고 소장은 하렴혈에 속하며 다 족양명위경과 연관되어 있다. 그러므로 대장과 소장은 다 위에 속한다[영추]. ○ 족삼리혈을 잡는 데는 부양맥을 눌러서 뛰지 않아야 제대로 침혈을 잡은 것이다[단심]. 

? 犢鼻二穴 ○ 在膝?下?骨上骨解大筋中[銅人] ○ 膝?下?挾?大筋中[資生] ○ 在膝頭眼外側大筋陷中鍼入六分禁不可灸[入門]

☞ 독비(犢鼻, 2개 혈) ○ 무릎 아래 정강이뼈의 윗쪽 뼈마디와 큰 힘줄 사이에 있다[동인]. ○ 무릎 아래 정강이뼈 사이, 큰 힘줄 사이에 있다[자생]. ○ 슬안혈 밖에 큰 힘줄이 우묵하게 들어간 곳에 있다. 침은 6푼을 놓고 뜸은 뜨지 말아야 한다[입문]. 

? 梁丘二穴 ○ 在膝上二寸兩筋間足陽明之?鍼入三分可灸三壯[銅人]

☞ 양구(梁丘, 2개 혈) ○ 무릎에서 위로 2치 올라가 두 힘줄 사이에 있다. 족양명경의 극혈이다. 침은 3푼을 놓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陰市二穴 ○ 一名陰鼎在膝上三寸伏兎下陷中[銅人] ○ 在膝內輔骨後大筋下小筋上屈膝得之[資生]
○ 在膝上當伏兎下行二寸臨膝取之[綱目] ○ 鍼入三分留七呼禁不可灸[銅人]

☞ 음시(陰市, 2개 혈) ○ 일명 음정(陰鼎)이라고도 하는데 무릎에서 위로 3치 올라가 복토혈 아래 우묵한 곳에 있다[동인]. ○ 무릎 안쪽 보골 뒤 큰 힘줄 아래 작은 힘줄 위에 있는데 무릎을 구부리고 침혈을 잡는다[자생]. ○ 무릎 위 복토혈에서 아래로 2치 내려가 무릎을 기준으로 하여 잡는다[강목]. ○ 침은 3푼을 놓으며 7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뜨지 않는다[동인]. 

? ?關二穴 ○ 在膝上伏兎後交文中[銅人] ○ 在膝上伏兎後?骨橫文中[入門] ○ 鍼入六分可灸三壯[銅人]

☞ 비관(脾關, 2개 혈) ○ 무릎 위 복토혈 뒤 사귄 금의 가운데 있다[동인]. ○ 무릎 위 복토혈 뒤 넙적다리뼈에서 가로간 금 가운데 있다[입문]. ○ 침은 6푼을 놓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伏兎二穴 ○ 一名外丘在膝上六寸起肉是一云在膝盖上七寸[銅人] ○ 在膝??上六寸向裏正?正坐而取之[入門] ○ 鍼入五分禁不可灸[銅人]

☞ 복토(伏兎, 2개 혈) ○ 일명 외구(外丘)라고도 하는데 무릎에서 위로 3치 올라가 살이 두드러진 곳에 있다. 또는 무릎뼈에서 7치 위에 있다고도 한다[동인]. ○ 무릎에서 넙적다리로 6치 올라가 안쪽으로 향해 있으며 바로 앉아 침혈을 잡는다[입문]. ○ 침은 5푼을 놓으며 뜸은 뜨지 말아야 한다[동인]. 

? 氣衝二穴 ○ 一名氣街在歸來下鼠?上一寸動脈中[銅人] ○ 在腹臍下橫骨兩端鼠?上[資生] ○ 在天樞下八寸動脈[入門] ○ 可灸七壯禁不可鍼[銅人]

☞ 기충(氣衝, 2개 혈) ○ 일명 기가(氣街)라고도 하는데 귀래혈 아래, 자개미에서 위로 1치 올라가 맥이 뛰는 곳에 있다[동인]. ○ 배꼽 아래 횡골(橫骨)의 양쪽 끝 자개미 위에 있다[자생]. ○ 천추혈에서 아래로 8치 내려가 맥이 뛰는 곳에 있다[입문]. ○ 뜸은 7장을 뜨며 침은 놓지 말아야 한다[동인]. 

? 歸來二穴 ○ 在水道下二寸[銅人] ○ 在天樞下七寸[入門] ○ 鍼入八分可灸五壯[銅人]

☞ 귀래(歸來, 2개 혈) ○ 수도혈에서 2치 아래에 있다[동인]. ○ 천추혈에서 7치 아래에 있다[입문]. ○ 침은 8푼을 놓으며 뜸은 5장을 뜬다[동인]. 

? 水道二穴 ○ 在大巨下三寸天樞下五寸鍼入二寸五分可灸五壯[銅人]

☞ 수도(水道, 2개 혈) ○ 대거혈에서 아래로 3치, 천추혈에서 5치 아래에 있다. 침은 2치 5푼을 놓으며 뜸은 5장을 뜬다[동인]. 

? 大巨二穴 ○ 在外陵下一寸鍼入五分可灸五壯[銅人]

☞ 대거(大巨, 2개 혈) ○ 외릉혈에서 1치 아래에 있다. 침은 5푼을 놓고 뜸은 5장을 뜬다[동인]. 

? 外陵二穴 ○ 在天樞下一寸鍼入八分可灸五壯[銅人]

☞ 외릉(外陵, 2개 혈) ○ 천추혈에서 1치 아래에 있다. 침은 8푼을 놓으며 뜸은 5장을 뜬다[동인]. 

? 天樞二穴 ○ 一名長谿一名谷門大腸之募也在盲?傍一寸五分挾臍二寸[銅人] ○ 魂魄之舍不可鍼合臍相去各三寸[資生] ○ 平臍傍各三寸[入門] ○ 鍼入八分留七呼可灸百壯[銅人]

☞ 천추(天樞, 2개 혈) ○ 일명 장계(長谿) 또는 곡문(谷門)이라고도 하는데 대장경의 모혈(募穴)이다. 황수혈(盲?穴)에서 옆으로 1치 5푼, 배꼽에서 2치 옆에 있다[동인]. ○ 혼백이 있는 곳이므로 침을 놓지 못하며 배꼽까지 합하여 각각 3치 옆으로 나와 있다[자생]. ○ 배꼽에서 3치 옆에 있다[입문]. ○ 침은 8푼을 놓으며 7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100장까지 뜰 수 있다[동인]. 

? 滑肉門二穴 ○ 在太一下一寸鍼入八分可灸五壯[銅人]

☞ 활육문(滑肉門, 2개 혈) ○ 태일혈에서 1치 아래에 있다. 침은 8푼을 놓고 뜸은 5장을 뜬다[동인]. 

? 太一二穴 ○ 在關門下一寸鍼入八分可灸五壯[銅人]

☞ 태을(太乙, 2개 혈) ○ 관문혈에서 1치 아래에 있다. 침은 8푼을 놓고 뜸은 5장을 뜬다[동인]. 

? 關門二穴 ○ 在梁門下一寸鍼入八分可灸五壯[銅人]

☞ 관문(關門, 2개 혈) ○ 양문혈에서 1치 아래에 있다. 침은 8푼 놓고 뜸은 5장 뜬다[동인]. 

? 梁門二穴 ○ 在承滿下一寸鍼入八分可灸五壯[銅人]

☞ 양문(梁門, 2개 혈) ○ 승만혈에서 1치 아래에 있다. 침은 8푼을 놓고 뜸은 5장을 뜬다[동인]. 

? 承滿二穴 ○ 在不容下一寸[銅人] ○ 挾巨闕兩傍各一寸半[資生] ○ 鍼入八分可灸五壯[銅人]

☞ 승만(丞滿, 2개 혈) ○ 불용혈에서 1치 아래에 있다[동인]. ○ 거궐혈(巨闕穴)에서 옆으로 1치 5푼 나가 있다[자생]. ○ 침은 8푼을 놓으며 뜸은 5장을 뜬다[동인]. 

? 不容二穴 ○ 在幽門傍相去各一寸五分[銅人] ○ 在幽門兩傍各一寸五分去任脈二寸直四肋端[綱目] ○ 平巨闕傍三寸挺身取之[入門] ○ 挾鳩尾當乳下三寸[資生] ○ 鍼入五分可灸五壯[銅人]

☞ 불용(不容, 2개 혈) ○ 유문혈(幽門穴)에서 옆으로 1치 5푼 나가 있다[동인]. ○ 유문혈에서 옆으로 각각 1치 5푼, 임맥(任脈)에서 2치 옆으로 나가 네번째 갈비뼈 끝에 있다[강목]. ○ 거궐혈에서 옆으로 3치 나가 있으며 몸을 똑바로 하고 침혈을 잡는다[입문]. ○ 구미혈(鳩尾穴) 옆의 젖꼭지에서 3치 아래에 있다[자생]. ○ 침은 5푼을 놓으며 뜸은 5장을 뜬다[동인]. 

? 乳根二穴 ○ 在乳中下一寸四分陷中仰而取之[銅人] ○ 在當乳下一寸六分入門資生?云一寸六分[綱目] ○ 鍼入三分可灸五壯[銅人]

☞ 유근(乳根, 2개 혈) ○ 유중혈에서 아래로 1치 4푼 내려가 우묵한 곳에 있다. 침혈은 몸을 뒤로 젖히고 잡는다[동인]. ○ 젖꼭지에서 1치 6푼 아래에 있다. 『입문』과 『자생』에는 다 1치 6푼에 있다고 하였다[강목]. ○ 침은 3푼을 놓으며 뜸은 5장을 뜬다[동인]. 

? 乳中二穴 ○ 當乳中是[銅人] ○ 卽乳頭上也[入門] ○ 鍼宜淺刺二分禁不可灸[入門]

☞ 유중(乳中, 2개 혈) ○ 젖꼭지의 가운데이다[동인]. ○ 즉 젖꼭지의 가운데에 있다[입문]. ○ 침은 2푼을 놓으며 뜸은 뜨지 말아야 한다[입문]. 

? 膺窓二穴 ○ 在屋?下一寸六分鍼入三分可灸五壯[銅人]

☞ 응창(膺窓, 2개 혈) ○ 옥예혈에서 1치 6푼 아래에 있다. 침은 3푼을 놓으며 뜸은 5장을 뜬다[동인]. 

? 屋?二穴 ○ 在庫房下一寸六分陷中仰而取之鍼入三分可灸五壯[銅人]

☞ 옥예(屋?, 2개 혈) ○ 고방혈에서 아래로 1치 6푼 내려가 우묵한 곳에 있는데 몸을 젖히고 침혈을 잡는다. 침은 3푼을 놓으며 뜸은 5장을 뜬다[동인]. 

? 庫房二穴 ○ 在氣戶下一寸六分陷中仰而取之鍼入三分可灸五壯[銅人]

☞ 고방(庫房, 2개 혈) ○ 기호혈에서 아래로 1치 6푼 내려가 우묵한 곳에 있다. 몸을 젖히고 침혈을 잡는다. 침은 3푼을 놓으며 뜸은 5장을 뜬다[동인]. 

? 氣戶二穴 ○ 在巨骨下挾?府兩傍相去各二寸陷中仰而取之鍼入三分可灸五壯[銅人] ○ 自氣戶至乳根六穴去膺中行各四寸?相去各一寸六分[資生]

☞ 기호(氣戶, 2개 혈) ○ 거골혈 아래 수부혈에서 옆으로 2치 나가 우묵한 곳에 있다. 몸을 젖히고 침혈을 잡는다. 침은 3푼을 놓고 뜸은 5장을 뜬다[동인]. ○ 기호혈로부터 유근혈까지 6개 침혈은 임맥에서 각각 옆으로 4치 나와 있으며 이 6개 침혈은 각각 1치 6푼씩 떨어져 있다[자생]. 

? 缺盆二穴 ○ 一名天盖在肩前橫骨陷中可灸三壯禁不可鍼[銅人] ○ 肩前廉六穴?會極外肩?次之缺盆極裏[綱目]

☞ 결분(缺盆, 2개 혈) ○ 일명 천개(天盖)라고도 하는데 어깨 앞의 꺾쇠뼈 위 우묵한 곳에 있다. 뜸은 3장을 뜨고 침은 놓지 말아야 한다[동인]. ○ 어깨 앞쪽 6개 침혈 가운데서 노회[?會]가 제일 밖에 있고 그 다음이 견우혈이며 가장 안쪽에 있는 것이 결분혈이다[강목]. 

? 氣舍二穴 ○ 在頸直人迎下挾天突傍陷中鍼入三分可灸三壯[銅人]

☞ 기사(氣舍, 2개 혈) ○ 목을 곧게 한 다음 인영혈 아래, 천돌혈 옆의 우묵한 곳에 있다. 침은 3푼을 놓고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水突二穴 ○ 一名水門在頸大筋前直人迎下鍼入三分可灸三壯[銅人]

☞ 수돌(水突, 2개 혈) ○ 일명 수문(水門)이라고도 하는데 목의 큰힘줄 앞 인영혈에서 곧추 내려가 있다. 침은 3푼을 놓으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人迎二穴 ○ 一名五會在頸大脈動應手挾結喉兩傍各一寸五分仰而取之以候五藏氣鍼入四分若過深則殺人禁不可灸[銅人]

☞ 인영(人迎, 2개 혈) ○ 일명 오회(五會)라고도 하는데 목동맥이 뛰는 곳에 있으며 울대 끝에서 옆으로 1치 5푼 나가 있다. 몸을 젖히고 침혈을 잡으며 5장의 기가 모이는 곳이다. 침은 4푼을 놓는다. 만일 너무 깊이 놓으면 죽는다. 뜸은 뜨지 말아야 한다[동인]. 

? 大迎二穴 ○ 在曲?前一寸二分骨陷中動脈又以口下當兩肩取之鍼入三分留七呼可灸三壯[銅人]

☞ 대영(大迎, 2개 혈) ○ 턱자개미에서 앞으로 1치 2푼 나가 뼈가 우묵한 가운데의 맥이 뛰는 곳에 있다. 또는 목을 돌릴 때에 어깨와 아래턱뼈가 닿는 곳이다. 침은 3푼을 놓고 7번 숨쉴 동안 꽂아 두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地倉二穴 ○ 一名胃維挾口吻傍四分外[銅人] ○ 如近下有脈微微動者是[綱目] ○ 鍼入三分有五呼日可灸二七壯至七七壯止艾炷若大口轉?却灸承漿七七壯卽愈[銅人]

☞ 지창(地倉, 2개 혈) ○ 일명 위유(胃維)라고도 하는데 입귀에서 4푼 옆에 있다[동인]. ○ 침혈의 아래에서 맥이 약하게 뛰는 것 같은 곳이다[강목]. ○ 침은 3푼을 놓고 5번 숨쉴 동안 꽂아 두며 뜸은 14-49장까지 뜬다. 뜸봉을 크게 하면 입이 비뚤어진다. 그럴 때에는 다시 승장혈에 49장 뜨면 곧 낫는다[동인]. 

? 巨?二穴 ○ 在挾鼻孔傍八分直目瞳子鍼入三分可灸七壯[銅人]

☞ 거료(巨?, 2개 혈) ○ 콧구멍에서 옆으로 8푼 나가 눈동자와 직선 되는 곳에 있다. 침은 3푼을 놓고 뜸은 7장을 뜬다[동인]. 

? 四白二穴 ○ 在目下一寸直目瞳子鍼入三分若鍼深令人目烏色可灸七壯[銅人]

☞ 사백(四白, 2개 혈) ○ 눈에서 아래로 1치 내려가 눈동자와 직선 되는 곳에 있다. 침은 3푼을 놓는다. 만일 침을 깊이 놓으면 눈이 거멓게 된다. 뜸은 7장을 뜬다[동인]. 

? 承泣二穴 ○ 在目下七分直目瞳子禁不宜鍼鍼之令人目烏色可灸三壯[銅人]

☞ 승읍(承泣, 2개 혈) ○ 눈에서 아래로 7푼 내려가 눈동자와 직선 되는 곳에 있다. 침은 놓지 말아야 한다. 침을 놓으면 눈이 거멓게 된다.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頰車二穴 ○ 一名機關在耳下曲頰端近前陷中側臥開口取之[銅人] ○ 在耳下八分小近前曲頰端陷中開口有空[入門] ○ 鍼入四分得氣卽瀉可灸七壯至七七壯[銅人]

☞ 협거(頰車, 2개 혈) ○ 일명 기관(機關)이라고도 하는데 귀 아래 턱자개미 끝의 앞에 있는 우묵한 곳에 있다. 옆으로 누워 입을 벌리고 침혈을 잡는다[동인]. ○ 귀에서 아래로 8푼 내려가 약간 앞으로 나가 턱자개미 끝 우묵한 곳에 있다. 입을 벌리면 우묵하게 들어간다[입문]. ○ 침은 4푼을 놓는데 침감이 오면 곧 뺀다. 뜸은 7-49장까지 뜬다[동인]. 

? 下關二穴 ○ 在上關下[銅人] ○ 在客主人下卽(上關穴)耳前動脈下廉[綱目] ○ 合口有空張口則閉宜側臥閉口取穴[入門] ○ 鍼入四分得氣卽瀉禁不可灸[銅人] ○ 側面部在耳前十二穴頭維居上禾?客主人次之耳門又次之聽會又次之下關居下[綱目]

☞ 하관(下關, 2개 혈) ○ 상관혈(上關穴) 아래에 있다[동인]. ○ 객주인혈(즉 상관혈)의 아래, 귀 앞의 맥이 뛰는 아래 변두리에 있다[강목]. ○ 입을 다물면 우묵하게 들어가고 입을 벌리면 없어지는데 옆으로 누워서 입을 다물고 침혈을 잡는다[입문]. ○ 침은 4푼을 놓는데 침감이 오면 빼고 뜸은 뜨지 말아야 한다[동인]. ○ 얼굴 옆과 귀 앞에 있는 12개 침혈 가운데서 두유혈이 제일 위에 있고 다음에 화료혈과 객주인혈이 있으며 그 다음에 이문혈(耳門穴)이 있고 또 그 다음에 청회혈(廳會穴)이 있으며 하관혈이 제일 아래에 있다[강목]. 

? 頭維二穴 ○ 在額角入髮際本神傍一寸五分鍼入三分禁不可灸[銅人]

☞ 두유(頭維, 2개 혈) ○ 이마의 모서리 털난 경계에서 위로 올라가 본신혈에서 1치 5푼 옆에 있다. 침은 3푼을 놓고 뜸은 뜨지 말아야 한다[동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침구(針灸)] 계절에 맞게 침놓는 방법[四時鍼法] 490
[침구(針灸)] 침놓는 깊이를 정하는 방법[鍼刺淺深法] 820
[침구(針灸)] 화침법(火鍼法) 650
[침구(針灸)] 침혈을 잡는 법[點穴法] 638
[침구(針灸)] 치수를 재는 법[量分寸法] 727
[침구(針灸)] 뜸쑥을 만드는 법[製艾法] 439
[침구(針灸)] 뜸봉을 만드는 법[作艾炷法] 466
[침구(針灸)] 불을 붙이는 방법[取火法] 444
[침구(針灸)] 뜸뜨는 시간[下火灸時法] 1025
[침구(針灸)] 뜸뜨는 방법[灸法] 722
[침구(針灸)] 뜸의 장수를 결정하는 방법[壯數多少法] 463
[침구(針灸)] 뜸자리를 헐게 하는 방법[發灸瘡法] 425
[침구(針灸)] 뜸자리가 몹시 헌 것을 치료하는 방법[療灸瘡法] 505
[침구(針灸)] 몸조리하는 방법[調養法] 414
[침구(針灸)] 침과 뜸치료를 같이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鍼灸不可?施] 491
[침구(針灸)] 침과 뜸에 견디지 못하는 것[不耐鍼灸] 398
[침구(針灸)] 침은 반드시 계절과 날씨에 맞추어 놓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用鍼須合天時] 367
[침구(針灸)] 침의 보사법[鍼補瀉法] 2287
[침구(針灸)] 침을 놓을 때 역증과 순증을 가려야 한다[用鍼宜審逆順] 489
[침구(針灸)] 5탈증에는 침으로 사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五奪勿用鍼瀉] 427
[침구(針灸)] 사법(瀉法)만 있고 보법(補法)은 없는 침법[鍼法有瀉無補] 570
[침구(針灸)] 뜸의 보사법[灸補瀉法] 594
[침구(針灸)] 침뜸의 꺼려야 할 것[鍼灸禁忌] 380
[침구(針灸)] 침을 놓는 데는 기술이 있어야 한다는 데 대하여[鍼要得術] 560
[침구(針灸)] 침을 놓는 데는 유능한 의사와 서투른 의사가 있다는 데 대하여[鍼有上工中工] 436
[침구(針灸)] 침이 들어가 살에 붙는 것[鍼入着肉] 393
[침구(針灸)] 12경맥의 순행과 수혈[十二經脈流注?穴] 835
[침구(針灸)] 수태음폐경의 순행[手太陰肺經流注] 712
[침구(針灸)] 수양명대장경의 순행[手陽明大腸經流注] 440
[침구(針灸)] 족양명위경의 순행[足陽明胃經流注] 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