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방(雜方)

선응고(善應膏)

한닥터 2011.10.07 조회 수 346 추천 수 0
? 善應膏 ○ 黃丹八兩白膠香乳香沒藥??硏當歸白芷杏仁大黃草烏川烏赤芍藥檳?生乾地黃川芎瀝靑?硏亂髮各一兩右香油一斤浸藥三宿慢火熬至黑色再入?白亂髮煎少時濾去滓再上慢火熬却入黃丹以柳?不住手攪滴水成珠不散乃入乳沒膠香十分攪勻盛器沈水中三日取出聽用治諸般惡瘡腫毒及諸傷[得效]

☞ 선응고(善應膏)

○ 황단 300g, 백교향, 유향, 몰약(모두 따로 간 것), 당귀, 백지, 행인, 대황, 초오,오두(천오), 적작약, 빈랑, 생건지황, 천궁, 송진(따로 간 것), 난발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참기름 600g에 3일밤 담가두었다가 약한 불에 검게 되도록 달인다. 다음 파밑과 난발을 넣고 다시 잠깐 달여 걸러서 찌꺼기를 버린다. 여기에 황단을 넣고 다시 약한 불에 달이는데 버드나무주걱[柳?]으로 쉬임없이 저으면서 달이다가 물에 떨구어보아 구슬 같이 되면서 풀어지지 않을 때 유향, 몰약, 백교향을 넣고 잘 젓는다. 이것을 그릇에 담아 3일 동안 물에 담가두었다가 꺼내어 쓴다. 여러 가지 악창종독(惡瘡腫毒)과 여러 가지로 다쳐서 상한 것[諸傷]을 치료한다[득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과실(果部)] 야자(椰子) 353
[부인(婦人)] 갓난아이의 구급법[小兒初生救急] 352
[소아(小兒)] 만성 경풍에 치료되지 않는 증[慢驚風不治證] 352
[해독(解毒)] 원화중독[?花毒] 351
[소아(小兒)] 마마 때에 먹일 수 있는 좋은 음식[痘疹宜食物] 351
[천지운기(天地運氣)] 6정년(六丁年)은 위화(委和)의 해[六丁年委和之氣] 350
[풀(草部)] 아위(阿魏) 349
[눈(眼)] 순생예와 역생예[順逆生瞖 ] 349
[변증(辨證)] 5사소란(五邪所亂) 349
[소아(小兒)] 마마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48
[벌레(蟲部)] 작옹(雀瓮, 쐐기벌레집) 348
[벌레(蟲部)] 갈(蝎, 전갈) 348
[벌레(蟲部)] 형화(螢火, 반딧불) 348
[잡방(雜方)] 구고고(救苦膏) 346
[잡방(雜方)] 선응고(善應膏) 346
[변증(辨證)] 병에는 5가지 역증이 있다[病有五逆] 345
[벌레(蟲部)] 슬자(蝨子, 이) 345
[변증(辨證)] 5사맥이 나타나는 것[五邪所見] 344
[벌레(蟲部)] 서부(鼠婦) 343
[천지운기(天地運氣)] 진술년[辰戌之歲] 342
[기침(咳嗽)] 지나치게 웃어서 생기는 해역[過笑咳逆] 342
[옹저(癰疽)] 변독 때 뜸을 뜨는 방법[灸便毒法] 342
[변증(辨證)] 5가지 맛을 꺼릴 것[五味所禁] 341
[잡방(雜方)] 육향고(六香膏) 341
[잡방(雜方)] 신국을 만드는 방법[造神麴法] 340
[새(禽部)] 호작(蒿雀, 촉새) 340
[벌레(蟲部)] 활사(活師, 올챙이) 340
[짐승(獸部)] 필두회(筆頭灰, 오래된 붓끝을 태운 재) 336
[벌레(蟲部)] 천산갑(穿山甲) 335
[소아(小兒)] 마마를 앓는 기간[痘瘡日限] 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