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수소음심경의 순행[手少陰心經流注]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420 추천 수 0
◎ 手少陰心經流注 ○ 手少陰之脈起於心中出屬心系下膈絡小腸其支者從心系上挾咽喉繫目其直者復從心系却上肺下出腋下下循?內後廉行太陰心主之後下?內(少海穴)循臂內後廉(靈道穴)抵掌後銳骨之端(神門穴)入掌後內後廉(少府穴)循小指之內出其端(少衝穴自此交入手太陽)是動則病?乾心痛渴而欲飮是謂臂厥是主心所生病者目黃脇痛?臂內後廉痛厥掌中熱盛者寸口大再倍於人迎虛者寸口反小於人迎也[靈樞]○午時自大包交與極泉循臂行至小指少衝穴止[入門]

☞ 수소음심경의 순행[手少陰心經流注] ○ 수소음경맥은 심에서 시작하여 심계(心系)에 속하고 횡격막을 뚫고 내려가 소장에 연락하고 한 가지는 심계로부터 울대를 끼고 올라가 눈에서 끝났다. 곧바로 가는 가지는 다시 심계로부터 폐로 올라갔다가 겨드랑이 밑으로 나와서 팔죽지 뒤쪽을 따라 수태음경맥과 수궐음심포락경맥의 뒤로 가서 팔굽 안(소해혈)으로 내려와 팔뚝 안쪽 뒤(영도혈)를 따라 손바닥 뒤 뾰족한 뼈의 끝(신문혈)에 이르고 손바닥 안쪽 뒤(소부혈)로 들어가 새끼손가락 안쪽으로 따라 그 끝(소충혈이며 여기서부터 수태양경에 연계되었다)에 가서 끝났다. ○ 시동병(是動病)은 목이 마르고 가슴이 아프며 목이 말라 물을 마시려고 하는데 비궐이라고 한다. 이것은 주로 심과 관련된 병이다. 소생병(所生病)은 눈이 누렇고 옆구리가 아프며 팔죽지와 팔뚝 안쪽 뒤 변두리가 아프고 차며 손바닥이 단다. 이 경맥의 기가 실할 때에는 촌구맥이 인영맥보다 두배가 크고 허할 때에는 촌구맥이 인영맥보다 오히려 작다[영추]. ○ 이 경맥의 경기는 오시(11-13시)에 대포혈로부터 시작하여 극천혈에 연락되고 팔을 따라 새끼손가락 끝 소충혈까지 가서 끝난다[입문]. 

◎ 手少陰心經左右凡一十八穴 

☞ 수소음심경(좌우 모두 18개 혈) 

? 少衝二穴 ○ 一名經始在手小指端內側去爪甲角如?葉手少陰脈之所出爲井鍼入一分可灸三壯[銅人]

☞ 소충(小衝, 2개 혈) ○ 일명 경시(經始)라고도 하는데 새끼손가락 손톱눈 안쪽 모서리에서 부추잎만큼 떨어진 곳에 있다. 수소음경의 정혈이다. 침은 1푼을 놓으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少府二穴 ○ 在手小指本節後陷中直勞宮手少陰脈之所流爲滎鍼入二分可灸五壯[銅人]

☞ 소부(少府, 2개 혈) ○ 새끼손가락 밑마디 뒤 우묵한 곳에 노궁혈과 직선으로 있다. 수소음경의 형혈이다. 침은 2푼을 놓으며 뜸은 5장을 뜬다[동인]. 

? 神門二穴 ○ 一名兌衝一名中都在掌後銳骨之端動脈陷中手少陰脈之所注爲?鍼入三分留七呼可灸七壯[銅人] ○ 內經言心臟堅固邪不能容故手少陰獨無輸其外經病而藏不病者獨取其經於掌後銳骨之端神門穴是也[綱目]

☞ 신문(神門, 2개 혈) ○ 일명 예충(兌衝) 또는 중도(中都)라고도 하는데 손바닥 뒤 예골끝 맥이 뛰는 우묵한 곳에 있다. 수소음경의 수혈이다. 침은 3푼을 놓으며 7번 숨쉴 동안 꽂아 두고 뜸은 7장을 뜬다[동인]. ○ 『내경』에 심은 든든하여 사기가 들어가지 못하므로 수소음경맥만은 수혈이 없다. 그러므로 그 밖의 경맥에는 병들고 심에는 병들지 않았을 때 이 경맥이 지나간 손바닥 뒤 예골끝에서 침혈을 잡으라고 하였는데 그 침혈이 바로 신문혈이다[강목]. 

? 陰?二穴 ○ 在掌後脈中去腕五分[銅人] ○ 在掌後五分動脈中手少陰?鍼入三分可灸七壯[入門]

☞ 음극(陰?, 2개 혈) ○ 손바닥 뒤 맥이 뛰는 곳에 있으며 손목에서 5푼 올라가 있다[동인]. ○ 손바닥 뒤에서 위로 5푼 올라가 맥이 뛰는 가운데 있으며 수소음경의 극혈이다. 침은 3푼을 놓고 뜸은 7장을 뜬다[입문]. 

? 通里二穴 ○ 在腕後一寸手少陰絡別走太陽鍼入三分可灸三壯[銅人]

☞ 통리(通里, 2개 혈) ○ 손목 뒤에서 1치 위에 있으며 수소음경의 낙혈이다. 여기서 갈라져 수태양경맥으로 간다. 침은 3푼을 놓으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靈道二穴 ○ 在掌後一寸五分手少陰脈之所行爲經鍼入三分可灸三壯[銅人]

☞ 영도(靈道, 2개 혈) ○ 손바닥 뒤에서 1치 5푼 위에 있으며 수소음경맥의 경혈이다. 침은 3푼 놓고 뜸은 3장 뜬다[동인]. 

? 少海二穴 ○ 一名曲折在?內廉節後陷中[銅人] ○ 在?內大骨外去?端五分[綱目] ○ 在?內廉節後陷中動脈應手屈?得之[資生] ○ ?內廉橫紋頭盡處陷中曲手向頭取之[入門] ○ 手少陰脈之所入爲合鍼入三分可灸三壯[銅人]

☞ 소해(小海, 2개 혈) ○ 일명 곡절(曲折)이라고 하는데 팔굽 안쪽 변두리 관절 뒤의 우묵한 곳에 있다[동인]. ○ 팔굽 안쪽 대골외측 팔꿈치 끝에서 5푼 떨어져 있다[강목]. ○ 팔굽 안쪽 관절 뒤 우묵한 곳의 맥이 뛰는 곳에 있는데 팔굽을 구부리고 잡는다[자생]. ○ 팔굽 안쪽 가로간 금 끝의 우묵한 가운데 있다. 팔을 구부려 손이 머리에 닿게 한 다음 침혈을 잡는다[입문]. ○ 수소음경의 합혈이다. 침은 3푼을 놓으며 뜸은 3장을 뜬다[동인]. 

? 靑靈二穴 ○ 在?上三寸伸?擧臂取之可灸七壯禁不可鍼[銅人]

☞ 청령(靑靈, 2개 혈) ○ 팔굽에서 3치 위에 있다. 팔굽을 편 다음 팔 안쪽, 겨드랑이 아래 팔을 들고 침혈을 잡는다. 뜸은 7장을 뜨며 침은 놓지 말아야 한다[동인]. 

? 極泉二穴 ○ 在臂內腋下筋間動脈入胸處鍼入三分可灸七壯[銅人]

☞ 극천(極泉, 2개 혈) ○ 팔죽지 안쪽 겨드랑이 아래의 두 힘줄 사이에 혈맥이 가슴으로 들어간 곳에 있다. 침은 3푼을 놓으며 뜸은 7장을 뜬다[동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변증(辨證)] 5가지 맛은 들어가는 곳이 있다[五味所入] 333
[벌레(蟲部)] 강랑(??, 말똥구리) 333
[침구(針灸)] 독맥의 순행과 침혈[督脈流注及孔穴] 332
[잡방(雜方)] 십향고(十香膏) 331
[눈(眼)] 골안응정(鶻眼凝睛) 330
[소아(小兒)] 보호하는 법[保護] 330
[옹저(癰疽)] 정저 때 뜸을 뜨는 방법[灸?疽法] 329
[천지운기(天地運氣)] 6기년(六己年)은 비감(卑監)의 해[六己年卑監之紀] 328
[새(禽部)] 창경(??) 328
[침구(針灸)] 12경맥의 순행과 분포되어 있는 부분[十二經行度部分] 327
[침구(針灸)] 5수혈과 음양의 배합[五?陰陽配合] 327
[눈(眼)] 흑풍(黑風) 327
[새(禽部)] 교부조(巧婦鳥, 뱁새) 326
[과실(果部)] 진자(榛子, 개암) 326
[짐승(獸部)] 시피(豺皮, 승냥이가죽) 324
[풀(草部)] 삼릉(三稜) 323
[소아(小兒)] 급경풍에 치료되지 않는 증[急驚風不治證] 322
[눈(眼)] 경진(驚振) 321
[눈(眼)] 오풍변(五風變) 320
[잡방(雜方)] 영응고(靈應膏) 320
[소아(小兒)] 마마 때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20
[새(禽部)] 벽체고(??膏, 뜸부기기름) 319
[잡방(雜方)] 포도주(蒲萄酒) 318
[해독(解毒)] 호리병박중독[苦瓠毒] 317
[소아(小兒)] 만비풍에 치료되지 않는 증[慢脾風不治證] 317
[새(禽部)] 제고취(??嘴) 317
[눈(眼)] 조화예(棗花瞖) 316
[눈(眼)] 태환(胎患) 316
[잡방(雜方)] 황랍을 술에 달이는 방법[酒煮蠟法] 316
[나무[木部]] 유화(柳花, 버들개지) 유지(柳枝, 버드나무가지) 목중충설(木中蟲屑, 버드나무 속의 좀똥) 유엽(柳葉, 버들잎) 적정(赤檉, 붉은 개버들) 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