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木部]

유화(柳花, 버들개지) 유지(柳枝, 버드나무가지) 목중충설(木中蟲屑, 버드나무 속의 좀똥) 유엽(柳葉, 버들잎) 적정(赤檉, 붉은 개버들)

한닥터 2015.03.09 조회 수 316 추천 수 0

유화(柳花, 버들개지)

성질은 차며[寒] 맛은 쓰고[苦] 독이 없다. 풍수종, 황달, 얼굴이 뜨거운 증과 검은 딱지가 앉는 증, 악창을 낫게 하며 쇠붙이에 다쳐서 출혈을 멈추며 습비(濕痺)를 낫게 한다.

○ 버들개지는 처음 필 때의 누른 꽃술(黃蘂)이다. 그 꽃이 말라야 솜 같은 것이 나오는데 이것을 버들솜(柳絮)이라고 한다. 이것을 모아 뜸자리 헌데에도 바르고 포단도 만든다. 이것은 날아다니는 솜인데 그 속에 잘고 검은 씨가 달려 있다. 바람에 날려 다닌다. 그 씨는 아주 잔데 못에 떨어지면 개구리밥(浮萍)이 된다[본초].

○ 백양나무와 버드나무는 다르다. 백양나무는 잎이 둥글고 넓으며 붉고 가지가 짧고 단단하다. 버드나무는 잎이 좁고 길며 연한 풀빛이고 가지가 길며 부드럽다[본초].


유지(柳枝, 버드나무가지)

치통과 풍열로 붓고 가려운 때에 씻음약[浴湯] 또는 고약(膏藥)을 만들어 쓴다. 이빨병[牙齒病]에 매우 요긴한 약이다[본초].


목중충설(木中蟲屑, 버드나무 속의 좀똥)

풍증과 가려운 것, 두드러기를 낫게 한다[본초].


유엽(柳葉, 버들잎)

정창( 瘡)과 끓는 물 또는 불에 데어 독이 속에 들어가서 열이 나고 답답해하는 것을 낫게 한다. 전시(傳尸), 골증로(骨蒸勞)를 낫게 하며 부종을 내리게 한다.

○ 고약을 만들어 쓰면 힘줄과 뼈를 이어지게 하며 새살을 잘 살아나오게 하고 치통을 멎게 한다[본초].


적정(赤檉, 붉은 개버들)

일명 우사(雨師)라고도 하는데 강가에서 자라는 작은 버들이다. 줄기가 벌겋고 잎이 가늘다. 즉 벌건 버들이다. 옴과 버짐 모든 악창을 낫게 한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변증(辨證)] 5가지 맛은 들어가는 곳이 있다[五味所入] 333
[벌레(蟲部)] 강랑(??, 말똥구리) 333
[침구(針灸)] 독맥의 순행과 침혈[督脈流注及孔穴] 332
[잡방(雜方)] 십향고(十香膏) 331
[눈(眼)] 골안응정(鶻眼凝睛) 330
[소아(小兒)] 보호하는 법[保護] 330
[옹저(癰疽)] 정저 때 뜸을 뜨는 방법[灸?疽法] 329
[천지운기(天地運氣)] 6기년(六己年)은 비감(卑監)의 해[六己年卑監之紀] 328
[새(禽部)] 창경(??) 328
[침구(針灸)] 12경맥의 순행과 분포되어 있는 부분[十二經行度部分] 327
[침구(針灸)] 5수혈과 음양의 배합[五?陰陽配合] 327
[눈(眼)] 흑풍(黑風) 327
[새(禽部)] 교부조(巧婦鳥, 뱁새) 326
[과실(果部)] 진자(榛子, 개암) 326
[짐승(獸部)] 시피(豺皮, 승냥이가죽) 324
[풀(草部)] 삼릉(三稜) 323
[소아(小兒)] 급경풍에 치료되지 않는 증[急驚風不治證] 322
[눈(眼)] 경진(驚振) 321
[눈(眼)] 오풍변(五風變) 320
[잡방(雜方)] 영응고(靈應膏) 320
[소아(小兒)] 마마 때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20
[새(禽部)] 벽체고(??膏, 뜸부기기름) 319
[잡방(雜方)] 포도주(蒲萄酒) 318
[해독(解毒)] 호리병박중독[苦瓠毒] 317
[소아(小兒)] 만비풍에 치료되지 않는 증[慢脾風不治證] 317
[새(禽部)] 제고취(??嘴) 317
[눈(眼)] 조화예(棗花瞖) 316
[눈(眼)] 태환(胎患) 316
[잡방(雜方)] 황랍을 술에 달이는 방법[酒煮蠟法] 316
[나무[木部]] 유화(柳花, 버들개지) 유지(柳枝, 버드나무가지) 목중충설(木中蟲屑, 버드나무 속의 좀똥) 유엽(柳葉, 버들잎) 적정(赤檉, 붉은 개버들) 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