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음식(飮食)

한닥터 2011.10.21 조회 수 306 추천 수 0
◎ 飮食 ○ 痘以脾胃爲主自始至終以能食爲順又曰淡食爲佳 ○ 貫膿時宜食老鷄補氣收?時宜食雄鴨收毒或精肥猪肉惟終始忌魚#以助痰滯氣故也 ○ 痘瘡忌食生冷肥?鹽鹹茶醋酒?蒜魚羊肉猪肝血枾棗飴糖特忌鷄鵝鴨卵烹食令兒目盲[入門] ○ 勿食酸辣五辛(?蒜薑??)有毒之物恐熱毒熏肝生眼中?障[綱目] ○ 痘瘡首尾切不可飮冷水少與滾熟水則可 ○ 自發熱至收?諸般血肉皆不宜食盖助火邪滋熱毒故也若脾胃虛弱則止用?魚(卽石首魚)及精猪肉去盡脂肪淡煮少食以助滋味[醫鑑] ○ 乳母當愼口不可令飢及受風寒必變黑歸腎難治[海藏] ○ ?兒未能服藥則當兼治乳母令服藥釀乳以飼之?其氣血淸和飮食有節投以調氣通榮之劑則瘡心肥滿光澤無陷伏之憂矣[正傳] ○ 乳母食後須?去宿乳令盡乃服藥卽仰臥?時乃令兒?其乳汁[綱目]

☞ 음식(飮食)

○ 마마 때는 비위(脾胃)가 기본이 되므로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잘 먹으면 순조롭게 경과한다. 그리고 싱겁게 먹는 것이 좋다. ○ 고름이 잡힐 때에는 묵은 닭[老鷄]을 먹여서 기(氣)를 보할 것이고 딱지가 앉을 때에는 숫오리나 살찐 돼지고기를 먹여 독을 없애야 한다. 그리고 오직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비린내 나는 생선만은 먹이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담(痰)을 돕고 기를 막히게[滯] 하기 때문이다. ○ 마마 때에 생것과 찬 것, 살찌고 기름진 것, 짠 것, 차, 식초, 술, 파, 마늘, 물고기, 양고기, 돼지간, 피, 감, 대추, 엿, 사탕 등을 먹여서는 안 된다. 특히 닭, 게사니[鵝], 오리알 등을 삶아 먹이면 어린이의 눈에 좋지 않다[입문]. ○ 신 것, 5가지 매운 것(파, 마늘, 생강, 부추, 염교)과 독이 있는 것을 먹이지 말 것이다. 그것은 열독(熱毒)이 간을 훈증하여 예장(?障)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강목]. ○ 마마 때에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찬물을 마시지 않게 하며 끓인 물을 조금씩 먹이는 것이 좋다. ○ 열이 나기 시작한 때로부터 딱지가 앉을 때까지 온갖 피와 고기를 먹여서는 안 된다. 그것은 화사(火邪)를 돕고 열독을 더하게 하기 때문이다. 만일 비위(脾胃)가 허약하면 다만 조기와 기름을 뺀 돼지정육을 싱겁게 끓여 조금씩 먹여 음식맛을 돋울 것이다[의감]. ○ 유모가 음식에 주의하지 못하고 배고프게 하거나 풍한을 받게 하면 반드시 검은 빛으로 변하여 신(腎)으로 가는데 이것은 치료하기 어렵다[해장]. ○ 갓난아이가 약을 먹지 못할 때에는 유모에게 약을 먹여 아기가 그 젖을 빨게 한다. 유모로 하여금 기혈(氣血)을 순조롭게 하고 음식을 적당히 먹으면서 기를 고르게 하고 혈을 잘 돌게 하는 약을 먹이면 구슬이 충실하고 윤택해져서 속으로 꺼져 들어갈 염려가 없게 된다[정전]. ○ 유모가 음식을 먹은 뒤에 묵은 젖은 다 짜버리고 약을 먹고 나서 반듯이 누워 잠깐 있다가 아기에게 그 젖을 빨려야 한다[강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옹저(癰疽)] 석옹 때 뜸을 뜨는 방법[灸石癰法] 315
[해독(解毒)] 서각[犀角] 314
[변증(辨證)] 5정소병(五精所幷) 312
[새(禽部)] 갈계(?鷄) 312
[눈(眼)] 언월예(偃月瞖) 311
[소아(小兒)] 등불로 비추어 보는 법[照燈影法] 311
[변증(辨證)] 5장 기운으로 생기는 병[五氣所病] 310
[새(禽部)] 박로(搏勞) 310
[침구(針灸)] 4계절에 따라 5수혈에 침놓는 방법[五?鍼隨四時] 307
[눈(眼)] 막입수륜(膜入水輪) 306
[소아(小兒)] 음식(飮食) 306
[잡방(雜方)] 조가비를 가루내는 방법[造海粉法] 305
[변증(辨證)] 5장이 주관하는 것[五臟所主] 303
[새(禽部)] 어구(魚狗) 303
[변증(辨證)] 5장이 간직하고 있는 것[五臟所藏] 302
[잡방(雜方)] 나쁜 연기독을 푸는 방법[解烟熏] 302
[새(禽部)] 백학(白鶴, 두루미) 302
[풀(草部)] 대청(大靑) 301
[눈(眼)] 부예(浮翳) 300
[소아(小兒)] 꺼릴 것[禁忌] 299
[침구(針灸)] 기가 돌아가는 길[氣行有街] 296
[잡방(雜方)] 황단을 만드는 방법[造黃丹法] 293
[침구(針灸)] 자오8법(子午八法) 292
[새(禽部)] 절지(竊脂) 290
[벌레(蟲部)] 토도사(土桃蛇) 290
[새(禽部)] 두견(杜鵑, 소쩍새) 284
[침구(針灸)] 정합의 의의[井合有義] 283
[나무[木部]] 오수유(吳茱萸) 오수유엽(吳茱萸葉, 오수유나뭇잎) 식수유(食茱萸) 식수유수피(食茱萸樹皮, 식수유나무껍질) 282
[천지운기(天地運氣)] 인신년[寅申之歲] 279
[침구(針灸)] 12경맥의 혈과 기가 많고 적은 것[十二經血氣多少] 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