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氣)

하기(下氣)

한닥터 2011.07.13 조회 수 847 추천 수 0

下氣 綱目曰下氣屬心經曰夏脈者心也.心脈不及下爲氣泄是也. 又曰癲癎勞?者若氣下泄不止者必死此眞氣竭絶腸胃?理閉塞穀氣不能宣通於腸胃之外故從腸胃中泄出也. 河間曰腸胃鬱結穀氣內發而不能宣通於腸胃之外故善噫而或下氣也. 仲景曰傷寒陽明病胃中有燥屎者必轉失氣下之卽愈轉失氣乃氣下泄也.詳見寒門


하기(下氣)
○ 『강목에는 "하기(下氣)는 심에 속한다"고 씌어 있다. 에는 "여름의 맥은 심()이 주관하는데 심맥(心脈)이 제대로 뛰지 못하고 처지면 기설증(氣泄證)이 된다"고 씌어 있다. 또한 "전간(癲癎)이나 노채(勞?)에 걸린 환자가 만약 기가 처져 내려가 계속 설사하면 반드시 죽는다. 이것은 진기가 말라 없어지고 장위(腸胃)와 주리(?理)가 막혀서 곡기(穀氣)가 장위의 밖으로는 퍼져 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장위를 따라 설사로 나간다"고 씌어 있다. 하간(河間)"장위(腸胃)가 울결되어 곡기가 안으로만 쏠리고 장위의 밖으로는 퍼져 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트림이 나가고 혹은 방귀가 잘 나간다"고 하였다. 중경은 "상한 양명병에 속에 마른 대변이 있을 때는 반드시 방귀가 나간다. 설사시키면 곧 낫는다. 방귀가 나오는 것은 기가 처져 밖으로 나오는 것이다"고 하였다.(자세한 것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


[
] 하기(下氣) : 기가 위로 치민 것이 가라앉는 것. 하초의 기운, 몸 아랫도리의 기운. 방귀가 나가는 것.

[] 기설증(氣泄證) : 기로 인해서 생긴 설사증. 기운이 빠져 나가는 것.

[] 곡기(穀氣) : 음식을 먹어서 생긴 기(기운)를 말한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옹저(癰疽)] 부골저(附骨疽) 2115
[내상(內傷)] 내상과 외상의 감별[辨內外傷證] 2112
[신형(身形)] 병들지 않게 하며 건강하고 오래 살게 하는 약[養性延年藥餌] 2102
[신형(身形)] 옛날에 진인(眞人), 지인(至人), 성인(聖人), 현인(賢人)이 있었다 2092
[적취(積聚)] 적취를 치료하는 방법[積聚治法] 2089
[기(氣)] 기로 생긴 통증[氣痛] 2072
[정(精)] 정을 보하는 약[補精藥餌] 2068
[소갈(消渴)] 소갈을 두루 치료하는 약[消渴通治藥] 2055
[습(濕)] 습열(濕熱) 2053
[신형(身形)] 형체와 기의 시초[形氣之始] 2052
[담음(痰飮)] 풍담(風痰) 2051
[심장(心臟)] 심장이 크고 작은 것[心臟大小] 2039
[담음(痰飮)] 가래침을 자주 뱉는 것[喜唾痰] 2018
[습(濕)] 한습(寒濕) 2012
[화(火)] 신열(腎熱) 2006
[채소(菜部)] 대산(大蒜, 마늘) 2000
[내상(內傷)] 식상 때 소화시키는 약[食傷消導之劑] 1993
[화(火)] 심열(心熱) 1991
[내상(內傷)] 비위가 상하면 음식생각도 없고 입맛도 없다[內傷脾胃則不思食不嗜食] 1989
[오줌(小便)] 적탁과 백탁[赤白濁] 1985
[기(氣)] 기울(氣鬱)/기 1975
[신(神)] 신병에 두루 쓰는 약[神病通治藥餌] 1958
[허리(腰)] 신허로 허리가 아픈 것[腎虛腰痛] 1 1958
[화(火)] 상초열(上焦熱) 1 1958
[내상(內傷)] 술에서 깨게 하고 취하지 않게 하는 것[醒酒令不醉] 1954
[내상(內傷)] 노권상의 치료법[勞倦傷治法] 1953
[혈(血)] 피똥[便血] 1916
[발(足)] 위증을 치료하는 방법[?病治法] 1913
[후음(後陰)] 탈항(脫肛) 1904
[비장(脾臟)] 비병을 치료하는 방법[脾病治法] 18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