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조회 수
[한(寒)] 상한 때의 혈증[傷寒血證] 854
[한(寒)] 괴증(壞證) 826
[한(寒)] 상한병에 맥이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은 땀이 나려는 것이다[傷寒無脈爲欲汗] 766
[한(寒)] 병이 나은 뒤에 정신이 흐릿한 것[差後昏沈] 489
[한(寒)] 상한병의 치료법[傷寒治法] 1606
[한(寒)] 땀을 내야 할 증과 땀을 내서는 안될 증[可汗不可汗證] 639
[한(寒)] 망양증(亡陽證) 562
[한(寒)] 감한과 4시상한[感寒及四時傷寒] 1055
[습(濕)] 안개와 이슬 기운이 장기가 된다[霧露之氣爲?] 1036
[습(濕)] 풍습(風濕) 1278
[내상(內傷)] 술로 생긴 병을 치료하는 법[酒病治法] 1865
[내상(內傷)] 술에서 깨게 하고 취하지 않게 하는 것[醒酒令不醉] 1955
[기침(咳嗽)] 장부와 관련된 기침을 치료하는 약[臟腑治咳藥] 1253
[기침(咳嗽)] 오랜 기침[久嗽] 1441
[기침(咳嗽)] 밤에 나는 기침[夜嗽] 1455
[기침(咳嗽)] 풍한천(風寒喘) 1177
[기침(咳嗽)] 기천(氣喘) 1135
[적취(積聚)] 식적병(息積病) 825
[적취(積聚)] 다적(茶積) 745
[적취(積聚)] 충적(蟲積) 1300
[부종(浮腫)] 수종을 치료하는 방법[水腫治法] 2731
[황달(黃疸)] 황달을 치료하는 방법[黃疸治法] 839
[학질(?疾)] 6경 학질[六經?] 1150
[학질(?疾)] 학질은 낮에 발작하는 것과 밤에 발작하는 것을 반드시 갈라서 치료해야 한다[?晝發夜發宜分治] 1191
[학질(?疾)] 풍학(風?) 883
[온역(瘟疫)] 온역을 치료하는 방법[瘟疫治法] 2154
[온역(瘟疫)] 장역(?疫) 673
[옹저(癰疽)] 비옹(臂癰) 431
[옹저(癰疽)] 부골저(附骨疽) 2115
[옹저(癰疽)] 부골저가 생기려고 할 때에 예방하는 방법[始發豫防法] 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