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血)

내상이 되면 피를 흘리게 된다[內傷失血]

한닥터 2011.07.15 조회 수 761 추천 수 0
◎ 內傷失血 ○ 靈樞曰卒然多食飮則脹滿起居不節用力過度則陽絡脈傷陽絡脈傷則血外溢血外溢則?血陰絡脈傷則血內溢血內溢則後血?血出上七竅爲血溢大小便便血爲血泄<內經>

☞ 내상이 되면 피를 흘리게 된다[內傷失血]

  ○ 『영추』에는 "갑자기 음식을 많이 먹으면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해진다. 생활을 절도없이 하면서 힘을 지나치게 쓰면 양락맥(陽絡脈)㈜이 상한다. 양락맥이 상하면 피가 밖으로 넘쳐 나오는데 피가 밖으로 넘쳐나오면 코피가 나게 된다. ○ 음락맥(陰絡脈)㈜이 상하면 속으로 피가 넘쳐나게 된다. 속으로 피가 넘쳐 나면 항문으로 피가 나온다"고 씌어 있다. ○ 피가 위에 있는 7개의 구멍으로 나오는 것을 혈일(血溢)이라고 한다. 대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을 혈설(血泄)이라고 한다[내경]. 

[註] 양락맥(陽絡脈) : 양경맥에 속한 낙맥이다. 낙맥이란 원경맥에서 갈라진 경락의 작은 줄기인데 양경맥과 음경맥을 연결시킨다. 그리고 낙맥에는 양락맥과 음락맥이 있는데 양락맥은 음락맥보다 겉에 있다. 양락맥을 양명경의 낙맥이라고도 한다. 
[註] 음락맥 : 음경맥에 속한 낙맥인데 5장의 낙맥이라고도 한다. 양락맥보다 속에 있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유기노초(劉寄奴草) 46
[돌[石部]] 오고미(烏古尾, 오고와) 46
[금속[金部]] 석(錫, 주석) 47
[나무[木部]] 장뇌(樟腦) 50
[풀(草部)] 희렴(稀? , 진득찰) 52
[나무[木部]] 백단향(白檀香) 53
[돌[石部]] 활석(滑石, 곱돌) 53
[금속[金部]] 금설(金屑, 금가루) 53
[나무[木部]] 지각(枳殼) 54
[나무[木部]] 후박(厚朴) 54
[나무[木部]] 목근(木槿, 무궁화) 목근화(木槿花, 무궁화꽃) 54
[돌[石部]] 대자석(代?石) 54
[금속[金部]] 철정(鐵精) 54
[금속[金部]] 은설(銀屑, 은가루) 55
[금속[金部]] 황단(黃丹) 55
[금속[金部]] 철화분(鐵華粉) 55
[풀(草部)] 낭독(狼毒, 오독도기) 56
[나무[木部]] 추목피(秋木皮, 가래나무껍질, 초목피) 56
[풀(草部)] 파초근(芭蕉根, 파초뿌리) 57
[돌[石部]] 석고(石膏) 57
[금속[金部]] 동청(銅靑, 구리에 녹이 슨 것) 57
[금속[金部]] 약시철(?匙鐵, 열쇠) 57
[금속[金部]] 고거철치(故鋸鐵齒, 오래된 톱날) 57
[금속[金部]] 철부(鐵斧, 쇠도끼) 57
[풀(草部)] 연지(?脂) 58
[풀(草部)] 파초유(芭蕉油, 파초진) 58
[돌[石部]] 반석(礬石, 백반) 58
[금속[金部]] 경분(輕粉) 58
[나무[木部]] 뇌환(雷丸) 59
[돌[石部]] 공청(空靑)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