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달(黃疸)

단방(單方)

한닥터 2011.09.29 조회 수 633 추천 수 0
◎ 單方 ○ 凡三十種有酒煮茵蔯湯
☞ 단방(單方) ○ 모두 30가지이다(주자인진탕도 들어 있다). 

? 臘雪水 ○ 治黃疸微溫飮之[本草]
☞ 납설수(臘雪水, 납일에 내린 눈이 녹은 물) ○ 황달을 치료하는데 약간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본초]. 

? 車前草 ○ 最治黃疸搗取汁服之[直指]
☞ 차전초(車前草, 길짱구) ○ 황달을 치료하는데 짓찧어 즙을 내서 먹는다[직지]. 

? 茵蔯蒿 ○ 主黃疸通身發黃小便赤以水濃煎服生食亦良[本草] ○ 治酒疸取一兩淸酒煎服名酒煮茵蔯湯[醫鑑]
☞ 인진호(茵蔯蒿, 더위지기) ○ 황달로 온몸이 누렇게 되고 소변이 벌건 것을 치료한다. 진하게 달여서 먹는데 생것으로 먹어도 역시 좋다[본초]. ○ 주달(酒疸) 때에는 40g을 청주에 달여서 먹는데 이것을 주자인진탕(酒煮茵蔯湯)이라고 한다[의감]. 

? 葛根 ○ 解酒疸小便赤澁取一兩水煎服[本草]
☞ 갈근(葛根) ○ 주달로 소변이 벌거면서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데 40g을 물에 달여서 먹는다[본초]. 

? 瓜蔞根 ○ 主八疸身面黃水煎服之[本草]
☞ 과루근(瓜蔞根) ○ 8가지 황달로 몸과 얼굴이 누렇게 되는 것을 치료하는데 물에 달여서 먹는다[본초]. 

? 酸漿草 ○ 主黃疸根味絶苦?取汁飮之多效[本草]
☞ 산장초(酸漿草, 꽈리) ○ 황달을 치료한다. 뿌리는 맛이 매우 쓴데 즙을 내어 먹으면 효과가 많다[본초]. 

? 萱草根 ○ 主酒疸?取汁飮又嫩苗煮食之[本草]
☞ 훤초근(萱草根, 원추리뿌리) ○ 주달을 치료하는데 즙을 내어 먹는다. 또는 어린 싹을 달여서 먹어도 된다[본초]. 

? 王瓜根 ○ 治酒疸變成黑疸醫不能治取根搗取汁空心頓服一小升當有黃水隨小便出不效再服[本草]
☞ 왕과근(王瓜根, 왕과뿌리) ○ 주달이 흑달(黑疸)로 변하여 치료하기 어렵게 된 것을 낫게 한다. 뿌리를 짓찧어 즙을 내서 빈속에 작은 되로 1되씩 단번에 먹으면 반드시 누런 물이 소변으로 나온다. 그래도 낫지 않으면 다시 먹어야 한다[본초]. 

? 靑蒿 ○ 治熱黃心痛搗取汁飮之[本草]
☞ 청호(靑蒿, 제비쑥) ○ 열로 생긴 황달로 명치 밑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짓찧어 즙을 내서 먹는다[본초]. 

? ?蓄 ○ 治熱黃搗取汁頓服一小升[本草]
☞ 편축(篇蓄, 마디풀) ○ 열로 생긴 황달을 치료하는데 짓찧어 즙을 내서 작은 되로 1되를 단번에 먹는다[본초]. 

? 黃蘗 ○ 主黃疸水煎服之[本草]
☞ 황벽(黃蘗, 황경피나무껍질) ○ 황달을 치료하는데 물에 달여서 먹는다[본초]. 

? 梔子 ○ 主胃熱食疸水煎飮之[本草]
☞ 치자(梔子, 치자) ○ 위열(胃熱)로 생긴 식달(食疸)을 치료하는데 물에 달여서 먹는다[본초]. 

? 小麥苗 ○ 治酒疸搗取汁服或煮食之[本草]
☞ 소맥묘(小麥苗, 밀싹) ○ 주달을 치료하는데 짓찧어 즙을 내서 먹거나 달여서 먹는다[본초]. 

? 大麥苗 ○ 亦主黃疸取汁服[本草]
☞ 대맥묘(大麥苗, 보리싹) ○ 황달을 치료하는데 즙을 내어 먹는다[본초]. 

? ?魚 ○ 主黃疸作膾和五味食之又取活者置水中常常看之日一易最效[俗方]
☞ 부어(?魚, 붕어) ○ 황달을 치료하는데 회를 쳐서 양념을 하여 먹는다. 또는 산 것을 물속에 넣고 늘 봐도 되는데 하루 한번씩 물을 갈아주면 효과가 있다㈜[의감]. [註] 과학적 근거가 없는 방법이다. 

? 鯉魚 ○ 治黃疸如?魚法用之[俗方]
☞ 이어(鯉魚, 잉어) ○ 황달을 치료한다. 쓰는 방법은 붕어를 쓰는 방법과 같다[속방]. 

? 鱉 ○ 治酒疸烹熟如常法作羹數箇愈[種杏]
☞ 별(鱉, 자라) ○ 주달을 치료한다. 보통 먹을 때처럼 손질하여 국을 끓여서 먹는데 몇개만 쓰면 낫는다[종행]. 

? 桃根 ○ 治黃疸身面如金色取東引桃根一握細切水二鍾煎至半空心頓服三五日後其黃離離如薄雲散惟眼最後差可時時飮一盞淸酒則易散忌熱?猪魚[本草]
☞ 도근(桃根, 복숭아뿌리) ○ 황달로 몸과 얼굴이 금빛 같이 된 것을 치료한다. 동쪽으로 뻗었던 뿌리 1줌을 잘게 썰어서 물 2종지에 넣고 절반이 되게 달여 빈속에 단번에 먹는다. 그러면 3-5일이 지나서 누렇게 되었던 것이 구름이 사라지듯 없어진다. 그러나 눈이 노랗게 된 것은 나중에 없어지는데 때때로 술 1잔씩 먹으면 빨리 낫는다. 열이 나게 하는 음식, 국수, 돼지고기, 물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 蔓菁子 ○ 主急黃黃疸及內黃腹結不通取子搗細和水服二三錢當瀉出惡物黃水砂石草髮?出差[本草]
☞ 만청자(蔓菁子, 순나복자) ○ 급황, 황달, 황달이 속으로 들어가 배에 뭉쳐 잘 통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부드럽게 가루내어 8-12g씩 물에 타 먹으면 반드시 설사가 나면서 궂은 것[惡物], 누런 물, 모래, 풀, 털 같은 것들이 나오고 낫는다[본초]. 

? 甛瓜? ○ 治黃疸初發及時氣急黃瓜?爲末?兩鼻中出黃水又取一錢調溫水服得吐黃水便差[本草]
☞ 첨과체(甛瓜?) ○ 황달 초기와 돌림열병으로 급황(急黃)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꼭지를 가루내어 양콧구멍에 불어 넣으면 누런 물이 나온다. 또는 4g을 따뜻한 물에 타 먹어도 누런 물을 토하고 낫는다[본초]. 

? 絲瓜 ○ 治積傷酒?發黃完絲瓜連皮子燒灰爲末因?得病?湯調下因酒得病酒調下數服卽愈[種杏]
☞ 사과(絲瓜, 수세미오이) ○ 술과 국수에 체하여 황달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온전한 수세미오이를 불에 태워 재를 내서 가루내어 쓰는데 국수에 체하여 생긴 데는 국수물에 타 먹고 술에 체하여 생긴 데는 술에 타 먹는데 몇 번 먹으면 낫는다[종행]. 

? 水芹 ○ 治五種黃病取汁飮之作??或煮食或生食?得宜常食[本草]
☞ 수근(水芹, 미나리) ○ 5가지 황달을 치료한다. 즙을 내거나 생절이를 하거나 삶거나 날 것으로 먹어도 다 좋은데 늘 먹어야 한다[본초]. 

? 生? ○ 治傷寒發黃目不識人生?火?熟去#皮取心?出汁?香油點兩目大小?立明 ○ 又燒酒口?令病人開目噴之其眼自明[種杏]
☞ 생총(生?, 생파) ○ 상한(傷寒)으로 황달이 생겨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잿불에 묻어 구워서 겉껍질을 버리고 즙을 내어 참기름에 타서 양쪽 눈귀에 넣으면 곧 낫는다. ○ 또는 소주를 입에 머금었다가 환자의 눈에 뿜어 넣어주어도 낫는다[종행]. 

? 苦瓠 ○ 去黃疸煎取汁滴鼻中出黃水差[本草]
☞ 고호(苦瓠, 쓴 박) ○ 황달을 치료하는데 달여서 즙을 내어 콧구멍에 떨구어 넣으면 누런 물이 나오고 낫는다[본초]. 

? 絲蓴 ○ 治熱疸作羹作?常食佳[本草]
☞ 사순(絲蓴, 순채) ○ 열로 생긴 황달을 치료하는데 국을 끓이거나 김치를 담가 늘 먹으면 좋다[본초]. 

? 冬葵 ○ 治時行黃病煮汁飮又作羹作?常食[本草]
☞ 동규(冬葵, 돌아욱) ○ 돌림황달을 치료하는데 달여서 먹는다. 또는 국을 끓이거나 김치를 담가 늘 먹는다[본초]. 

? 白烏鷄 ○ 傷寒發黃胸心昏悶不省死在須更白烏雄鷄一隻去毛及腸屎以刀爛切鋪心頭上少頃卽活[醫鑑]
☞ 백오계(白烏鷄, 흰털이 난 뼈 검은 닭) ○ 상한으로 생긴 황달로 가슴이 몹시 답답하고 정신을 차리지 못하여 곧 죽을 것 같이 된 데 좋다. 흰털이 난 뼈 검은 수탉 1마리를 털과 내장을 버리고 짓찧어 심장 부위에 붙이면 곧 낫는다[의감]. 

? 熊膽 ○ 療天行黃疸取少許和水服[本草]
☞ 웅담(熊膽, 곰열) ○ 돌림황달을 치료하는데 조금씩 물에 타서 먹는다[본초]. 

? 猪糞 ○ 治同上取糞漬水取淸頓服[本草]
☞ 저분(猪糞) ○ [번역생략] 

? 猪脂 ○ 治五疸及胃中有乾屎發黃煎猪脂取三合日三服大便乾屎下乃愈[本草]
☞ 저지(猪脂, 돼지기름) ○ 5가지 황달과 위 속에 마른 대변이 있어서 황달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돼지기름 3홉을 하루 세번 나누어 먹으면 마른 대변이 나오고 낫는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구토(嘔吐)] 맥 보는 법[脈法] 586
[해독(解毒)] 행인중독[杏仁毒] 586
[물(水部)] 반천하수(半天河水) 586
[새(禽部)] 오자계육(烏雌鷄肉) 586
[짐승(獸部)] 용골(龍骨) 용치(龍齒) 자소화(紫梢花) 586
[물고기(魚部)] 노어(?魚, 농어) 586
[배(腹)] 침뜸치료[鍼灸法]/배 585
[후음(後陰)] 여러 가지 치질의 이름[諸痔名目] 585
[학질(?疾)] 학질이 장차 낫겠는가를 알 수 있는 것[知?將差] 585
[한(寒)] 임신부의 상한[孕婦傷寒] 584
[창만(脹滿)] 창만 때 설사가 나는 것[脹滿泄瀉] 584
[풀(草部)] 강활(羌活, 강호리) 583
[맥(脈)] 손가락을 대는 법[下指法] 583
[심병(審病)] 병을 진찰하는 묘한 방법[察病玄機] 583
[소갈(消渴)] 충갈(蟲渴) 583
[침구(針灸)] 침을 만드는 방법[鍊鍼法] 582
[입과 혀(口舌)] 침뜸치료[鍼灸法]/입과 혀 582
[내상(內傷)] 생각을 지나치게 하여 기가 몰려 먹지 못하는 것[思結不食] 582
[학질(?疾)] 오한과 열이 나는 선후차[寒熱先後] 582
[제창(諸瘡)] 단방(單方) 582
[담음(痰飮)] 담병 때 치료하기 어려운 증상[痰病難治證] 581
[충(蟲)] 노채인가를 시험해 보는 방법[驗?法] 581
[맥(脈)] '맥'자에는 의미가 있다[脈字有義] 581
[용약(用藥)] 병을 치료할 때에는 반드시 본을 치료해야 한다[治病必求於本] 581
[곽란(?亂)] 단방(單方) 581
[해독(解毒)] 오이나 과실에 중독된 것[苽果毒] 581
[목(頸項)] 목의 치수[頸項寸數] 580
[풍(風)] 단방(單方)/풍 580
[제창(諸瘡)] 침치료[鍼法] 580
[잡방(雜方)] 좀을 없애는 방법[??] 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