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액(津液)

느침[唾]

한닥터 2011.07.18 조회 수 766 추천 수 0

唾者腎之液也.內經曰腎爲唾唾生於牙齒?腎冷則多唾腎熱則無唾?水之在口曰華池亦曰玉泉黃庭經曰玉泉淸水灌靈根審能修之可長存靈根者舌也.(活心人)?大病差後喜唾者胃上有寒宜理中丸溫之<仲景>?大病新愈喜唾不休或唾白沫者胃口上停寒也.理中丸(方見寒門)加益智仁<東垣>?蟲證多涎唾(詳見蟲門)


느침[]


느침은 신()의 액이다. 내경"느침은 신()에서 생겨서 잇몸으로 나온다"고 씌어 있다. ()이 차면[] 느침이 많고 신에 열이 있으면 느침이 없다. 입 안에 나와 있는 침을 화지(華池)라고도 하고 옥천(玉泉)이라고도 한다. 황정경에는 "옥천에 맑은 물이 영근(靈根)을 축여 준다. 이것을 잘 처리할 줄 알면 장수할 수 있다. 영근이란 혀를 말한다"고 씌어 있다[활인심]. 중병이 나은 다음에 느침을 자주 뱉는 것은 위구(胃口)에 찬 기운[冷氣]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중환으로 덥게 하는 것이 좋다[중경]. 중병이 금방 나은 뒤에는 흔히 느침을 뱉거나 거품이 섞인 침을 뱉는 데 이것은 위()의 분문 위에 찬기운이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중환(理中丸,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익지인을 넣어서 써야 한다[동원]. 충증(蟲證) 때는 대부분 침을 흘린다(자세한 것은 충문(蟲門)에 있다).


[] 이상에 씌여진 눈물, 콧물, 침에 대한 내용들은 눈물, 콧물, (멀건 침, 느침)이 해당 분비 조직들에서 만들어진다는 것을 올바르게 인식하지 못한 데로부터 5행설에 기계적으로 맞추어 간장, , 비장, 신장, 심장에서 만들어진다고 보고 쓴 것들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과학성이 없는 내용들이다.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태음병 때에 황달이 생기는 것[太陰病發黃] by 한닥터
  2. 동의보감 태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약 쓰는 방법[太陰形證用藥]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처방집 이중환(理中丸) by 한닥터
  4. 고방 처방집 이중환 理中丸方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진액(津液)] 기가 모여서 액을 생기게 한다[積氣生液] 703
[진액(津液)] 눈물[泣] 720
[진액(津液)] 콧물[涕] 996
[진액(津液)] 멀건 침[涎] 945
[진액(津液)] 느침[唾] 766
[진액(津液)] 진액을 돌리는 방법[廻津法] 871
[진액(津液)] 두루 쓰는 약[通治藥] 1165
[진액(津液)] 단방(單方)/진액 776
[진액(津液)] 침뜸치료[鍼灸法]/진액 692
[담음(痰飮)] 담(痰)과 연(涎), 음(飮) 세 가지는 같지 않다[痰涎飮三者不同] 1073
[담음(痰飮)] 담과 음은 맑고 흐린 것으로 갈라본다[痰飮分淸濁] 889
[담음(痰飮)] 담(痰)에 대한 왕은군의 이론[王隱君痰論] 1149
[담음(痰飮)] 8가지 음병(飮病)이 있다[飮病有八] 862
[담음(痰飮)] 유음(留飮) 1431
[담음(痰飮)] 벽음(癖飮) 957
[담음(痰飮)] 담음(痰飮) 1205
[담음(痰飮)] 일음(溢飮) 982
[담음(痰飮)] 현음(懸飮) 1107
[담음(痰飮)] 지음(支飮) 1089
[담음(痰飮)] 복음(伏飮) 1022
[담음(痰飮)] 10가지 담병(痰病)이 있다[痰病有十] 1168
[담음(痰飮)] 풍담(風痰) 2049
[담음(痰飮)] 한담(寒痰) 954
[담음(痰飮)] 습담(濕痰) 1425
[담음(痰飮)] 열담(熱痰) 2201
[담음(痰飮)] 울담(鬱痰) 1449
[담음(痰飮)] 기담(氣痰) 1521
[담음(痰飮)] 식담(食痰) 1491
[담음(痰飮)] 주담(酒痰) 1105
[담음(痰飮)] 경담(驚痰) 8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