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흠집을 없애는 법[滅瘢]

한닥터 2011.10.21 조회 수 466 추천 수 0
◎ 滅瘢 ○ 痘?着痂卽用菜子油(卽蔓菁子)不住潤之可揭則揭若不潤及遲揭則瘡痂硬必隱成瘢痕[錢乙] ○ 痘成痂頻以?油或白蜜潤之可揭卽揭血出無妨若乾硬必成瘢痕 ○ 痘將?乾硬而痛宜以眞?潤之無?則猪脂煎汁代之[得效] ○ 痘痂雖落其瘢猶?肉起而或凹或凸當用滅瘢散?子水[綱目] ○ 痘落後宜用滅瘢痕方羊#骨髓一兩煉一二沸輕粉一錢右硏如膏每日塗瘡上 ○ 或用稀痘湯[綱目] ○ 蜜陀僧末臨臥塗面明朝洗去[本草]

☞ 흠집을 없애는 법[滅瘢]

○ 구슬에 딱지가 앉으면 곧 순무씨 기름으로 끊임없이 적셔 주고 떨어지게 된 것은 떼버린다. 만일 적셔 주지 않거나 더디게 떼면 딱지가 굳어서 반드시 허물이 생긴다[전을]. ○ 구슬에 딱지가 앉을 때에는 자주 연유나 흰 꿀로 적셔 주고 떨어지게 된 때는 곧 떼버리는데 피가 나와도 해롭지 않다. ○ 만일 딱지가 말라서 굳어지면 반드시 허물이 생긴다. ○ 구슬에 딱지가 앉으려 할 때에 마르고 굳어져서 아픈 데는 연유로 적셔 주는 것이 좋다. 연유가 없으면 대용으로 돼지기름을 졸여서 쓴다[득효]. ○ 구슬에 딱지가 떨어졌더라도 그 허물이 오히려 검거나 살이 울퉁불퉁하면 멸반산(滅瘢散), 현자수(?子水)를 늘 쓰는 것이 좋다[강목]. ○ 구슬에 딱지가 떨어진 후 허물을 없애는 약을 쓰는 것이 좋다. 이때는 양의 정강이뼈 속의 골수 40g을 한두 번 끓어오르게 달인 다음 경분 4g을 넣는다. 이것을 잘 개어서 고약을 만들어 날마다 허물에 바른다. ○ 혹 희두탕(稀痘湯)을 쓰기도 한다[강목]. ○ 밀타승가루를 잠잘 무렵 얼굴에 바르고 다음날 아침에 씻어 버린다[본초]. 

? 滅瘢散 ○ 韶粉一兩(卽?粉)輕粉二分半右硏細煉猪油調和塗瘢上日三次[綱目]
☞ 멸반산(滅瘢散) ○ 연분 40g, 경분 1g. ○ 위의 약들을 잘 갈아서 졸인 돼지기름으로 개어 딱지가 떨어진 자리에 매일 세번씩 발라 준다[강목]. 

? ?子水 ○ 痘後以此洗面漸生肌肉無瘢痕取活?子不以多少以水養五日每日取此水常洗手面[入門]
☞ 현자수(?子水) ○ 마마를 앓은 뒤에 이 약으로 얼굴을 씻으면 살이 점점 살아 나와서 허물이 없어진다. ○ 산 가막조개 적당한 양을 5일 동안 물에 넣어 두었다가 그 물로 매일 손과 얼굴을 씻는다[입문]. 

? 稀痘湯 ○ 卽秘傳稀痘湯也凡痘收?時取此湯微溫洗面則無瘢痕洗半面則半面無瘢痕神效(方見上)[俗方]
☞ 희두탕(稀痘湯) ○ 즉 비전희두탕(秘傳稀痘湯)이다. 대개 구슬에 딱지가 앉을 때에 이 약물을 약간 따뜻하게 데워서 얼굴을 씻으면 허물이 없어진다. 얼굴 한쪽만 씻으면 한쪽만 허물이 없어지는 것이 묘하다[속방].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희두탕(稀痘湯)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처방집 멸반산(滅瘢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잡방(雜方)] 나쁜 공기를 없애는 방법[解鬱氣] 470
[소아(小兒)] 어린이를 기르는 10가지 방법[養子十法] 470
[소아(小兒)] 이마는 심화(心火)에 속하면서 470
[소아(小兒)] 감안(疳眼) 470
[곡식(穀部)] 마분(麻?, 삼꽃가루) 470
[변증(辨證)] 장부병이 천천히 전해가는 것[臟腑病緩傳] 469
[온역(瘟疫)] 단방(單方) 469
[부인(婦人)] 침뜸치료[鍼灸法] 469
[소아(小兒)] 조리하고 보호하는 데 대한 노래[調護歌] 469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에 물이 실리는 것[起脹三朝] 469
[새(禽部)] 반초(斑?, 메비둘기) 469
[침구(針灸)] 침과 뜸을 놓는데 삼가할 것[禁鍼灸] 468
[제창(諸瘡)] 칠창(漆瘡) 468
[잡방(雜方)] 헛것을 쫓아버리고 신명이 통하게 하는 방법[去鬼通神] 468
[흙(土部)] 서벽토(西壁土, 서쪽벽의 흙) 468
[풀(草部)] 포황(蒲黃, 부들꽃가루) 향포(香蒲) 467
[눈(眼)] 해정동통(蟹睛疼痛) 467
[근(筋)] 수소양(手少陽)의 경근[手少陽之筋] 467
[심병(審病)] 신(神), 성(聖), 공(工), 교(巧) 467
[변증(辨證)] 속으로 정신을 상한 것[內傷精神] 467
[한(寒)] 동기가 왼쪽에 있는 것[動氣在左] 467
[제창(諸瘡)] 침치료[鍼法] 467
[곡식(穀部)] 마근(麻根, 삼뿌리) 467
[벌레(蟲部)] 벌레부[蟲部] 467
[채소(菜部)] 고거(苦?) 467
[침구(針灸)] 6개의 합혈이 나드는 곳[六合所出所入] 466
[침구(針灸)] 좋은 날을 택하여 침뜸을 놓는 방법[擇鍼灸吉日法] 466
[침구(針灸)] 뜸봉을 만드는 법[作艾炷法] 466
[눈(眼)] 풍적창질(風赤瘡疾) 466
[심병(審病)] 7진 때의 죽을 수 있는 증상[七診死候] 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