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식(穀部)

주(酒, 술)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648 추천 수 0
◈ 酒 ○ 술性大熱味苦甘辛有毒主行藥勢殺百邪惡毒氣通血?厚腸胃潤皮膚消憂發怒宣言暢意[本草] ○ 久飮傷神損壽[本草] ○ 大寒凝海惟酒不氷明其性熱獨冠群物人飮之便體廢神昏是其有毒故也[本草] ○ 酒能行諸經不止與附子相同味辛者能散味苦者能下味甘者居中而緩爲守引可以通行一身之表至極高之分若味淡者則利小便而速下[湯液] ○ 本草止言熱而有毒不言其濕中發熱近於相火人大醉後振寒戰慄可見矣[丹心] ○ 酒有諸般惟米酒入藥當以?米用淸水白?麴所造爲正書曰若作酒醴爾爲麴?酒則須用麴醴故用?也[本草] ○ 諸酒名開列于後

☞ 주(酒, 술)

○ 성질이 몹시 열하고[大熱] 맛이 쓰면서[苦] 달고[甘] 매우며[辛] 독이 있다. 약 기운[藥勢]이 잘 퍼지게 하고 온갖 사기와 독한 기운[毒氣]을 없앤다. 혈맥을 통하게 하고 장위를 든든하게 하며 피부를 윤택하게 한다. 근심을 없애고 성내게 하며 말을 잘하게 하고 기분을 좋게 한다[본초]. ○ 오랫동안 먹으면 정신이 상하고 수명에 지장이 있다[본초]. ○ 몹시 추워서 바다가 얼어 붙는다고 하여도 술은 얼지 않는다. 이것을 보아 술의 성질이 그 무엇보다도 제일 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술을 마시면 갑자기 몸을 잘 쓰지 못하고 정신이 얼떨떨해지는데 그것은 술에 독기가 있기 때문이다[본초]. ○ 술이 모든 경락을 잘 통하게 하는 데는 부자(附子)와 같다. 이것의 매운 맛은 헤치고[散] 쓴 맛은 내리게 하며 단맛은 속에 가만히 있기도 하고 끌고 가기도 하는데 온몸의 표면에까지 다 돌아가며 제일 높은 곳에도 간다. 맛이 슴슴한 것[淡]은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빨리 내려가게 한다[탕액]. ○ 『본초』에는 오직 성질이 열(熱)하고 독이 있다는 것만 씌어 있지 습 가운데 열이 있어서 상화(相火)와 비슷하다는 것은 씌어 있지 않다. 그것은 사람이 술에 몹시 취하면 몸이 부들부들 떨리는 것으로 알 수 있다[단심]. ○ 술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오직 쌀술(米酒)만 약으로 쓴다. 찹쌀에 맑은 물과 흰 밀가루 누룩을 넣어서 만든 술이 좋다. 『서전(正書)』에 "만약 술이나 단술을 만들려면 누룩과 엿길금을 만들어야 한다"고 씌어 있는데 술을 만드는 데는 누룩을 쓰고 단술을 만드는 데는 엿길금(蘖)을 쓴다[본초]. ○ 여러 가지 술의 이름을 뒤에 써 놓았다. 

◈ 糟下酒 ○ 性煖溫胃禦風寒疑是未?酒也
☞ 조하주(槽下酒) ○ 성질이 덥다[煖溫]. 위(胃)를 따뜻하게 하고 찬 바람과 추위를 막는다. 이것은 아마 거르지 않은 술을 말하는 것 같다. 

◈ 豆淋酒 ○ 治風痙角弓反張(方見風門)
☞ 두림주(豆淋酒) ○ 풍으로 경련이 일어[風痙] 몸이 뒤로 젖혀지는 것[角弓反張]을 치료한다(처방은 풍문에 있다). 

◈ 蔥?酒 ○ 和解風寒出汗治傷寒(方見寒門)
☞ 총시주(蔥?酒) ○ 풍한증(風寒證)을 풀고 땀이 나게 하여 상한을 낫게 한다(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 蒲萄酒 ○ 駐顔煖腎(方見雜方)
☞ 포도주(蒲萄酒) ○ 얼굴빛이 좋아지게 하고 신(腎)을 덥게 한다(처방은 잡방에 있다). 

◈ 桑?酒 ○ 補五藏明耳目取汁釀酒也
☞ 상심주(桑?酒) ○ 5장을 보하고 눈과 귀를 밝게 한다. 오디즙을 내어 만든 술이다. 

◈ 枸杞酒 ○ 補虛肥健人(方見雜方)
☞ 구기주(枸杞酒) ○ 허(虛)한 것을 보(補)하고 살이 찌게 하며 건강해지게 한다(처방은 잡방에 있다). 

◈ 地黃酒 ○ 和血駐顔(方見雜方)
☞ 지황주(地黃酒) ○ 혈을 고르게 하며[和血] 얼굴이 젊어지게 한다(처방은 잡방에 있다). 

◈ 戊戌酒 ○ 大補陽氣(方見雜方)
☞ 무술주(戊戌酒) ○ 양기(陽氣)를 세게 보한다[大補](처방은 잡방에 있다). 

◈ 松葉酒 ○ 治脚氣風痺(方見風門)
☞ 송엽주(松葉酒) ○ 각기(脚氣)와 풍비(風痺)를 치료한다(처방은 풍문에 있다). 

◈ 松節酒 ○ 治歷節風(方見風門)
☞ 송절주(松節酒) ○ 역절풍(歷節風)을 치료한다(처방은 풍문에 있다). 

◈ 菖蒲酒 ○ 治風痺延年(方見身形)
☞ 창포주(菖蒲酒) ○ 풍비(風痺)를 치료하고 오래 살 수 있게 한다(처방은 신형문에 있다). 

◈ 鹿頭酒 ○ 補氣血煮鹿頭取汁釀酒也
☞ 녹두주(鹿頭酒) ○ 기혈(氣血)을 보(補)한다. 사슴의 대가리(鹿頭)를 고은 물로 만든 술이다. 

◈ 羔兒酒 ○ 肥健人煮羔兒取汁釀酒也
☞ 고아주(羔兒酒) ○ 살찌게 하고 건강해지게 한다. 새끼양(羔兒)을 잡아 고은 물로 만든 술이다. 

◈ 蜜酒 ○ 補益療風疹(方見雜方)
☞ 밀주(蜜酒) ○ 보익(補益)하며 풍진(風疹)을 치료한다(처방은 잡방에 있다). 

◈ 春酒 ○ 美酒也疑今三亥酒之類也
☞ 춘주(春酒) ○ 맛이 좋은 술이다. 요즘 삼해주(三亥酒)라고 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 無灰酒 ○ 不雜他物者卽醇酒也
☞ 무회주(無灰酒) ○ 아무것도 섞이지 않은 술인데 즉 좋은 청주(醇酒)를 말한다. 

◈ 餠子酒 ○ ?米粉合和諸藥爲麴釀之曰餠子酒
☞ 병자주(餠子酒) ○ 찹쌀가루와 여러 가지 약을 섞어서 누룩을 만들어 빚은 술이기 때문에 병자주라고 한다. 

◈ 黃連酒 ○ 解酒毒不傷人未詳
☞ 황련주(黃連酒) ○ 술독을 푸는데 사람은 상하지 않게 한다. 어떤 술인지는 자세하게 알 수 없다. 

◈ 菊花酒 ○ 延年益壽治風眩(方見身形)
☞ 국화주(菊花酒) ○ 오래 살게 하며[延年益壽] 풍으로 어지러운 것[風眩]을 치료한다(처방은 신형문에 있다). 

◈ 天門冬酒 ○ 補氣血延年(方見身形)
☞ 천문동주(天門冬酒) ○ 기혈(氣血)을 보하고 오래 살 수 있게 한다(처방은 신형문에 있다). 

◈ 暹羅酒 ○ 自暹羅國來能破積殺蠱[入門]
☞ 섬라주(暹羅酒, 섬라술) ○ 섬라국(暹羅國)으로부터 온 것이다. 적을 헤치고[破積] 고독을 없앤다[입문]. 

◈ 紅麴酒 ○ 大熱有毒??氣療打傷[入門]
☞ 홍국주(紅麴酒) ○ 성질이 몹시 열(大熱)하고 독이 있다. 산람장기[?氣]를 막고 타박상을 낫게 한다[입문]. 

◈ 東陽酒 ○ 酒味淸香自古擅名隣邑皆不及[入門]
☞ 동양주(東陽酒) ○ 술맛이 시원하고 향기롭다[淸香]. 예로부터 이름난 술인데 이웃의 여러 가지 술도 다 이것보다 못하다[입문]. 

◈ 金盆露 ○ 出處州醇美可尙然劣於東陽[入門]
☞ 금분로(金盆露) ○ 처주(處州)에서 나는데 맛이 좋다. 먹을 만은 하지만 동양술(東陽)보다는 못하다[입문]. 

◈ 山東秋露白 ○ 色純味列[入門]
☞ 산동추로백(山東秋露白) ○ 빛이 순수하고[色純] 맛이 세다[冽][입문]. 

◈ 蘇州小甁酒 ○ 麴有熱藥飮之頭痛口渴[入門]
☞ 소주소병주(蘇州小甁酒) ○ 성질이 열한 약이 든 누룩으로 만든 것이기 때문에 마시면 머리가 아프고 갈증이 난다[입문]. 

◈ 南京金華酒 ○ 味太甛多飮留中聚痰[入門]
☞ 남경금화주(南京金華酒) ○ 맛이 아주 달다[太甛]. 많이 마시면 속에 머물러 있고 담(痰)이 뭉친다[입문]. 

◈ 淮安菉豆酒 ○ 麴有菉豆乃解毒良物[入門]
☞ 회안녹두주(淮安菉豆酒) ○ 녹두가 든 누룩으로 만든 것이므로 독을 푸는데 좋은 술이다[입문]. 

◈ 江西麻姑酒 ○ 以泉得名味殊勝[入門]
☞ 강서마고주(江西麻姑酒) ○ 마고천의 샘물로 만들었다고 하여 마고술이라고 하는데 맛이 특별히 좋다[입문]. 

◈ 燒酒 ○ 自元時始有味極辛烈多飮傷人
☞ 소주(燒酒) ○ 원나라 때부터 나온 술인데 맛이 아주 독하다[極辛烈]. 그러므로 많이 마시면 사람이 상할 수 있다. 

◈ 煮酒 ○ 味殊佳夏月宜飮[俗方]
☞ 자주(煮酒) ○ 맛이 특별히 좋은데 여름에 마시면 좋다[속방]. 

◈ 梨花酒 ○ 色白味?宜於春夏[俗方]
☞ 이화주(梨花酒) ○ 빛이 맑고 맛이 좋은데 봄과 여름에 마시면 좋다[속방]. 

◈ 糟 ○ 술주여미性溫味?無毒?撲損瘀血浸洗凍瘡及付蛇蜂?毒去蔬菜毒 ○ 又能藏物不敗柔物能軟[本草]
☞ 조(糟, 술지게미) ○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짜며[?] 독이 없다. 얻어 맞아서 어혈(瘀血)이 진 데는 이것으로 찜질하고 얼어서 상한 데[凍瘡]는 이것으로 씻는다. 뱀이나 벌한테 쏘인 독과 채소독을 없앤다. ○ 또한 물건을 보관하는데 이것을 넣으면 물건이 변하지 않고 부드러워진다[본초].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해산 후의 풍치[産後風?]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수염과 머리털이 노랗게 되면서 마르는 것[鬚髮黃落] by 한닥터
  3. 회원임상례 (등업용) 주상증 by 아피우스 *1
  4. 동의보감 처방집 두림주(豆淋酒) by 한닥터
  5. 방약합편 165 두림주(豆淋酒)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곡식(穀部)] 대맥얼(大麥蘖, 보리길금) 492
[곡식(穀部)] 교맥(蕎麥, 메밀) 교맥면(蕎麥麵, 메밀가루) 교맥엽(蕎麥葉, 메밀잎) 교맥양(蕎麥穰, 메밀대) 1001
[곡식(穀部)] 변두(?豆, 까치콩 또는 변두콩) 변두엽(?豆葉, 까치콩잎) 변두화(?豆花, 까치콩꽃) 738
[곡식(穀部)] 녹두(菉豆) 녹두분(菉豆粉, 녹두가루) 559
[곡식(穀部)] 완두(豌豆) 464
[곡식(穀部)]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556
[곡식(穀部)] 출촉(??, 수수) 557
[곡식(穀部)] 패자미(稗子米, 돌피쌀) 451
[곡식(穀部)] 앵자속(罌子粟, 아편꽃씨) 앵속각(罌粟殼) 아편(鴉片) 699
[곡식(穀部)] 주(酒, 술) 648
[곡식(穀部)] 시(?, 약전국) 369
[곡식(穀部)] 장(醬) 676
[곡식(穀部)] 초(醋, 식초) 529
[곡식(穀部)] 이당(飴糖, 엿) 580
[곡식(穀部)] 두부(豆腐) 563
[곡식(穀部)] 용저두세강(?杵頭細糠, 절구공이 묻은 겨) 436
[곡식(穀部)] 직미(稷米, 피쌀) 615
[인부(人部)] 인부(人部) 528
[인부(人部)] 난발(亂髮) 507
[인부(人部)] 발피(髮?, 달비) 499
[인부(人部)] 자수(?鬚, 수염) 522
[인부(人部)] 두구(頭垢, 머리때) 509
[인부(人部)] 고이두건(故?頭巾, 묵은 이두건) 543
[인부(人部)] 이색(耳塞, 귀지) 510
[인부(人部)] 아치(牙齒, 빠진 이) 506
[인부(人部)] 치은(齒?, 이똥) 567
[인부(人部)] 구중연급타(口中涎及唾, 침) 465
[인부(人部)] 천령개(天靈盖, 해골뼈) 744
[인부(人部)] 인유즙(人乳汁) 502
[인부(人部)] 부인포의(婦人胞衣, 산후태반) 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