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침뜸치료[鍼灸法]

한닥터 2011.10.21 조회 수 703 추천 수 0
◎ 鍼灸法 ○ 小兒初生臍風撮口諸藥不效然谷鍼入三分或灸三壯立效[三因] ○ 癲癎驚風神庭灸七壯鼻上入髮際三分宛宛中灸三壯炷如小麥大又取百會?脈[綱目] ○ 癲癎??兩?主之男陽女陰晝發治陽?申脈夜發治陰?照海各灸二七壯[易老] ○ 急慢驚灸印堂 ○ 急慢驚風危極不可灸者先當兩乳頭黑肉上男左女右灸三壯 ○ 次灸髮際眉心?會各三壯 ○ 手足大指當甲角以物縛兩手作一處以艾騎縫灸男近左邊女近右邊半甲半肉之間灸三壯先脚後手亦可治陰陽諸癎艾炷如小麥大[得效] ○ 慢驚慢脾逆惡證候諸藥不效者如有太衝脈則取百會穴灸之神效[直小] ○ 小兒卒然腹皮靑黑而死灸臍上下左右去臍各半寸幷鳩尾骨下一寸凡五處各灸五壯仍酒和胡粉塗腹上乾則易[得效] ○ 小兒龜背灸肺兪膈兪各三五壯止炷如小麥[得效] ○ 小兒龜胸取兩乳前各一寸五分上兩行三骨?間凡六處各灸三壯炷如小麥春夏從下灸上秋冬從上灸下若不依此法灸之無效[綱目] ○ ?門不合臍上臍下各五分二穴各灸三壯灸瘡未發先合[綱目] ○ 小兒癖氣中脘章門各灸七壯[綱目] ○ 灸癖法穴在小兒背脊中自尾?骨將手?摸脊骨兩傍有血筋發動處兩穴每一穴用銅錢三文壓上穴上以艾炷安孔中各灸七壯此是癖之根貫血之所也[回春] ○ 小兒?久不愈內庭灸一壯大#百會各灸隨年壯[綱目] ○ 小兒?亂男左女右第二脚指上灸三壯卽愈[得效] ○ 小兒雀目灸兩手大指甲後一寸內廉橫文頭白肉際各一壯 ○ 疳眼灸合谷一壯[綱目] ○ 小兒脫肛灸尾?骨尖上一壯又灸臍中三壯百會七壯[綱目]

☞ 침뜸치료[鍼灸法]

○ 갓난아이의 제풍(臍風)과 촬구(撮口)에 온갖 약을 써도 효력이 없는 데는 연곡혈(然谷穴)에 침을 3푼 깊이로 놓거나 뜸 3장을 뜨면 곧 낫는다[삼인]. ○ 전간(癲癎)과 경풍(驚風)에는 신정혈(神庭穴)에 뜸 7장을 뜬다. 콧마루를 따라 올라가 발제혈(髮際穴)에서 3푼을 들어가 오목한 데에 3장의 뜸을 뜬다. 뜸봉은 밀알만하게 만든다. 또는 백회혈(百會穴)과 계맥혈(?脈穴)도 잡는다[강목]. ○ 전간과 팔다리에 경련이 일거나 힘이 없는 데는 두 교맥혈(?脈穴)을 주로 치료하는데 남자는 양교혈(陽?穴), 여자는 음교혈(陰?穴)에 뜸을 뜬다. 낮에 발작하는 것은 양교의 신맥혈(申脈穴)을, 밤에 발작하는 것은 음교의 조해혈(照海穴)에 각각 14장의 뜸을 뜬다[역로]. ○ 급경풍과 만경풍에는 인당(印堂)에 뜸을 뜬다. ○ 급경풍과 만경풍이 아주 위험해서 뜸을 뜨지 못할 때에는 먼저 두 젖꼭지의 검은 살 위에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에 3장씩 뜸을 뜬다. ○ 다음으로 발제(髮際)와 미심(眉心), 신회혈(?會穴)에 각각 3장씩 뜸을 뜬다. ○ 엄지손가락과 엄지발가락을 가지런히 동여매고 양쪽 손톱과 발톱귀에 쑥을 걸쳐 놓고 뜸을 뜨되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으로 치우치게 절반은 손톱, 절반은 살에 닿게 놓고 뜸을 3장씩 뜬다. 먼저 발을 뜨고 나서 손을 뜬다. 음증(陰證), 양증(陽證)의 여러 가지 간질도 치료할 수 있다. 뜸봉은 밀알만하게 한다[득효]. ○ 만경풍(慢驚風)과 만비풍(慢脾風)이 역증이 되고 나쁜 증상에 온갖 약을 써도 효과가 없을 때에 태충맥(太衝脈)이 나타나면 백회혈(百會穴)에 뜸을 뜨면 잘 낫는다[직소]. ○ 어린이가 갑자기 뱃가죽이 검푸르고 죽어가는 데는 배꼽에서 상하좌우로 5푼 떨어진 곳과 명치 밑 1치 되는 데의 5곳에 각각 5장씩 뜸을 뜨고 호분(胡粉)을 술로 개어 배에 발라 주되 마르면 갈아 준다[득효]. ○ 어린이의 구배(龜背)에는 폐수혈(肺兪穴)과 격수혈(膈兪穴)에 각각 15장씩 뜸을 뜬다. 뜸봉은 밀알만하게 만든다[득효]. ○ 어린이의 구흉(龜胸)에는 양쪽 젖 안쪽 옆으로 각각 1치 5푼 되는 데와 양쪽 젖 위로 세번째의 갈빗대 사이의 각각 2곳, 모두 6혈에 각각 3장씩 뜸을 뜬다. 뜸봉은 밀알만하게 하되 봄과 여름에는 아래에서 위로 올려 뜨고 가을과 겨울에는 위에서 아래로 내리 뜬다. 만일 이 방법대로 뜨지 않으면 효과가 나지 않는다[강목]. ○ 숫구멍이 굳어지지 않는 데는 배꼽에서 위와 아래로 각각 5푼 떨어진 곳에 3장씩 뜸을 뜨면 구창(灸瘡)이 생기기 전에 숫구멍이 굳어진다. ○ 어린이의 벽증(癖證)에는 중완혈(中完穴)과 장문혈(章門穴)에 각각 7장씩 뜸을 뜬다[강목]. ○ 벽증에 뜸뜨는 혈은 어린이의 등에 있는데 미저골(尾?骨)에서 손으로 등뼈를 따라 더듬어 올라오면 등뼈 양쪽에 혈맥이 뛰는 데가 있다. 이 두 혈에 구멍 뚫린 동전 3개를 포개어 놓고 돈구멍에 뜸봉을 놓고 각각 7장씩 뜬다. 이것은 벽증의 뿌리가 혈맥과 연관된 곳이다[회춘]. ○ 어린이가 학질(?疾)을 앓으면서 오랫동안 낫지 않는 데는 내정혈(內庭穴)에 뜸 1장을 뜨고 대추혈(大椎穴)과 백회혈(百會穴)에 각각 나이수대로 뜸을 뜬다[강목]. ○ 어린이의 곽란(?亂)에는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 두번째 발가락 위에 3장씩 뜸을 뜨면 낫는다[득효]. ○ 어린이의 야맹증으로 보이지 않는 데는 엄지손가락 손톱 뒤 1치 되는 곳 안쪽으로 금이 끝난 흰 살 짬에 각각 1장씩 뜸을 뜬다. ○ 감질(疳疾)로 생긴 눈병에는 합곡혈(合谷穴)에 뜸을 1장 뜬다[강목]. ○ 어린이가 항문이 빠져 나온 데는 꽁무니뼈 끝에 뜸을 1장 뜬다. 또 배꼽에 3장, 백회혈에 7장의 뜸을 뜬다[강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흠집을 없애는 법[滅瘢] 466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의 잡병[痘後雜病] 727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의 여러 가지 병[痘後諸疾] 359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痘後?膜] 601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옹과 절[痘後癰癤] 477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긴 이질[痘後痢疾] 489
[소아(小兒)] 임신부에게 생긴 마마를 덧붙임[附孕婦痘瘡] 523
[소아(小兒)] 반과 진을 덧붙임[附?疹] 679
[소아(小兒)] 단방(單方) 488
[소아(小兒)] 침뜸치료[鍼灸法] 703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채취하는 방법[採藥法] 540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말리는 방법[乾藥法] 537
[탕액서례(湯液序例)] 세가지 품질[三品]의 약성[藥性] 549
[탕액서례(湯液序例)] 오랫동안 두면 좋은 6가지 약[六陳良藥] 498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법제하는 방법[修製法] 973
[탕액서례(湯液序例)] 처방할 때 약을 배합하는 방법[制藥方法] 536
[탕액서례(湯液序例)] 달임약, 가루약, 알약을 만드는 방법[湯散丸法] 861
[탕액서례(湯液序例)] 7방(七方) 745
[탕액서례(湯液序例)] 12제(十二劑) 530
[탕액서례(湯液序例)] 근, 량, 되, 말[斤兩升斗] 634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달이는 방법[煮藥法] 511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먹는 방법[腹藥法] 488
[탕액서례(湯液序例)] 5가지 맛의 약성[五味藥性] 530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의 기미와 승강[氣味升降] 576
[탕액서례(湯液序例)] 풍증약은 떠오르고 생겨나게 한다[風升生] 464
[탕액서례(湯液序例)] 열증약은 뜨며 자라게 한다[熱浮長] 415
[탕액서례(湯液序例)] 습증약은 변화시켜 무성하게 한다[濕化成] 475
[탕액서례(湯液序例)] 조증약은 내려가게 하고 수렴하게 한다[燥降收] 546
[탕액서례(湯液序例)] 한증약은 가라앉으며 엉키게 한다[寒沈藏] 491
[탕액서례(湯液序例)] 뿌리와 잔뿌리를 쓰는 방법[用根梢法] 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