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약(用藥)

유능한 의사는 병이 생기기 전에 치료한다[上工治未病]

한닥터 2011.08.29 조회 수 441 추천 수 0
◎ 上工治未病 ○ 上工治未病何也師曰見肝之病知肝傳脾當先實脾中工不曉相傳見肝之病不解實脾惟治肝也夫肝之病補用酸助用焦苦益用甘味之藥夫酸入肝焦苦入心甘入脾脾能傷腎之氣腎氣微弱則水不行水不行則心火盛心火盛則傷肺肺被傷則金氣不行金氣不行則肝木自愈此治肝補脾之要妙也餘藏倣此[仲景]

☞ 유능한 의사는 병이 생기기 전에 치료한다[上工治未病]

 ○ 유능한 의사는 병이 생기기 전에 치료한다고 하는데 그것은 어떻게 한다는 것인가 하고 묻자 의사가 "간(肝)에 병이 생겼을 때는 병이 간에서 비(脾)로 옮아갈 것을 알고 먼저 비를 든든하게 한다는 것이다. 보통 의사는 병이 옮아가는 것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간(肝)에 병이 생겼을 때에는 비(脾)를 든든하게 해야 한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그러므로 오직 간만 치료한다. 간병 때에는 맛이 신 약으로 보하고 단내가 나면서 맛이 쓴 약으로 도와주며 맛이 단 약으로 든든하게 해야 한다. 신 맛은 간(肝)으로 들어가고 단내가 나면서 쓴 맛은 심(心)으로 들어가며 단맛은 비(脾)로 들어간다. 5장(五臟)의 상호관계를 보면 비가 신기(腎氣)를 상하게 하는데 신기가 약간 약해져도 수기(水氣)가 잘 돌지 못한다. 수기가 잘 돌지 못하면 심화(心火)가 왕성해진다. 심화가 왕성해지면 폐(肺)가 상하고 폐가 상하면 폐기가 잘 돌지 못한다. 폐기가 잘 돌지 못하면 간목(肝木)의 병이 절로 낫는다. 비를 보하는 것은 간병을 치료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다른 장기의 병도 이와 같다[중경].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회감(蛔疳) 443
[곡식(穀部)] 대맥면(大麥麵, 보리쌀가루) 443
[침구(針灸)] 침을 잘못 놓으면 사람이 상한다는 데 대하여[失鍼致傷] 442
[천지운기(天地運氣)] 6기의 승제[六氣承制] 442
[진맥(診脈)] 청고무맥(淸高無脈) 442
[풍(風)] 중풍이 심하지 않을 때에는 지나치게 치료할 필요가 없다[小中不須深治] 442
[새(禽部)] 휼육(鷸肉, 도요새고기) 442
[짐승(獸部)] 위피(蝟皮, 고슴도치가죽) 위육(蝟肉) 442
[풀(草部)] 경천(景天) 441
[맥(脈)] 사람의 몸에는 9후맥이 있다[人身九候脈] 441
[용약(用藥)] 유능한 의사는 병이 생기기 전에 치료한다[上工治未病] 441
[하(下)] 가을에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秋宜下] 441
[한(寒)] 혈결흉(血結胸) 441
[괴질(怪疾)] 온몸이 덴 것처럼 부르트는 것[渾身生火燎疱] 441
[침구(針灸)] 수양명대장경의 순행[手陽明大腸經流注] 440
[가슴(胸)] 결흉에 약을 싸매는 방법 440
[한(寒)] 음양교증(陰陽交證) 440
[옹저(癰疽)] 발이에 뜸을 뜨는 방법[灸發?法] 440
[괴질(怪疾)] 입과 코로 연기 같은 것이 나와서 헤쳐지지 않는 것[口鼻氣出不散] 440
[소아(小兒)] 5장이 주관하는 허증과 실증[五臟所主虛實證] 440
[소아(小兒)] 경풍에 4증과 8후가 있다[驚有四證八候] 440
[침구(針灸)] 뜸쑥을 만드는 법[製艾法] 439
[전음(前陰)] 음낭옹[囊癰] 439
[온역(瘟疫)] 침치료[鍼法] 439
[소아(小兒)] 감병(疳病) 439
[풀(草部)] 왕과(王瓜, 주먹참외) 왕과자(王瓜子, 주먹참외씨) 438
[제창(諸瘡)] 이름이 있는 것과 이름 모를 여러 가지 악창[有名無名諸惡瘡] 438
[괴질(怪疾)] 몸이 2개로 되어 보이는 것[人身作兩] 438
[잡방(雜方)] 쥐를 모이게 하는 방법[集鼠] 438
[물(水部)] 동기상한(銅器上汗, 동기에 오른 김) 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