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뜸쑥을 만드는 법[製艾法]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439 추천 수 0
◎ 製艾法 ○ 艾葉主灸百病三月三日五月五日採葉暴乾以覆道者爲佳經陳久方可用[入門] ○ 端午日日未出時於艾中以意求其似人者輒採之以灸殊有效又云三月三日艾用灸極妙[類聚] ○ 取陳久黃艾葉不以多少入臼內用木杵輕搗令熟以細篩隔去靑滓再搗再篩直至柔細黃熟爲度用之[局方] ○ 艾熟搗去靑取白入硫黃?之用尤妙[入門]

☞ 뜸쑥을 만드는 법[製艾法] ○ 약쑥잎은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뜸뜨는 데 쓴다. 음력 3월 3일이나 5월 5일에 잎을 뜯어서 햇볕에 말리어 쓴다. 길섶에서 무성하게 자란 것과 여러 해 묵은 것이 좋다[입문]. ○ 단오날 해가 뜨기 전에 쑥 가운데서 좋은 것을 골라 뜯은 것으로 뜸을 뜨면 효과가 많다. 또한 음력 3월 3일에 뜯은 약쑥을 쓰면 더 좋다[유취]. ○ 오래 두어서 누렇게 된 약쑥잎 적당한 양을 절구에 넣고 나무공이로 약간씩 잘 찧어 가는 채로 쳐서 푸른 찌꺼기를 버리고 다시 찧고 또 쳐서 보드라우면서도 누렇게 될 때까지 찧어 쓴다[국방]. ○ 또한 약쑥잎을 잘 찧어 푸른 찌꺼기를 버리고 흰 것만 모아 유황을 넣고 비벼 쓰면 더욱 좋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회감(蛔疳) 443
[곡식(穀部)] 대맥면(大麥麵, 보리쌀가루) 443
[침구(針灸)] 침을 잘못 놓으면 사람이 상한다는 데 대하여[失鍼致傷] 442
[천지운기(天地運氣)] 6기의 승제[六氣承制] 442
[진맥(診脈)] 청고무맥(淸高無脈) 442
[풍(風)] 중풍이 심하지 않을 때에는 지나치게 치료할 필요가 없다[小中不須深治] 442
[새(禽部)] 휼육(鷸肉, 도요새고기) 442
[짐승(獸部)] 위피(蝟皮, 고슴도치가죽) 위육(蝟肉) 442
[풀(草部)] 경천(景天) 441
[맥(脈)] 사람의 몸에는 9후맥이 있다[人身九候脈] 441
[용약(用藥)] 유능한 의사는 병이 생기기 전에 치료한다[上工治未病] 441
[하(下)] 가을에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秋宜下] 441
[한(寒)] 혈결흉(血結胸) 441
[괴질(怪疾)] 온몸이 덴 것처럼 부르트는 것[渾身生火燎疱] 441
[침구(針灸)] 수양명대장경의 순행[手陽明大腸經流注] 440
[가슴(胸)] 결흉에 약을 싸매는 방법 440
[한(寒)] 음양교증(陰陽交證) 440
[옹저(癰疽)] 발이에 뜸을 뜨는 방법[灸發?法] 440
[괴질(怪疾)] 입과 코로 연기 같은 것이 나와서 헤쳐지지 않는 것[口鼻氣出不散] 440
[소아(小兒)] 5장이 주관하는 허증과 실증[五臟所主虛實證] 440
[소아(小兒)] 경풍에 4증과 8후가 있다[驚有四證八候] 440
[침구(針灸)] 뜸쑥을 만드는 법[製艾法] 439
[전음(前陰)] 음낭옹[囊癰] 439
[온역(瘟疫)] 침치료[鍼法] 439
[소아(小兒)] 감병(疳病) 439
[풀(草部)] 왕과(王瓜, 주먹참외) 왕과자(王瓜子, 주먹참외씨) 438
[제창(諸瘡)] 이름이 있는 것과 이름 모를 여러 가지 악창[有名無名諸惡瘡] 438
[괴질(怪疾)] 몸이 2개로 되어 보이는 것[人身作兩] 438
[잡방(雜方)] 쥐를 모이게 하는 방법[集鼠] 438
[물(水部)] 동기상한(銅器上汗, 동기에 오른 김) 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