젖(乳)

단방(單方)/젖

한닥터 2011.08.20 조회 수 575 추천 수 0
◎ 單方 ○ 凡二十種
☞ 단방(單方)/젖 ○ 모두 20가지이다. 

◈ 石膏 ○ 下乳汁取二兩水煎服日三[本草] ○ 乳癰初發?爲細末取三錢溫酒調下[直指]
☞ 석고(石膏) ○ 젖을 나오게 한다. 80g을 물에 달여 하루 세번 먹는다[본초]. ○ 유옹(乳癰)이 처음 생겼을 때에 불에 달구어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직지]. 

◈ 山藥 ○ 生者治吹乳腫痛?爛付上卽消速去之恐肉腐[醫鑑]
☞ 산약(山藥, 마) ○ 산약(생것)는 취유(吹乳)로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마를 짓찧어 젖 위에 붙이면 곧 삭아진다. 삭아지면 빨리 떼버린다. 그것은 살이 썩을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의감]. 

◈ 益母草 ○ 治妬乳欲成癰生?爛付之卽差乾則爲末水調付之[本草]
☞ 익모초(益母草) ○ 투유(妬乳)가 유옹이 되려는 것을 치료한다. 익모초(생것)를 짓찧어 붙이면 낫는다. 마른 것이면 가루를 내어 물에 개어 붙인다[본초]. 

◈ 蒲黃草 ○ 治妬乳及乳癰腫痛取生根?付腫上日二易食之亦良取葉煎服亦好[本草]
☞ 포황초(蒲黃草, 부들) ○ 투유와 유옹으로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부들(생뿌리)을 짓찧어 부은 위에 붙이되 하루 두번 갈아 붙인다. 먹어도 좋다. 잎을 달여 먹는 것도 역시 좋다[본초]. 

◈ 麥門冬 ○ 下乳汁去心爲末每二錢酒磨犀角約一錢同調服不過二服便下[得效]
☞ 맥문동(麥門冬) ○ 젖을 나오게 한다. 맥문동(심을 버린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서각 4g(술로 간다)에 타 먹으면 두번을 넘지 않아 젖이 나온다[득효]. 

◈ 黃瓜蔞 ○ 治乳癰腫痛取一二箇連皮子?碎好酒二升煮取一升時時溫服酒盡又煮服卽愈 ○ 子亦下乳汁炒爲末酒調下一錢 ○ 根亦下乳汁?爲末水調下一錢[本草]
☞ 황과루(黃瓜蔞, 누른하늘타리열매) ○ 유옹이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누른하늘타리열매 1-2개(껍질과 씨째로 썬다)를 부스러뜨려 좋은 술 2되에 달여 1되가 되면 따뜻하게 해서 수시로 먹는다. 술이 다 없어지면 또 그렇게 달여 먹으면 곧 낫는다. ○ 과루인도 역시 젖을 나오게 하는데 볶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술에 타 먹는다. ○ 뿌리도 역시 젖을 나오게 한다. 뿌리를 짓찧어서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물에 타 먹는다[본초]. 

◈ 通草 ○ 下乳汁?一兩水煎服之[本草]
☞ 통초(通草) ○ 젖을 나오게 한다. 통초 40g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 王瓜根 ○ 下乳汁?爲末酒服一錢日三[本草]
☞ 왕과근(王瓜根, 쥐참외뿌리) ○ 젖을 나오게 한다. 쥐참외뿌리를 짓찧어 가루를 낸 다음 한번에 4g씩 하루 세번 술로 먹는다[본초]. 

◈ 蒲公英 ○ 治妬乳及乳癰腫痛洗淨?爛同忍冬藤煎濃湯入酒少許服罷隨手欲睡是其功也睡覺卽安[丹心] ○ 又採取水煮汁飮之又爛?付患處立消[入門]
☞ 포공영(蒲公英, 민들레) ○ 투유(妬乳)와 유옹(乳癰)으로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민들레를 깨끗이 씻어서 짓찧어 인동덩굴과 함께 진하게 달여 술을 조금 두고 먹으면 곧 잠을 자려고 한다. 이것은 약효가 나는 것이다. 잠을 자고 나면 곧 편안해진다[단심]. ○ 또는 민들레를 캐어 물에 달여 마시거나 짓찧어 아픈 곳에 붙이면 곧 삭는다[입문]. 

◈ 靑桑葉 ○ 治乳硬作痛取嫩葉生?細調米飮貼病處[得效]
☞ 청상엽(靑桑葉, 푸른뽕잎) ○ 젖이 뜬뜬하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푸른 뽕잎의 연한 잎(생것)을 따서 잘 짓찧어 미음으로 개어 아픈 곳에 붙인다[득효]. 

◈ 靑皮 ○ 治吹乳不痒不痛腫硬如石焙爲末酒調服二錢神驗[本草]
☞ 청피(靑皮, 청피) ○ 취유(吹乳)가 가렵지도 아프지도 않고 부어서 돌처럼 뜬뜬한 것을 치료한다. 청피을 약한 불기운에 말리어 가루를 낸 다음 한번에 8g씩 술에 타 먹으면 잘 낫는다[본초]. 

◈ 赤小豆 ○ 下乳汁水煮取汁飮之卽下[本草] ○ 治妬乳乳癰硏爛和酒去滓溫服以滓付患處卽效[得效]
☞ 적소두(赤小豆, 붉은팥) ○ 젖을 나오게 한다. 붉은팥을 물에 달여 그 즙을 마시면 곧 나온다[본초]. ○ 투유와 유옹을 치료한다. 적소두@)을 술과 같이 갈아서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하여 먹고 찌꺼기는 아픈 곳에 붙이면 곧 낫는다[득효]. 

◈ 蔓菁 ○ 治乳癰痛寒熱取根葉洗淨入鹽?付熱卽換三五度卽差[本草]
☞ 만정(蔓菁, 순무) ○ 유옹으로 아프고 추워하다가 열(熱)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순무와 그 잎을 깨끗하게 씻어서 소금을 넣고 짓찧어 붙인다. 더워지면 바꾸어 붙이는데 세번에서 다섯번 하면 낫는다[본초]. 

◈ ?蟹 ○ 治吹乳神效?蟹去足用盖燒存性爲末每二錢黃酒調下[醫鑑]
☞ 방해(?蟹, 방게) ○ 취유를 치료하는 데 잘 낫는다. 방게(다리는 버리고 딱지를 쓴다)를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를 낸 다음 한번에 8g씩 황주에 타 먹는다[의감]. 

◈ 蜘蛛 ○ 治吹乳及乳癰蜘蛛三紅棗三棗去核每入蛛一箇夾於內炒熟口嚼吃以燒酒送下立效[醫鑑]
☞ 지주(蜘蛛, 거미) ○ 취유와 유옹을 치료한다. 거미 3개, 대추(씨를 뺀 것) 3알을 쓰되 거미 1개에 대추 1알을 넣어 볶아 익혀서[炒熟] 입으로 씹어 술로 넘기면 곧 낫는다[의감]. 

◈ 鹿角 ○ 治妬乳石上磨取白汁塗之乾則又塗幷令人?却黃水卽消[本草]
☞ 녹각(鹿角) ○ 투유를 치료한다. 녹각을 돌에다 갈아서 흰죽을 내어 바른다. 마르면 또 바르는데 빨아서 노란 물이 나오면 곧 삭는다[본초]. 

◈ 牛鼻 ○ 治乳無汁作羹空心食之三兩日有汁下無限[本草]
☞ 우비(牛鼻, 소코) ○ 젖이 없는 것을 나오게 한다. 국을 끓여 2-3일 동안 빈속에 먹으면 젖이 잘 나온다[본초]. 

◈ 猪四蹄 ○ 行婦人乳脈[本草] ○ 産婦氣血衰少絶無乳汁猪蹄四隻通草四兩水一斗同煮得四五升取汁連飮飮了用梳頭木梳於乳上梳下卽效[丹心]
☞ 저사제(猪四蹄, 돼지의 네 개 발쪽) ○ 젖줄을 잘 통하게 한다[본초]. ○ 산모의 기혈이 쇠약하고 적어서 젖이 조금도 없는 데는 돼지발쪽 4개와 통초 160g을 함께 물 1말에 넣고 달여 4-5되가 되면 즙을 짜서 연거푸 먹는다. 다 먹고 나서 빗등으로 젖몸 위를 문질러 주면 곧 효과가 난다[단심]. 

◈ 野猪脂 ○ 治乳無汁取一匙和一盞溫酒服日三乳卽下且多乳汁可供五兒[本草]
☞ 야저지(野猪脂, 멧돼지기름) ○ 없는 젖을 나오게 한다. ○ 기름 1숟가락에 데운 술 1잔을 타서 하루 세번 먹으면 젖이 곧 많아져서 5명의 어린이에게 먹일 수 있다[본초]. 

◈ 猫兒毛 ○ 治乳勞癰爛見心者取腹下毛燒存性爲末入輕粉少許淸油調塗[入門]
☞ 묘아모(猫兒毛, 고양이털) ○ 허로를 겸한 유옹으로 젖몸이 헤져서 속이 들여다보이는 것을 치료한다. ○ 고양이의 배 밑 털을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를 낸 것에 경분을 조금 넣고 참기름에 개어 바른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젖(乳)] 젖몸 사이의 치수[乳間度數] 572
[젖(乳)] 남자와 여자는 젖과 신이 근본이 된다[男女乳腎爲根本] 672
[젖(乳)] 몸푼 뒤에 젖이 나오지 않는 데는 2가지가 있다[産後乳汁不行有二] 539
[젖(乳)] 젖을 나오게 하는 것[下乳汁] 980
[젖(乳)] 몸풀기 전에 젖이 나오는 것[産前乳出] 559
[젖(乳)] 젖먹이가 없으면 젖이 나오지 않게 해야 한다[無兒則當消乳] 483
[젖(乳)] 취유와 투유[吹乳妬乳] 801
[젖(乳)] 유옹(乳癰) 1508
[젖(乳)] 유옹을 치료하는 방법[乳癰治法] 573
[젖(乳)] 젖멍울[結核]이 오래되면 유암이 된다[結核久成於?巖] 1192
[젖(乳)] 유옹은 나이가 많으면 잘 낫지 않는다[乳癰年高不治] 545
[젖(乳)] 젖꼭지가 터진 것[?頭破裂] 631
[젖(乳)] 유현증(乳懸證) 567
[젖(乳)] 남자와 여자의 젖몸에 생긴 병은 같지 않다[男女乳疾不同] 715
[젖(乳)] 단방(單方)/젖 575
[젖(乳)] 침뜸치료[鍼灸法]/젖 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