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風)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手足??]

한닥터 2011.08.31 조회 수 952 추천 수 0
◎ 手足?? ○ 凡風中府則肢節廢又云中府者多着四肢[易老] ○ 左不遂曰?右不遂曰?因氣血虛而痰火流注也血虛則痰火流注於左而爲左?氣虛則痰火流注於右而爲右?急治則愈久則痰火鬱結而難治治法左?宜補血兼散痰火四物湯(方見血門)加竹瀝薑汁桃仁紅花白芥子右?宜補氣兼散痰火四君子湯(方見氣門)合二陳湯(方見痰飮)加竹瀝薑汁白芥子[丹心] ○ 痛者爲實先用二陳湯後用防風通聖散或河間換骨丹之類不痛者爲虛左?服四物湯右?服四君子湯俱加竹瀝薑汁[入門] ○ 中風皆半身不遂其有遷延歲月不死者何也曰如木之根本未甚枯而一邊之枝幹先萎耳經曰根于中者命曰神機神去則機息夫神機未息亦猶氣化之未絶耳故半身雖不運用然亦未至於機息而死也[正傳] ○ ?者坦也筋脈弛縱坦然而不擧也?者渙也血氣散漫渙然而不用也[正傳] ○ 中風大法一曰偏枯半身不遂二曰風?四肢不擧卽全身不遂也[千金] ○ 半身不遂失音不語亦謂之?腿風[三因] ○ 半身不遂男女皆有此患但男尤忌左女尤忌右若得此疾風藥不宜暫闕常宜身上有炙瘡可也[資生] ○ 宜用加減潤燥湯祛風除濕湯加味大補湯天台散星附散換骨丹(方見下)全生虎骨散舒筋保安散秘方疎風順氣湯

☞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手足??]

 ○ 대체로 6부(六府)가 풍에 맞으면 팔다리를 쓰지 못하게 된다. 또한 6부가 풍에 맞으면 대부분 팔다리에 병이 생긴다[역로]. ○ 왼쪽을 쓰지 못하는 것을 탄(?)이라고 하고 오른쪽을 쓰지 못하는 것을 탄(?)이라고 한다. 이것은 다 기혈(氣血)이 허(虛)하여 담화(痰火)가 돌아다니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혈(血)이 허하면 담화가 왼쪽으로 돌아다니기 때문에 왼쪽을 쓰지 못하게 되고 기(氣)가 허하면 담화가 오른쪽으로 돌아다니기 때문에 오른쪽을 쓰지 못하게 된다. 이것은 빨리 치료하면 낫고 오랫동안 둬 두면 담화가 몰려 치료하기 어렵게 된다. 치료방법은 다음과 같다. 왼쪽을 쓰지 못할 때에는 혈을 보(補)하면서 겸하여 담화(痰火)를 헤쳐야 한다. 그러므로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약재에 죽력, 생강즙, 도인, 잇꽃(홍화), 흰겨자(白芥子)를 넣어서 써야 한다. 오른쪽을 쓰지 못할 때에는 기를 보하면서 겸하여 담화를 헤쳐야 한다. 그러므로 사군자탕(四君子湯, 처방은 기문에 있다)약재에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약재를 섞은 다음 여기에 죽력, 생강즙, 흰겨자를 넣어서 쓴다[단심]. ○ 아픈 것은 실증(實證)이기 때문에 먼저 이진탕을 쓴 다음 방풍통성산이나 하간환골단을 써야 한다. 아프지 않은 것은 허증(虛證)이기 때문인데 아프지 않으면서 왼쪽을 쓰지 못하면 사물탕, 오른쪽을 쓰지 못하면 사군자탕을 쓰되 여기에 죽력, 생강즙을 넣어서 써야 한다[입문]. ○ 중풍이 되면 다 몸 한 쪽을 쓰지 못하는데 오래도록 죽지 않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그 이유는 나무뿌리가 완전히 마르지 않아서 한쪽 가지나 줄기가 먼저 말라 시들어지는 것과 같은 것이다. 『내경』에 "속에 뿌리박은 것을 신기(神機)라고 한다. 신(神)이 없어지면 기(機)도 멎는다"고 씌어 있다. 대체로 신기가 멎지 않는 것은 기의 작용이 끊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것과 같이 몸 한쪽은 비록 쓰지 못하나 신기가 완전히 멎지 않기 때문에 죽지는 않는다[정전]. ○ 탄(?)이라는 것은 평탄하다는 뜻인데 근맥(筋脈)이 늘어져서 들지 못한다는 것이고 탄(?)이라는 것은 흩어진다는 뜻인데 혈기(血氣)가 흩어져서 쓰지 못하게 된다는 것이다[정전]. ○ 중풍에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증(證)이 있다. 첫째는 편고(偏枯)인데 몸 한쪽을 쓰지 못하는 것이다. 둘째는 풍비(風?)인데 팔다리를 들지 못하는 것이다. 즉 온몸을 쓰지 못하는 것이다[천금]. ○ 몸 한쪽을 쓰지 못하면서 목이 쉬고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외퇴풍(?腿風)이라고도 한다[삼인]. ○ 몸 한쪽을 쓰지 못하는 것은 남자나 여자나 할 것 없이 다 이런 병이 생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남자는 흔히 왼쪽에 생기고 여자는 오른쪽에 더 잘 생긴다. 이 병에 걸렸을 때에는 풍을 치료하는 약을 잠시라도 끊어서는 안 된다. 그리고 늘 뜸을 뜨는 것이 좋다[자생]. ○ 가감윤조탕, 거풍제습탕, 가미대보탕, 천태산, 성부산, 활골단(換骨丹, 처방은 아래에 있다), 전생호골산, 서근보안산, 비방, 소풍순기탕을 쓴다. 

? 加減潤燥湯 ○ 治左半身不遂屬血虛與死血白芍藥酒炒二錢當歸一錢二分川芎白茯?白朮南星半夏天麻各一錢生地黃酒炒熟地黃薑汁炒陳皮鹽水洗牛膝酒洗黃芩酒炒酸棗仁炒各八分桃仁羌活防風薄桂各六分紅花酒洗甘草炙各四分黃栢酒炒三分右?作二貼水煎入竹瀝薑汁調服[回春] ○ 一名愈風潤燥湯[醫鑑]
☞ 가감윤조탕(加減潤燥湯) ○ 혈이 허하거나 궂은 피[死血]가 있어서 몸 왼쪽을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백작약(술에 축여 볶은 것) 8g, 당귀 4.8g, 천궁, 백복령, 백출, 천남성, 반하, 천마 각각 4g, 생지황(술에 축여 볶은 것), 숙지황(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 陳皮(소금물에 씻은 것), 우슬(술에 씻은 것), 황금(술에 축여 볶은 것), 산조인(볶은 것) 각각 3.2g, 도인, 강활, 방풍, 계피 각각 2.4g, 잇꽃(홍화, 술에 씻은 것), 감초(볶은 것) 각각 1.6g, 황백(술에 축여 볶은 것)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여기에 죽력과 생강즙을 넣어서 먹는다[회춘]. ○ 일명 유풍윤조탕(愈風潤燥湯)이라고도 한다[의감]. 

? 祛風除濕湯 ○ 治右半身不遂屬氣虛與濕痰白朮一錢二分白茯?當歸酒洗陣皮赤芍藥半夏蒼朮烏藥枳殼羌活黃連黃芩?酒炒各一錢人參川芎桔梗防風各八分白芷七分甘草炙五分右?分二貼入薑五片水煎服[回春]
☞ 거풍제습탕(祛風除濕湯) ○ 기(氣)가 허(虛)하거나 습담(濕痰)으로 몸 오른쪽을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백출 4.8g, 백복령, 당귀(술에 씻은 것), 陳皮, 적작약,반하, 창출, 오약, 지각, 강활,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 황금(술에 축여 볶은 것) 각각 4g, 인삼, 천궁, 길경, 방풍 각각 3.2g, 백지 2.8g, 감초(볶은 것)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 加味大補湯 ○ 治左右??此氣血太虛也黃?蜜炒人參白朮白茯?當歸酒洗川芎白芍藥熟地黃各七分烏藥牛膝酒洗杜?酒炒木瓜防風羌活獨活薏苡仁各五分附子?沈香木香肉桂甘草各三分右?作一貼入薑三片棗二枚水煎服[回春]
☞ 가미대보탕(加味大補湯) ○ 온몸을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이것은 기혈(氣血)이 몹시 허하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 황기(봉밀에 축여 볶은 것), 인삼, 백출, 백복령, 당귀(술에 씻은 것), 천궁, 백작약, 숙지황 각각 2.8g, 오약, 우슬(술에 씻은 것), 두충(술에 축여 볶은 것), 모과, 방풍, 강활, 독활, 의이인@) 각각 2g, 부자(싸서 구운 것), 침향, 목향, 육계, 감초 각각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 天台散 ○ 治中風??疼痛烏藥陳皮麻黃川芎枳殼白?蠶桔梗白芷乾薑防風羌活天麻當歸續斷威靈仙甘草各六分乳香沒藥麝香各三分右?作一貼水煎入乳沒麝三味細末調服[醫鑑]
☞ 천태산(天台散) ○ 중풍으로 팔다리를 쓰지 못하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오약, 陳皮, 마황, 천궁, 지각, 백강잠, 길경, 백지, 건강, 방풍, 강활, 천마, 당귀, 속단, 위령선, 감초 각각 2.4g, 유향, 몰약, 사향 각각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여기에 유향, 몰약, 사향 이 3가지를 보드랍게 가루내어 타서 먹는다[의감]. 

? 星附散 ○ 治中風只手足?曳南星半夏?薑製人參附子?白附子白茯?川烏白?蠶各一錢沒藥五分右?作一貼酒水各半煎服得汗爲度[丹心]
☞ 성부산(星附散) ○ 중풍으로 팔다리가 늘어진 것을 치료한다. ○ 천남성, 반하(모두 생강즙에 법제한 것), 인삼, 부자(싸서 구운 것), 백부자,백복령, 오두, 백강잠 각각 4g, 몰약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술과 물을 각각 절반씩 섞은 데 넣고 달여서 땀이 날 때까지 먹는다[단심]. 

? 全生虎骨散 ○ 治半身不遂肌肉乾瘦名曰偏枯忌用發汗之劑惟當潤筋去風當歸一兩半赤芍藥續斷白朮藁本虎骨各一兩烏蛇肉五錢右爲末每二錢溫酒食後調下骨中疼痛加生地黃一兩[丹心]
☞ 전생호골산(全生虎骨散) ○ 몸 한쪽을 쓰지 못하며 살이 빠지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을 편고(偏姑)라고 하는데 이때에는 땀을 나게 하는 약은 쓰지 말아야 한다. 오직 힘줄을 눅여 주고[潤] 풍을 몰아내도록 해야 한다. ○ 당귀 60g, 적작약,속단, 백출, 고본, 범뼈(호골) 각각 40g, 오사육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끼니 뒤에 데운 술에 타서 먹는다. 뼛속이 몹시 아프면 생지황 40g을 넣어서 써야 한다[단심]. 

? 舒筋保安散 ○ 治??風筋脈拘攣走注疼痛木瓜五兩??五靈脂牛膝續斷白?蠶烏藥松節白芍藥天麻威靈仙黃?當歸防風虎骨各一兩右?以好酒一斗浸封口過二七日取藥出焙乾?爲細末每服二錢以藥酒半盞調下如酒盡以米飮調下[丹心]
☞ 서근보안산(舒筋保安散) ○ 중풍으로 팔다리를 쓰지 못하고 힘줄이 가드라들며 왔다갔다하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 모과 200g, 비해, 오령지, 우슬, 속단, 백강잠, 오약, 송절, 백작약, 천마, 위령선, 황기, 당귀, 범뼈(호골)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술 1말과 함께 항아리에 넣고 입구를 잘 막아서 14일 동안 두었다가 꺼내어 약한 불기운에 말려 보드랍게 가루낸다. 한번에 8g씩 약을 담갔던 술 반 잔에 타서 먹는다. 그 술이 다 없어지면 미음에 타서 먹는다[단심]. 

? 疎風順氣湯 ○ 治中風半身不遂或全體不能擧動因元氣虛弱兼酒色之過而更挾外邪也人參防風麻黃羌活升麻桔梗石膏黃芩荊芥穗天麻南星薄荷葛根芍藥杏仁當歸川芎白朮細辛?角各五分右?作一貼入薑五片水煎更入竹瀝半盃服之外以艾炙治風穴得微汗而愈[正傳]
☞ 소풍순기탕(疏風順氣湯) ○ 원기(元氣)가 허약한데 주색(酒色)이 지나치고 또 외감(外感)이 겹쳐서 중풍이 되어 한쪽 몸 또는 온몸을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 인삼, 방풍, 마황, 강활, 승마, 길경, 석고, 황금, 형개수, 천마, 천남성, 박하, 갈근, 작약, 행인, 당귀, 천궁, 백출, 세신, 조협(조각)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물에 달인 다음 여기에 죽력 반 잔을 넣어서 먹고 겉으로는 풍을 치료하는 혈에 뜸을 뜨고 약간 땀을 내면 낫는다[정전]. 

? 秘方 ○ 治??如神熟牛骨內髓一椀煉熟蜜一斤二味濾過入炒?一斤炒乾薑末三兩拌勻如彈子大一日服三四丸細嚼溫酒下大效[回春]
☞ 비방(秘方) ○ 중풍으로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 데 아주 잘 낫는다. ○ 삶은 소뼈의 골수 1사발, 졸인 봉밀(煉熟蜜) 600g. ○ 위의 2가지 약을 걸러 볶은 밀가루 600g, 볶은 건강가루(炒乾薑末) 120g과 함께 넣고 반죽하여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하루 3-4알씩 데운술로 먹으면 아주 좋다[회춘]. 
관련된 글
  1. 방약합편 HK003 加減潤燥湯(가감윤조탕) by 한닥터
  2. 방약합편 HH183 加減潤燥湯(가감윤조탕) by 한닥터
  3. 방약합편 거풍제습탕 祛風除濕湯 by 한닥터
  4. 태암 처방집 習慣性流産(습관성유산) 加味大補湯(가미대보탕) by 한닥터
  5. 태암 처방집 中風右不遂(중풍우불수) 祛風除濕湯(거풍제습탕) by 한닥터
  6. 태암 처방집 中風豫防藥(중풍예방약) 加味大補湯(가미대보탕) by 한닥터
  7. 태암 처방집 産後精神昏亂(산후정신혼란) 加味大補湯(가미대보탕) by 한닥터
  8. 태암 처방집 産後補藥(산후보약) 加味大補湯(가미대보탕) by 한닥터
  9. 태암 처방집 脊柱(척주)가리에스 加味大補湯(가미대보탕) by 한닥터
  10. 태암 처방집 鼻出血晝夜不止(비출혈주야부지) 加味大補湯(가미대보탕) by 한닥터
  11. 태암 처방집 脾虛頭痛(비허두통) 加味大補湯(가미대보탕) by 한닥터
  12. 태암 처방집 心腎虛晩成淋疾(심신허만성림질) 加味大補湯(가미대보탕)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처방집 비방(秘方)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처방집 소풍순기탕(疏風順氣湯)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처방집 서근보안산(舒筋保安散)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처방집 전생호골산(全生虎骨散)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처방집 성부산(星附散)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처방집 천태산(天台散)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대보탕(加味大補湯)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처방집 거풍제습탕(祛風除濕湯)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처방집 가감윤조탕(加減潤燥湯) by 한닥터
  22. 청강의감 加味大補湯(가미대보탕) by 한닥터
  23. 방약합편 3 가미대보탕(加味大補湯) by 한닥터 *2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풍(風)] 중풍의 전구증상[中風微漸] 711
[풍(風)] 조섭하여 치료하거나 예방하여야 한다[調治預防] 1205
[풍(風)] 열은 풍을 생기게 한다[熱生風] 899
[풍(風)] 살찐 사람은 흔히 중풍에 걸린다[肥人多中風] 691
[풍(風)] 중풍의 원인[中風所因] 859
[풍(風)] 중풍의 주된 증상[中風大證] 659
[풍(風)] 적풍(賊風)과 허사(虛邪)가 사람에게 침범하는 것[賊風虛邪中人] 740
[풍(風)] 중풍은 크게 4가지로 나눈다[中風大法有四] 643
[풍(風)] 편고(偏枯) 904
[풍(風)] 풍비(風?) 1572
[풍(風)] 풍의(風懿) 798
[풍(風)] 풍비(風痺) 692
[풍(風)] 중풍에 대한 이름이 같지 않다는 것[中風之名各不同] 678
[풍(風)] 맥 보는 법[脈法] 558
[풍(風)] 중풍에는 중혈맥, 중부, 중장의 차이가 있다[風有中血脈中腑中臟之異] 1616
[풍(風)] 졸중풍의 구급치료[卒中風救急] 1140
[풍(風)] 이를 악문 것을 열리게 하는 방법[開?法] 691
[풍(風)] 토하게 하는 방법[取吐法] 697
[풍(風)] 훈증하는 방법[熏法] 672
[풍(風)] 치료할 수 없는 증[不治證] 3 569
[풍(風)] 갑자기 넘어지는 것[暴?] 561
[풍(風)] 갑자기 벙어리가 되는 것[暴?] 857
[풍(風)] 정신이 흐릿한 것[精神蒙昧] 768
[풍(風)] 입과 눈이 삐뚤어지는 것[口眼?斜] 1358
[풍(風)]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것[手足??] 952
[풍(風)] 팔다리에 생긴 계종과 축닉은 풍병이다[四肢??爲風疾] 701
[풍(風)] 담연이 몹시 성한 것[痰涎壅盛] 967
[풍(風)] 중풍의 열증[中風熱證] 1 1374
[풍(風)] 중풍의 허증[中風虛證] 867
[풍(風)] 중풍 때에는 기를 고르게 하는 것이 좋다[中風宜調氣] 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