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로(虛勞)

단방(單方)

한닥터 2011.09.22 조회 수 778 추천 수 0
◎ 單方 ○ 凡三十六種有水芝丸

☞ 단방(單方) ○ 모두 36가지인데 수지환(水芝丸)이 들어 있다. 

? 黃精 ○ 治虛損五勞七傷安五藏根莖花實皆可或採根蒸曝餌之或?末淨水調服日三[本草]
☞ 황정(黃精, 낚시둥글레) ○ 허손(虛損)과 5로 7상(五勞七傷)을 치료한다. 5장을 편안하게 한다. 그 뿌리와 줄기, 꽃, 씨를 모두 먹는다. 혹 뿌리를 캐어 쪄서 볕에 말려 먹거나 가루를 내어 하루 세번씩 깨끗한 물에 타 먹는다[본초]. 

? 兎絲子 ○ 治虛勞補眞陽不足凡人氣血未定時失調護以致諸虛酒浸蒸九次?爲末酒調二錢服日二[本草]
☞ 토사자(兎絲子, 토사자) ○ 허로를 치료하는데 진양(眞陽)이 부족한 것을 보한다. 대개 사람들이 기혈이 온전하지 못한 때에 섭생을 잘 하지 못하면 여러 가지 허증이 생긴다. 이 약을 술에 담갔다가 찌꺼기를 아홉번 한 다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하루 두번 술에 타 먹는다[본초]. 

? 天門冬 ○ 補五勞七傷潤五藏冷而能補作末和酒服或蜜丸服或釀酒服?佳[本草]
☞ 천문동(天門冬) ○ 5로 7상을 치료하며 5장을 영양[補]한다. 이 약은 성질이 차면서도 보한다. 천문동을 가루내어 술에 타 먹거나 봉밀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술을 빚어 먹거나 다 좋다[본초]. 

? 麥門冬 ○ 治五勞七傷安五藏服法與天門冬同[本草]
☞ 맥문동(麥門冬) ○ 5로 7상을 치료하며 5장을 편안하게 한다. 먹는 법은 천문동과 같다[본초]. 

? 朮 ○ 主五勞士傷健脾胃能益壽作末和酒服或蜜丸服之或煎汁熬爲膏久服尤佳[本草]
☞ 출(朮, 창출) ○ 주로 5로 7상을 치료하며 비위(脾胃)를 든든하게 하고 오래 살게 한다. 이 약을 가루내어 술에 타 먹거나 봉밀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달인 즙을 다시 졸여서 고약을 만들어 오랫동안 먹으면 다 좋다[본초]. 

? 何首烏 ○ 治虛勞五勞七傷能益血氣補陰壯陽取根?末和酒服或作丸久服良[入門]
☞ 하수오(何首烏) ○ 허로와 5로 7상을 치료하는데 혈기를 잘 보하며 음을 도와주고 양을 든든하게 한다. 그 뿌리를 가루내어 술에 타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오랫동안 먹는 것이 좋다[입문]. 

? 地黃 ○ 主五勞七傷益氣力補虛損釀酒服之或作丸久服?佳[本草]
☞ 지황(地黃) ○ 5로 7상을 치료하며 기력(氣力)을 도와주고 허손된 것을 보한다. 지황으로 술을 빚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서 오랫동안 먹는다[본초]. 

? 山藥 ○ 治虛勞羸瘦補五勞七傷採根蒸食之或作粥服皆佳[本草]
☞ 산약(山藥, 마) ○ 허로로 몸이 여윈 것을 치료하며 5로 7상을 보한다. 그 뿌리를 캐어 먹거나 죽을 쑤어 먹어도 좋다[본초]. 

? 石斛 ○ 補五藏虛勞羸瘦採取浸酒服之或煎服丸服?佳[本草]
☞ 석곡(石斛) ○ 5장을 보하고 허로(虛勞)로 몸이 여윈 것을 보한다. 석곡을 술에 담가 두고 먹거나 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본초]. 

? 黃? ○ 補虛勞羸瘦諸虛不足能瀉虛火?蜜水炒煎服[東垣]
☞ 황기(黃?, 단너삼) ○ 허로로 몸이 여윈 것과 여러 가지 허손증(虛損證)을 보하며 허화(虛火)를 내린다. 단너삼을 썰어서 봉밀물로 축여 볶아서 달여 먹는다[동원]. 

? 五味子 ○ 主虛勞羸瘦補不足令人悅澤去虛熱或作煎服或作丸服或煎服皆佳[本草]
☞ 오미자(五味子) ○ 허로로 몸이 여윈 것을 치료하는데 부족한 것을 보하고 피부를 윤택하게 하고 허열(虛熱)을 없앤다. 오미자를 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달여 먹어도 좋다[본초]. 

? 當歸 ○ 治虛勞寒熱補不足補血和血行血?煎服或丸服散服皆良[本草]
☞ 당귀(當歸) ○ 허로로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부족한 것을 보하고 혈을 보하면서 고르게 하고 잘 돌아가게 한다. 당귀를 썰어서 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가루를 내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 知母 ○ 治骨熱虛勞補陰氣?五錢水煎服或作末丸服亦佳[本草]
☞ 지모(知母) ○ 허로로 골증열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데 음기(陰氣)를 보한다. 지모를 썰어서 한번에 20g씩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본초]. 

? 仙靈脾 ○ 一名淫羊藿治虛勞冷氣補腎益氣力酒漬服之甚良[本草]
☞ 선령비(仙靈脾) ○ 일명 음양곽(淫羊藿)이라고도 한다. 허로와 냉증을 치료하며 신(腎)을 보하고 기력을 도와준다. 술에 담가 두고 먹으면 아주 좋다[본초]. 

? 靑蒿 ○ 治熱勞骨蒸多取童尿五升水三升煎取汁再熬成膏丸如梧子酒下三十丸 ○ 一法童尿浸?丸服亦良[本草]
☞ 청호(靑蒿, 제비쑥) ○ 열로(熱勞)와 골증열(骨蒸熱)을 치료한다. 제비쑥을 물 8되에 넣고 달인 다음 그 물을 다시 졸여 고(膏)가 되면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술로 먹는다. ○ 어떤 처방에는 동변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린 다음 가루를 내어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고 하였다[본초]. 

? 枸杞 ○ 主五勞七傷庶事衰弱皮葉及子同功皆主虛勞 ○ 子及皮可釀酒或作丸服 ○ 葉作羹和五味常服[本草]
☞ 구기(枸杞) ○ 5로 7상과 여러 가지로 쇠약해진 것을 치료한다. 구기자뿌리껍질(지골피)과 잎, 씨 등도 다 효과가 같다. 다 허로를 치료한다 ○ 씨와 껍질은 술을 만들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 ○ 잎은 국을 끓여 양념을 넣어 늘 먹는다[본초]. 

? 五加皮 ○ 補五勞七傷補虛損多取酒漬服或釀酒服又煎如茶常服皆佳[本草]
☞ 오가피(五加皮, 오가피) ○ 5로 7상과 허손된 것을 보한다. 오가피를 많이 술에 담가 두고 먹거나 술을 빚어 먹거나 달여서 차처럼 늘 먹어도 다 좋다[본초]. 

? 牡蠣 ○ 主虛勞之損能補養取其肉煎食之[本草]
☞ 모려(牡蠣, 굴조개) ○ 허로로 몹시 허손된 것을 주로 보한다. 그 살을 발라서 끓여 먹는다[본초]. 

? 鱉甲 ○ 主虛勞及熱勞骨蒸取甲炙爲末作丸服或水煎服之 ○ 肉作?食之主熱勞補虛損[本草]
☞ 별갑(鼈甲, 자라등딱지) ○ 허로(虛勞), 열로(熱勞), 골증열(骨蒸熱)을 주로 치료한다. 자라등딱지를 구워서 가루를 낸 다음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물에 달여 먹는다. ○ 고기는 국을 끓여 먹는데 열로를 주로 치료하며 허손을 보한다[본초]. 

? 鰻?魚 ○ 主熱勞骨蒸補虛損取肉作羹和五味常食最好[本草]
☞ 만려어(鰻?魚, 뱀장어) ○ 열로와 골증열을 치료하며 허손을 보한다. 그 고기로 국을 끓여 양념을 두고 먹으면 아주 좋다[본초]. 

? 金線蛙 ○ 蛙中背有金線色者治熱勞羸劣解熱毒或作羹或燒食皆佳[本草]
☞ 금선와(金線蛙, 누런 줄이 간 개구리) ○ 맹충 누런 줄이 있는 것인데 열로로 몸이 여윈 것을 치료하며 열독을 푼다. 개구리로 국을 끓여 먹거나 구워 먹어도 다 좋다[본초]. 

? 蓮實 ○ 補諸虛實中蓮肉一斤入猪?內蒸爛或水煎至爛?丸梧子大酒下百丸名曰水芝丸[入門]
☞ 연실(蓮實) ○ 여러 가지 허증을 보한다. 연육 600g을 돼지위(猪?) 안에 넣고 푹 찌거나 물에 넣고 문드러지게 끓여서 짓찧은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술로 먹는다. 이것을 수지환(水芝丸)이라고 한다[입문]. 

? 胡麻 ○ 主虛損羸瘦補五藏蒸?九次?爲末酒飮任下三錢日三或作丸常服[本草]
☞ 호마(胡麻, 참깨) ○ 허손으로 몸이 여윈 것을 치료하며 5장을 보한다. 참깨를 쪄서 햇볕에 말리기를 아홉번 한 다음 짓찧어 가루를 낸다. 한번에 12g씩 하루 세번 술이나 미음으로 먹는다. 혹은 알약을 만들어 늘 먹는다[본초]. 

? 烏雄鷄 ○ 補虛勞羸瘦取一隻和五味煮極爛食之甚補益宜常食[本草]
☞ 오웅계(烏雄鷄 , 뼈검은수탉) ○ 허로로 몸이 여윈 것을 보한다. 수탉 1마리에 양념을 두고 푹 삶아 먹으면 몹시 보한다. 늘 먹는 것이 좋다[본초]. 

? 黃雌鷄 ○ 補勞劣益脾胃依上法煮食[本草]
☞ 황웅계(黃雌鷄, 누른암탉) ○ 허로를 치료하며 비위(脾胃)를 보한다. 위의 방법과 같이 삶아 먹는다[본초]. 

? 飴糖 ○ 補虛乏健脾胃氣可常食之卽黑糖也[本草]
☞ 이당(飴糖, 엿) ○ 몹시 허약한 것을 보하며 비위(脾胃)의 기를 든든하게 하므로 늘 먹는 것이 좋다. 즉 검정 엿이다[본초]. 

? 鹿肉 ○ 補虛損可煮爛和五味食之 ○ 茸主虛勞羸瘦??如??炙作末和酒服 ○ 骨主虛勞切碎煮取汁釀酒飮 ○ 髓主傷中絶脈筋拘焉以酒和服良[本草]
☞ 녹육(鹿肉, 사슴고기) ○ 허손된 것을 보하는데 푹 삶아서 양념을 두고 먹는다. ○ 녹용은 허로로 몸이 여위고 학질같이 오싹오싹하는 것을 치료한다. 녹용(졸인 젖을 발라 구운 것)을 가루내어 술에 타 먹는다. ○ 사슴의 뼈는 허로를 치료한다. 그 뼈를 썰어서 달인 물로 술을 빚어 먹는다. ○ 사슴의 골수는 중기(中氣)가 상하였거나 맥이 약하면서 힘줄이 켕기는 것을 치료하는데 술에 타 먹는 것이 좋다[본초]. 

? 鹿角膠 ○ 補虛勞益髓長肌令人肥健炙爲末酒服二三錢日二[本草]
☞ 녹각교(鹿角膠) ○ 허로를 치료하고 골수를 보충해 주며 사람을 살찌게 하고 튼튼하게 한다. 녹각교를 구워 가루를 낸 다음 한번에 8-12g씩 하루 2번 술로 먹는다[본초]. 

? 牛髓 ○ 主五勞七傷補中續絶傷以酒和服之 ○ 大病後虛勞不足黃牛乳一升水四升煮取一升稍稍飮[本草]
☞ 우수(牛髓, 소의 골수) ○ 주로 5로 7상을 치료하며 중기를 보하고 뼈가 끊어진 것을 이어지게 한다. 골수를 술에 타 먹는다. ○ 중병을 앓은 뒤와 허로로 허해진 데는 누른 소의 젖 1되, 물 4되와 함께 달여 1되가 되면 조금씩 먹는다[본초]. 

? 羊肉 ○ 主五勞七傷虛勞寒中羸瘦作?和五味食之 ○ 羊腎補腎陽衰弱作羹和五味食[本草]
☞ 양육(羊肉, 양고기) ○ 5로 7상과 허로로 뱃속이 차고 몸이 여윈 것을 치료한다. 양고기로 국을 끓여 양념을 두고 먹는다. ○ 양의 콩팥은 신양(腎陽)이 쇠약한 것을 보한다. 국을 끓여서 양념을 두고 먹는다[본초]. 

? 黃狗肉 ○ 補五勞七傷大能補益和五味煮極爛熟食之 ○ 戊戌酒極能補養(方見雜方)
☞ 황구육(黃狗肉, 누른 개고기) ○ 5로 7상으로 허한 것을 세게 보한다. 고기를 푹 삶아서 양념을 두고 먹는다. ○ 무술주(戊戌酒)는 아주 잘 보한다(처방은 잡방에 있다). 

? 猪? ○ 補虛損取?一箇洗淨將黃?地黃?入?內以竹簽簽定用醇??包?放?內重湯煮爛熟取出常服健脾胃補虛弱[活心] ○ 又法人參五錢乾薑胡椒各二錢?白七莖?米三合爲末丸猪?內煮爛熟空心食以酒下[入門]
☞ 저두(猪?, 돼지위) ○ 허손된 것을 보한다. 돼지위 1보를 깨끗이 씻어서 단너삼과 지황을 넣고 참대껍질로 잡아맨 다음 술지게미로 위를 싸서 단지 안에 넣고 중탕으로 푹 삶아서 늘 먹으면 비위를 든든하게 하고 허약한 것을 보한다[활심]. ○ 또 한 가지 방법에는 인삼 20g, 건강, 후추 각각 8g, 파밑(총백) 7개, 찹쌀 3홉 등을 가루내어 돼지위 안에 넣고 푹 삶아서 술로 빈속에 먹는다고 하였다[입문]. 

? ??臍 ○ 主五勞七傷療虛勞羸瘦火炙爲末酒服二錢或作丸服亦佳[本草]
☞ 올눌제(??臍) ○ 5로 7상을 치료하며 허로로 몸이 여윈 것을 보한다. 올눌제를 불에 구워 가루를 낸 다음 한번에 8g씩 술로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 것도 좋다[본초]. 

? 人乳 ○ 治諸虛百損五勞七傷取人乳二盞好淸酒半盞入銀石器內煮一沸頓服空心[種杏]
☞ 인유(人乳, 젖) ○ 여러 가지 허증과 5로 7상을 치료한다. 젖 2잔과 좋은 청주 반잔을 은그릇이나 돌그릇에 넣고 약간 끓여 빈속에 단번에 먹는다[종행]. 

? 婦人經血 ○ 治勞瘦幾死者取室女無病者月經一盞二三次取之和童男三母乳半盞和之於淨室中服之後發熱作渴不可飮茶湯酒取人乳汁飮之經旬至一月後方可食烟火食忌用心[種杏]
☞ 부인경혈(婦人經血) ○ --번역생략-- 

? 人胞衣 ○ 治虛勞痰嗽羸悴潮熱盜汗紫河車一具長流水浸洗淨入砂鍋內重湯煮熟入鹽椒末少許食之此補眞元氣也大有殊效[種杏]
☞ 인포의(人胞衣, 자하거) ○ 허로로 담(痰)이 있고 기침하며 살이 빠지고 조열(潮熱)과 식은땀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자하거(紫河車) 1보를 강물에 깨끗이 씻어서 사기남비에 넣고 중탕으로 익혀 소금과 후추가루를 조금 두고 먹는다. 이것은 진원(眞元)의 기를 보하는데 효과가 좋다[종행].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허로(虛勞)] 허로병의 원인[虛勞病源] 1206
[허로(虛勞)] 허로증(虛勞證) 1081
[허로(虛勞)] 맥 보는 법[脈法] 803
[허로(虛勞)] 5로증(五勞證) 896
[허로(虛勞)] 6극증(六極證) 686
[허로(虛勞)] 7상증(七傷證) 726
[허로(虛勞)] 몸에는 양이 실하고 음은 부족하다[人身陽有餘陰不足] 945
[허로(虛勞)] 기허, 혈허, 양허, 음허의 감별[辨氣虛血虛陽虛陰虛] 1859
[허로(虛勞)] 허로 때의 치료법[虛勞治法] 1083
[허로(虛勞)] 음이 허한 데 쓰는 약[陰虛用藥] 3124
[허로(虛勞)] 음이 허하여 갑자기 기절한 것을 치료하는 법[陰虛暴絶治法] 781
[허로(虛勞)] 양이 허한 데 쓰는 약[陽虛用藥] 1292
[허로(虛勞)] 음과 양이 다 허한 데 쓰는 약[陰陽俱虛用藥] 1 2574
[허로(虛勞)] 심이 허한 데 쓰는 약[心虛藥] 1327
[허로(虛勞)] 간이 허한 데 쓰는 약[肝虛藥] 1440
[허로(虛勞)] 비가 허한 데 쓰는 약[脾虛藥] 1040
[허로(虛勞)] 폐가 허한 데 쓰는 약[肺虛藥] 982
[허로(虛勞)]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1 2604
[허로(虛勞)] 허로증을 두루 치료하는 약[虛勞通治藥] 2475
[허로(虛勞)] 허로에 조리하는 약[虛勞調理藥] 1709
[허로(虛勞)] 허로를 치료하는 갈가구의 10가지 약[葛可久治虛勞十藥] 1 1298
[허로(虛勞)] 허로에 살 수 있는 증과 죽을 수 있는 증[虛勞生死證] 649
[허로(虛勞)] 허로증에 대맥이 나타나는 것[虛勞脈代證] 836
[허로(虛勞)] 전궐증(煎厥證) 792
[허로(虛勞)] 해역증(解?證) 955
[허로(虛勞)] 주하병(注夏病) 1012
[허로(虛勞)] 이양병(二陽病) 763
[허로(虛勞)] 치료하기 어려운 증과 치료할 수 없는 증[難治不治證] 843
[허로(虛勞)] 단방(單方) 778
[허로(虛勞)] 침뜸치료[鍼炙法] 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