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질(?疾)

맥 보는 법[脈法]

한닥터 2011.09.29 조회 수 579 추천 수 0
◎ 脈法 ○ ?脈自弦弦數多熱弦遲多寒弦小緊者宜下之弦遲者可溫之弦緊者可發汗浮大者可吐之弦數者風發也以飮食消息止之[要略] ○ ?脈自弦微則爲虛代散則死[脈經] ○ ?脈自弦弦遲多寒弦數多熱隨時變遷[脈訣] ○ ?脈多弦但熱則弦而帶數寒則弦而帶遲亦有病久而脈極虛微而無力似乎不弦然而必於虛數之中見弦但不?手耳細察可也[丹心] ○ 弦短者傷食弦滑者多痰虛微無力爲久?[醫鑑] ○ ?脈遲緩者病自愈[回春]

☞ 맥 보는 법[脈法]

 ○ 학질 때의 맥(脈)은 현(弦)한데 현삭(弦數)한 것은 열이 심한 것이고 현지(弦遲)한 것은 오한이 심한 것이다. 현소(弦小)하면서 긴(緊)하면 설사시키는 것이 좋고 현지(弦遲)하면 따뜻하게 하는 것이 좋다. 현긴(弦緊)하면 땀을 나게 하고 부대(浮大)하면 토하게 해야 한다. 현삭한 것은 풍으로 생긴 것인데 이것은 음식을 조절해서 멈추게 해야 한다[요략]. ○ 학질 때의 맥은 현(弦)한데 미(微)한 것은 허한 것이고 대산(代散)하면 위험하다[맥경]. ○ 학질 때의 맥은 현(弦)한데 현지(弦遲)한 것은 오한이 심한 것이고 현삭(弦數)한 것은 열이 심한 것인데 때때로 변한다[맥결]. ○ 학질 때의 맥은 흔히 현(弦)한데 열이 있을 때에는 현(弦)하면서 삭(數)하고 오한이 있을 때에는 현(弦)하면서 지(遲)하다. 또한 병이 오래되면 맥이 몹시 허(虛)하고 미(微)하면서 힘이 없어져서 마치 현맥(弦脈)이 아닌 것같이 된다. 그렇지만 허삭(虛數)한 가운데서도 반드시 현맥이 나타난다. 다만 손에 잘 알리지 않을 뿐이다. 이런 때에는 맥을 세밀하게 짚어 보아야 한다[단심]. ○ 맥이 현(弦)하면서 단(短)한 것은 음식에 상한 것이고 현(弦)하면서 활(滑)한 것은 담(淡)이 많은 것이며 허(虛)하고 미(微)하면서 힘이 없는 것은 학질이 오래된 것이다[의감]. ○ 학질 때 맥이 지(遲)하고 완(緩)해지면 병이 저절로 낫는다[회춘].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학질(?疾)] 학질의 원인[?病之源] 654
[학질(?疾)] 학질의 형태와 증상[?疾形證] 689
[학질(?疾)] 맥 보는 법[脈法] 579
[학질(?疾)] 오한과 열이 나는 선후차[寒熱先後] 582
[학질(?疾)]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것[寒熱往來] 610
[학질(?疾)] 학질이 발작하는 날짜가 길거나 짧은 것[?發日數多少] 507
[학질(?疾)] 학질이 낮이나 밤, 일찍이 또는 늦게 발작하는 차이가 있다[?發有晝夜早晏之異] 527
[학질(?疾)] 6경 학질[六經?] 1150
[학질(?疾)] 학질은 낮에 발작하는 것과 밤에 발작하는 것을 반드시 갈라서 치료해야 한다[?晝發夜發宜分治] 1190
[학질(?疾)] 여러 가지 학질의 증후와 치료[諸?證治] 606
[학질(?疾)] 풍학(風?) 883
[학질(?疾)] 한학(寒?) 843
[학질(?疾)] 열학(熱?) 870
[학질(?疾)] 습학(濕?) 736
[학질(?疾)] 담학(痰?) 944
[학질(?疾)] 식학(食?) 1329
[학질(?疾)] 노학(勞?) 987
[학질(?疾)] 귀학(鬼?) 689
[학질(?疾)] 역학(疫?) 750
[학질(?疾)] 장학(??) 794
[학질(?疾)] 해학(??) 1654
[학질(?疾)] 학질로 오한이 났다 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은 병의 뿌리가 있기 때문이다[?寒熱不歇有根] 551
[학질(?疾)]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이 학질과 비슷한 것[寒熱似?] 1030
[학질(?疾)] 학질을 치료하는 방법[?疾治法] 1622
[학질(?疾)] 학질을 치료할 때에는 반드시 음과 양이 갈라지게 하는 약을 써야 한다[治?須用分陰陽之藥] 641
[학질(?疾)] 학질이 장차 낫겠는가를 알 수 있는 것[知?將差] 585
[학질(?疾)] 학질이 발작하지 못하도록 세게 치료하는 방법[截?法] 980
[학질(?疾)] 방예하는 법[禳法] 601
[학질(?疾)] 꺼릴 것[禁忌法] 603
[학질(?疾)]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할 수 없는 증[難治不治證] 5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