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질(?疾)

학질을 치료하는 방법[?疾治法]

한닥터 2011.09.29 조회 수 1622 추천 수 0
◎ ?疾治法 ○ 內經主於暑風局方主於傷食丹溪主於痰雖三因雜至錯亂氣血然捷徑以祛暑消痰爲要通用二陳湯(方見痰門)無汗加葛根柴胡氣虛加參朮熱甚加?連寒多加草果口渴加烏梅[入門] ○ 無汗者要有汗散邪爲主帶補有汗者要無汗扶正氣爲主帶散邪宜散邪湯正氣湯[丹心] ○ 寒?非草果厚朴不能溫散熱?非柴胡黃芩不能淸解陽?無汗須用柴胡蒼朮乾葛陰?無汗須用柴胡升麻川芎汗多須用白朮烏梅以斂之[入門] ○ 先熱後寒宜小柴胡湯先寒後熱宜柴胡加桂湯多熱但熱宜白虎桂枝湯多寒但寒宜柴胡桂薑湯[綱目] ○ ??熱多者投以半冷半熱解散分陰陽減寒熱之劑度其所作之日先一時進以抵截之藥去其痰水則收效矣寒多者投以半生半熟壯脾進食之劑次以抵截之藥則痰癖去而疾愈矣須令愼飮食謹起居則無復攻之患矣[得效] ○ 桂枝湯治太陽白虎湯治陽明小柴胡湯治少陽意甚明顯挾痰合二陳湯食積合平胃散尿澁合五?散便閉合大柴胡湯無汗加乾葛蒼朮有汗加黃?白朮夜發加桃仁赤芍藥日久加常山檳?吐之治?之法盡矣[入門]

☞ 학질을 치료하는 방법[?疾治法]

 ○ 『내경』에는 서사(暑邪)와 풍사(風邪)를 학질의 주된 원인으로 보았고 『국방』에는 음식에 상한 것을 주된 원인으로 보았으며 단계(丹溪)는 담(痰)을 주된 원인으로 보았지만, 이 3가지 원인이 복잡하게 얽혀 기혈(氣血)을 혼란시켜서 생긴다. 그렇지만 빨리 낫게 하려면 서사를 몰아내고 담을 삭히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데는 이진탕(二陳湯, 처방은 담음문(痰飮門)에 있다)을 두루 쓰는데 땀이 나지 않으면 갈근와 시호를 넣어 쓰고 기가 허하면 인삼과 백출을 넣어 쓰며 열이 심하면 황금과 황련을 넣어 쓰고 오한이 심하면 초과를 넣어 쓰며 갈증이 있으면 오매를 넣어 쓴다[입문]. ○ 땀이 나지 않을 때에는 땀을 내서 사기(邪氣)를 발산시키는 것을 위주로 하면서 겸해 보해야 한다. 땀이 날 때에는 땀이 나지 않게 하여 정기(正氣)를 보존하면서 겸해 사기를 발산시켜야 한다. 이런 데는 산사탕(散邪湯), 정기탕(正氣湯) 등을 쓴다[단심]. ○ 한학(寒?)에 초과와 후박을 쓰지 않으면 덥게 하여 발산시킬 수 없고 열학(熱?)에 시호와 황금을 쓰지 않으면 서늘하게 하여 풀리게 할 수 없다. 양학(陽?) 때 땀이 나지 않으면 반드시 시호, 창출, 갈근을 써야 하고 음학(陰?) 때 땀이 나지 않으면 시호, 승마, 천궁을 써야 하며 땀이 많이 나면 백출과 오매를 써서 수렴시켜야 한다[입문]. ○ 먼저 열이 나고 후에 오한이 나는 데는 소시호탕(小柴胡湯)이 좋고 먼저 오한이 나고 후에 열이 나는 데는 시호가계탕(柴胡加桂湯)이 좋으며 열이 심하거나 열만 나는 데는 백호계지탕(白虎桂枝湯)이 좋고 오한이 심하거나 오한만 나는 데는 시호계강탕(柴胡桂薑湯)이 좋다[강목]. ○ 해학으로 열이 많이 날 때에는 절반은 성질이 찬 약을 쓰고 절반은 더운 약을 써서 발산시켜 음과 양이 갈라지게 한 다음 오한과 열이 나는 것을 멎게 하는 약을 써야 한다. 그리고 발작하기 2시간 전에 치는 성질이 있는 약으로 담수(痰水)를 없어지게 해야 효과가 있다. 오한이 심한 데는 약을 절반은 생것으로 절반은 익혀서 써야 하는데 비(脾)를 든든하게 하고 음식을 잘 먹게 하는 약을 써야 한다. 그 다음 치는 성질의 약을 쓰면 담벽(痰癖)이 없어지고 병이 낫는다. 그 다음 반드시 음식을 주의하고 일상생활에 조심해야 다시 앓지 않는다[득효]. ○ 계지탕(桂枝湯)으로 태양증(太陽證)을 치료하며, 백호탕(白虎湯)으로 양명증(陽明證)을 치료하며 소시호탕(小柴胡湯)으로 소양증(少陽證)을 치료하는 것은 뚜렷한 협담(挾痰)이 있으면 이진탕(二陳湯)과 섞어서 쓰고 식적(食積)이 있으면 평위산(平胃散)과 섞어서 쓰며 소변이 잘 나가지 않으면 오령산(五?散)과 섞어서 쓰고 변비가 있으면 대시호탕(大柴胡湯)과 섞어서 쓰며 땀이 나지 않으면 갈근와 창출을 넣어서 쓰고 땀이 나면 황기, 백출을 넣어서 쓰며 밤에 발작하면 도인, 적작약을 넣어 쓰고 병이 오래되었으면 상산과 빈랑을 넣어 써서 토하게 하는 것이 학질 치료법의 전부이다[입문]. 

? 柴平湯 ○ 治諸?柴胡蒼朮各二錢厚朴陳皮半夏黃芩各一錢人參甘草各五分右?入薑三棗二梅一煎服 ○ 一名平胡飮子[入門]
☞ 시평탕(柴平湯) ○ 여러 가지 학질을 치료한다. ○ 시호, 창출 각각 8g, 후박, 陳皮, 반하, 황금 각각 4g, 인삼, 감초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쪽, 대추 2알, 오매 1알과 함께 달여 먹는다. ○ 일명 평호음자(平胡飮子)라고도 한다[입문]. 

? 草果平胃散 ○ 治脾虛作?不問寒熱先後宜服蒼朮二錢厚朴陳皮靑皮大腹皮檳?草果各一錢甘草五分右?作一貼入薑三棗二水煎服[得效]
☞ 초과평위산(草果平胃散) ○ 비(脾)가 허하여 생긴 학질을 치료하는데 먼저 열이 나거나 먼저 오한이 나거나를 불문하고 다 낫게 한다. ○ 창출 8g, 후박, 陳皮, 靑皮, 대복피, 빈랑, 초과 각각 4g, 감초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 加減淸脾湯 ○ 治諸?卽小柴胡湯與人參養胃湯合和也寒多熱少多用養胃湯熱多寒少多用小柴胡湯(二方?見寒門)寒熱勻則平用每貼入薑五棗二桃柳枝各三寸水煎空心服[得效]
☞ 가감청비탕(加減淸脾湯) ○ 여러 가지 학질을 치료한다. 이것이 소시호탕(小柴胡湯)과 인삼양위탕(人參養胃湯)을 섞은 것이다. 오한이 심하고 열이 약간 나는 데는 양위탕(養胃湯) 약재를 많이 넣고 열이 심하고 오한이 약간 나는 데는 소시호탕(小柴胡湯, 이 2가지 처방은 다 상한문에 있다) 약재를 많이 넣으며 오한과 열이 나는 것이 같을 때에는 이 2가지 약을 같은 양으로 넣어 쓰는데 매 첩에 생강 5쪽, 대추 2알, 복숭아나무가지, 버드나무가지 각각 3치를 넣어서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득효]. 

? 四將軍飮 ○ 治?作時?厥?腋不省是中心抑鬱陰陽交戰所致宜服此附子一兩?訶子四箇?去核陳皮四箇全者甘草四寸灸右?分作二貼每貼入薑棗各七水煎漸漸灌下四服頓甦[得效]
☞ 사장군음(四將軍飮) ○ 학질이 발작하면 엎드러져서 어깨를 부들부들 떨고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것은 속이 답답하고 안타까워서[抑鬱]인데 이것은 음기와 양기가 서로 부딪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이런 것을 치료한다. ○ 부자(싸서 구운 것) 40g, 가자(訶子, 잿불에 묻어 구워서 씨를 버린 것) 4개, 陳皮(온전한 것) 4개, 감초(볶은 것) 4치. ○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나눈다. 매 첩에 생강 7쪽, 대추 7알을 넣어서 물에 달여 천천히 떠넣어 준다. 네번만 먹이면 깨어난다[득효]. 

? 驅?湯 ○ 治諸?久?草果靑皮陳皮人參赤茯?半夏厚朴蒼朮白朮檳?各一錢良薑甘草各五分右?作一貼入薑五棗二梅一水煎服[直指]
☞ 구학탕(驅?湯) ○ 여러 가지 학질과 오랜 학질을 치료한다. ○ 초과, 청피(靑皮), 陳皮, 인삼, 적복령, 반하, 후박, 창출, 백출, 빈랑 각각 4g, 양강, 감초 각각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5쪽, 대추 2알, 오매 1알을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 驅邪湯 ○ 治諸?柴胡二錢白朮一錢半乾葛一錢三分蒼朮一錢陳皮七分甘草五分右?作一貼水煎服空心[必用] ○ 一名柴胡二朮湯[俗方]
☞ 구사탕(驅邪湯) ○ 여러 가지 학질을 치료한다. ○ 시호 8g, 백출 6g, 갈근 5.2g, 창출 4g, 陳皮 2.8g, 감초 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필용]. ○ 일명 시호이출탕(柴胡二朮湯)이라고도 한다[속방]. 

? 人參竹瀝飮 ○ 治虛?昏倦汗多痰盛舌大語澁脈虛無力白茯?人參白朮當歸生地黃酸棗仁炒麥門冬知母陳皮白芍藥各一錢甘草三分右?作一貼入棗二梅一水煎調竹瀝薑汁服[回春]
☞ 인삼죽력음(人參竹瀝飮) ○ 허해서 생긴 학질로 정신이 흐릿하고 나른하며 땀이 많이 나오고 담이 성하여 혀가 부어서 말이 잘 되지 않고 맥(脈)이 허하면서 힘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 백복령, 인삼, 백출, 당귀, 생지황, 산조인(볶은 것), 맥문동, 지모, 陳皮, 백작약 각각 4g, 감초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대추 2알, 오매 1개와 함께 물에 달인 다음 죽력(竹瀝)과 생강즙을 타서 먹는다[회춘].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임상례] 항문 단순 포진 치험례 by 열린의학
  2. 저널 오령산에 의한 고포도당 유도 사구체간질세포 이상증식 개선효과 by 한닥터
  3. 회원임상례 (등업용) 소화불량 임상례 by 맹수
  4. 회원임상례 (등업용) 어지러움 침치료 및 보험제제(이진탕정) 치험례 by 코뮌
  5. 회원임상례 [등업] 하지부종 무릎통증 환자 by 윈디
  6. 명의방론 소시호탕 – 한방 항염증약!② by 한닥터
  7. 명의방론 소시호탕 – 한방 항염증약!① by 한닥터
  8. 회원임상례 Lymp node enlarge by Geuyean
  9. 명의방론 오령산-수독(水毒)을 동반한 병태의 신경계질환에 first choice!② by 한닥터
  10. 명의방론 오령산-수독(水毒)을 동반한 병태의 신경계질환에 first choice!① by 한닥터
  11. 임상 경험방 설사 by 한닥터
  12. 임상 경험방 도한 by 한닥터
  13. 임상 경험방 조잡 by 한닥터
  14. 임상 경험방 by 한닥터
  15. 회원임상례 담수인한 고통! by 키다리의사
  16. 회원임상례 (등업용) 두드러기에 시령탕 가 석고 by 하늘바다 *2
  17. 회원임상례 (등업용) 복통 - 소시호탕 거 황금 가 작약 by 위드
  18. 회원임상례 [등업용] 30대 남성 복통을 동반한 설사 치료후기 by 처음처럼
  19. 방약합편 평위산 , 平胃散, Pyeongwi-san by 한닥터
  20. 방약합편 이진탕 , 二陳湯, Yijin-tang by 한닥터
  21. 방약합편 오령산 , 五苓散, Oryeong-san by 한닥터
  22. 방약합편 소시호탕,小柴胡湯,Sosiho-tang by 한닥터
  23. 회원임상례 (등업용) 여자 44세 기울 - 소시호탕증 by 뿌리내림
  24. 방약합편 이진탕 가감 오자 교정 by 웅이아빠 *2
  25. 회원임상례 (등업용)이진탕 증상별 가미법 by 에메랄드
  26. 저널 방제학회 22권 2호-12 : 돌발성 난청 환자에서 발생한 이명의 한방 치험 1예 by 한닥터
  27. 회원임상례 (등업용)통풍 by jimmy
  28. 방약합편 평위산 平胃散 by 한닥터
  29. 방약합편 이진탕 二陳湯 by 한닥터
  30. 방약합편 소시호탕 小柴胡湯 by 한닥터
  31. 기본방 모음 171. 小柴胡湯(소시호탕) by 한닥터
  32. 회원임상례 (등업용)28 커리어우먼의 만성소화불량 by 무신방난 *1
  33. 방약합편 HK228 平胃散(평위산) by 한닥터
  34. 방약합편 HK176 二陳湯(이진탕) by 한닥터
  35. 방약합편 HK156 五苓散(오령산) by 한닥터
  36. 방약합편 HK142 柴平湯(시평탕) by 한닥터
  37. 기본방 모음 121. 白虎湯(백호탕) by 한닥터
  38. 기본방 모음 41. 桂枝湯(계지탕)=陽旦湯(양단탕) by 한닥터
  39. 기본방 모음 002 桂枝湯(계지탕) by 한닥터
  40. 기본방 모음 41. 桂枝湯(계지탕)=陽旦湯(양단탕) by 한닥터
  41. 기본방 모음 233. 二陳湯(이진탕) by 한닥터
  42. 기본방 모음 25 소시호탕(小柴胡湯) by 한닥터 *1
  43. 기본방 모음 9 대시호탕(大柴胡湯) by 한닥터
  44. 기본방 모음 이진탕 - 二陳湯 by 한닥터
  45. 기본방 모음 99 이진탕(二陳湯) by 한닥터
  46. 기본방 모음 소시호탕 -小柴胡湯 by 한닥터
  47. 기본방 모음 22 평위산(平胃散) by 한닥터
  48. 방약합편 HK111 小柴胡湯(소시호탕) by 한닥터
  49. 방약합편 HK074 白虎湯(백호탕) by 한닥터
  50. 방약합편 HK058 大柴胡湯(대시호탕)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학질(?疾)] 학질의 원인[?病之源] 654
[학질(?疾)] 학질의 형태와 증상[?疾形證] 689
[학질(?疾)] 맥 보는 법[脈法] 579
[학질(?疾)] 오한과 열이 나는 선후차[寒熱先後] 582
[학질(?疾)]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것[寒熱往來] 610
[학질(?疾)] 학질이 발작하는 날짜가 길거나 짧은 것[?發日數多少] 507
[학질(?疾)] 학질이 낮이나 밤, 일찍이 또는 늦게 발작하는 차이가 있다[?發有晝夜早晏之異] 527
[학질(?疾)] 6경 학질[六經?] 1150
[학질(?疾)] 학질은 낮에 발작하는 것과 밤에 발작하는 것을 반드시 갈라서 치료해야 한다[?晝發夜發宜分治] 1190
[학질(?疾)] 여러 가지 학질의 증후와 치료[諸?證治] 606
[학질(?疾)] 풍학(風?) 883
[학질(?疾)] 한학(寒?) 843
[학질(?疾)] 열학(熱?) 870
[학질(?疾)] 습학(濕?) 736
[학질(?疾)] 담학(痰?) 944
[학질(?疾)] 식학(食?) 1329
[학질(?疾)] 노학(勞?) 987
[학질(?疾)] 귀학(鬼?) 689
[학질(?疾)] 역학(疫?) 750
[학질(?疾)] 장학(??) 794
[학질(?疾)] 해학(??) 1654
[학질(?疾)] 학질로 오한이 났다 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은 병의 뿌리가 있기 때문이다[?寒熱不歇有根] 551
[학질(?疾)]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이 학질과 비슷한 것[寒熱似?] 1030
[학질(?疾)] 학질을 치료하는 방법[?疾治法] 1622
[학질(?疾)] 학질을 치료할 때에는 반드시 음과 양이 갈라지게 하는 약을 써야 한다[治?須用分陰陽之藥] 641
[학질(?疾)] 학질이 장차 낫겠는가를 알 수 있는 것[知?將差] 585
[학질(?疾)] 학질이 발작하지 못하도록 세게 치료하는 방법[截?法] 980
[학질(?疾)] 방예하는 법[禳法] 601
[학질(?疾)] 꺼릴 것[禁忌法] 603
[학질(?疾)]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할 수 없는 증[難治不治證] 5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