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방(雜方)

음식을 먹지않아도 배가 고프지 않게 하는 약[斷穀不飢藥]

한닥터 2011.10.07 조회 수 778 추천 수 0
◎ 斷穀不飢藥 
☞ 음식을 먹지않아도 배가 고프지 않게 하는 약[斷穀不飢藥] 

? 餌松栢葉法 ○ 周行山澤間取松栢葉細切和水服二合一日二三升最佳 ○ 終南山有一人無衣服身皆生黑毛跳坑越澗如飛乃合闔取獲則乃一婦人言我是泰宮人開東賊至秦王出降驚走入山飢無所食有一人老公敎我食松栢葉初時苦澁後稍便喫遂不復飢冬不寒夏不熱自秦時至漢成帝時已三百餘年矣[千金]
☞ 솔잎이나 측백잎을 먹는 방법[餌松栢葉法] ○ 산이나 시냇가로 다니면서 소나무나 측백나무의 잎을 따서 잘게 썬 다음 물에 우려서 2홉씩 먹되 하루 2-3되 먹으면 아주 좋다. ○ 어떤 사람이 종남산(終南山)에서 옷을 입지 않고 살고있었는데 온몸에 검은털이 나있었다. 그리고 구덩이에 뛰어내리고 시냇물을 건너 뛰는 것이 날아다니는 것같았다. 여러 사람이 둘러싸고 붙잡아 보니 여자였다. 그런데 그가 "나는 본래 진(秦)나라 궁녀였는데 관동(關東)의 도적이 쳐들어오자 진나라의 임금이 항복하므로 놀라서 산 속으로 도망왔다. 그런데 배가 고파도 먹을 것이 없었다. 한 늙은이가 나에게 소나무나 측백나무의 잎을 먹으라고 알려주기에 그것을 먹었는데 처음에는 맛이 쓰면서 떫다가 그후부터는 먹기가 좋았다. 그래서 다시는 배가 고프지 않게 되었다. 그리고 겨울에도 춥지 않고 여름에도 덥지 않았다"라고 하였다. 진나라 때부터 한(漢)나라 성제(成帝) 때까지는 300여년이 된다[천금]. 

? 黃精 ○ 久服斷穀不飢甘美易食根葉花實皆可服餌或蒸熟或?乾丸散隨宜凶年之時可休粮[本草]
☞ 황정(黃精, 낚시둥글레) ○ 오랫동안 먹으면 음식을 먹지 않아도 배가 고프지 않다. 이것은 맛이 달아서 먹기도 좋은데 뿌리, 잎, 꽃, 열매도 다 먹을 수 있다. 혹은 쪄서 햇볕에 말려 알약이나 가루약을 만들어 먹을 수도 있으므로 흉년에 곡식을 먹지 않아도 된다[본초]. 

? 天門冬 ○ 取根蒸熟去皮食之甚香美荒年取啖之足以斷穀止飢[本草]
☞ 천문동(天門冬) ○ 뿌리를 쪄서 껍질을 버리고 먹으면 아주 향기롭고 맛이 좋다. 흉년이 들어 곡식을 먹을 수 없을 때 먹으면 배가 고프지 않을 수 있다[본초]. 

? 朮 ○ 取朮作丸散久久服餌可以代糧 ○ 一人避亂山中飢困欲死有人敎以服朮遂不飢數十年還鄕里顔色如故[本草]
☞ 출(朮, 창출) ○ 뿌리로 알약을 만들거나 가루내어 오랫동안 먹으면 식량을 대신할 수 있다. ○ 어떤 사람이 산 속으로 피난갔는데 굶어서 죽게 되었다. 이때에 한 사람이 창출뿌리를 먹으라고 알려주었다. 그리하여 그후부터는 그것을 먹으며 굶주리지 않고있다가 수십 년만에 고향으로 돌아왔는데 얼굴빛은 옛날과 같았다[본초]. 

? 薯? ○ 取根蒸熟食之或搗粉作?食之凶年可以充粮不飢最佳[本草]
☞ 서여(薯?, 마) ○ 뿌리를 쪄서 먹거나 가루내어 국수를 만들어 먹으면 흉년에 식량을 보충하여 배가 고프지 않게 지낼 수 있으므로 좋다[본초]. 

? 旋?根 ○ 蒸熟食之斷穀不飢處處有之可服餌[本草]
☞ 선복근(旋?, 메꽃뿌리) ○ 쪄서 먹으면 곡식을 먹지 않고도 배가 고프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곳곳에 있으므로 누구나 먹을 수 있다[본초]. 

? 葛根 ○ 採取作粉餌之可斷穀不飢[本草]
☞ 갈근(葛根) ○ 가루내어 먹으면 곡식을 먹지 않고도 배가 고프지 않을 수 있다[본초]. 

? 何首烏 ○ 採根蒸曝丸散任意亦可生啖可休粮[本草]
☞ 하수오(何首烏) ○ 뿌리를 쪄서 햇볕에 말려 알약을 만들거나 가루내어 마음대로 먹기도 하고 생것을 씹어서 먹기도 한다. 그러므로 곡식을 먹지 않아도 된다[본초]. 

? 百合 ○ 採根蒸煮食之甚益人可休糧[本草]
☞ 백합(百合, 나리) ○ 뿌리를 캐서 찌거나 삶아 먹으면 사람에게 아주 좋으므로 곡식을 먹지 않아도 된다[본초]. 

? 松葉 ○ 守中不飢斷穀所宜取細切如粟和水或米飮服之或和大豆末食之可作避地術又陰乾搗末和水服亦佳 ○ 松白皮蒸熟食之?穀不飢 ○ 松脂一斤白茯?四兩爲末每晨和水服或蜜丸服之可?穀長生終年不食[本草]
☞ 송엽(松葉, 솔잎) ○ 속을 든든하게 하고 배가 고프지 않게 하므로 곡식을 먹지 않게 하는데 좋다. 솔잎을 잘게 썰어서 물이나 미음에 타 먹는다. 콩가루에 섞어 먹으면서 산 속에서 혼자 살 수도 있다. 또는 그늘에 말려서 가루내어 물에 타 먹어도 좋다. ○ 또는 소나무의 흰껍질을 쪄서 먹으면 곡식을 먹지 않아도 배가 고프지 않다. ○ 송진 600g과 백복령 160g을 섞어서 가루내어 매일 새벽에 물에 타서 먹거나 봉밀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들어 먹으면 곡식을 먹지 않고도 오래 살 수 있고 죽을 때까지 밥을 먹지 않아도 된다[본초]. 

? 栢葉 ○ 服法同松脂久服斷穀不飢[本草]
☞ 백엽(栢葉, 측백잎) ○ 먹는 방법은 송진과 같은데 오랫동안 먹으면 곡식을 먹지 않아도 배가 고프지 않다[본초]. 

? 楡白皮 ○ 荒歲人食之以當粮搗末和水服[本草]
☞ 유백피(楡白皮, 느릅나무속껍질) ○ 흉년에 먹으면 식량을 대신 할 수 있는데 가루내어 물에 타 먹는다[본초]. 

? 白茯? ○ 善能斷穀不飢 ○ 大麥?(小麥?亦可)一斤茯?末四兩以生牛乳和爲方寸餠子煮熟飽食可百日不飢 ○ 又白茯?末四兩白?二兩右水和得所以黃蠟代油?成煎餠飽食一頓便絶食三日後飮脂麻湯少潤腸胃[本草]
☞ 백복령(白茯?, 흰솔풍령) ○ 곡식을 먹지 않아도 배가 고프지 않게 한다. ○ 보리가루(大麥, 밀가루도 좋다) 600g과 복령가루 160g을 소젖(생것)에 반죽하여 사방 1치 크기의 떡을 만들어 삶아 배부르게 먹으면 100일 동안은 배가 고프지 않다. ○ 또는 백복령가루 160g과 흰밀가루(白?) 80g을 물에 알맞게 반죽하여 녹인 황랍(기름 대신 쓴다)에 지져서 전병을 만들어 단번에 배가 부르게 먹으면 밥을 먹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3일이 지나서 참깨 끓인 물을 먹어 장위(腸胃)를 약간 적셔주어야[潤] 한다[본초]. 

? 橡實 ○ 去皮煮食最益人實中令不飢可多取禦?歲[本草]
☞ 상실(橡實, 도토리) ○ 껍질을 버리고 삶아서 먹으면 사람에게 대단히 이롭다. 속을 든든하게 해서 배고픈 줄 모르게 한다. 그러므로 많이 구해서 흉년에 먹을 것을 마련해두어야 한다[본초]. 

? 蠟 ○ 仙經斷穀最爲要用今人但嚼食方寸者終日不飢也 ○ 用黃蠟炒粳米嚼食充飢可?穀不飢食胡桃肉卽鮮 ○ 白?一斤黃蠟爲油作煎餠飽食可百日不飢 ○ 合松脂杏仁棗肉茯?等分爲末作丸服五十丸便不飢 ○ 古人荒?多食蠟以度飢當合大棗咀嚼卽易爛[本草]
☞ 납(蠟, 황랍) ○ 선경(仙經)에 곡식을 먹지 않게 하는 데는 이것이 제일 중요한 것이라고 씌어 있다. 요즘 사람들은 크기가 사방 1치 되는 것을 씹어먹으면 하루 종일 배고픈 줄 모른다고 한다. ○ 황랍을 멥쌀과 같이 볶아 배가 부르도록 씹어 먹으면 곡식을 먹지 않아도 배가 고프지 않다. 호두살을 먹으면 곧 배가 고프게 된다. ○ 밀가루 600g을 반죽하여 녹인 황랍(기름 대신 쓴다)에 지져서 전병을 만들어 배부르게 먹으면 1백 일 동안 배가 고프지 않을 수 있다. ○ 황랍, 송진, 행인, 대추살, 복령을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낸 다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50알씩 먹으면 배가 고프지 않다. ○ 옛사람들은 흉년에 황랍을 많이 먹었기 때문에 배가 고픈 것을 참을 수 있었다. 황랍은 대추와 같이 씹어서 먹으면 잘 녹는다[본초]. 

? 栗 ○ ?熟食之令人耐飢[本草]
☞ 율(栗, 밤) ○ 구워서 먹으면 배가 고픈 것을 참을 수 있다[본초]. 

? 藕 ○ 蒸食可休粮食之最佳 ○ 蓮子去皮心蒸熟爲末蠟蜜爲丸日服三十丸令人不飢[本草]
☞ 우(藕, 연뿌리) ○ 쪄서 먹으면 곡식을 먹지 않을 수 있는데 맛이 좋다. ○ 연실[蓮子]을 껍질과 심을 버리고 쪄서 가루내어 황랍에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하루 30알씩 먹으면 배가 고픈 줄 모른다[본초]. 

? 海松子 ○ 食之不飢[本草]
☞ 해송자(海松子, 잣) ○ 먹으면 배가 고프지 않다[본초]. 

? 大棗 ○ 久服不飢[本草]
☞ 대조(木棗, 대추) ○ 오랫동안 먹으면 배가 고프지 않다[본초]. 

? 菱? ○ 菱仁或?仁皆可休粮 ○ 今多蒸曝取仁爲粉蜜和食之可以代粮不飢斷穀長生[本草]
☞ 능검(菱?, 마름과 검인) ○ 마름씨(菱仁)나 검인(?仁)을 먹으면 곡식을 먹지 않아도 된다. ○ 요즘 흔히 쪄서 햇볕에 말린 다음 가루내어 봉밀에 반죽해서 먹는데 식량을 대신할 수 있으며 배도 고프지 않다. 그리고 곡식을 먹지 않고도 오래 살 수 있게 한다[본초]. 

? 芋 ○ 煮熟食之可以當粮食而度飢年[本草]
☞ 우(芋, 토란) ○ 삶아서 익혀 식량 대신 먹으면 흉년에도 살아갈 수 있다[본초]. 

? 烏芋 ○ 作粉食之或煮熟食令人不飢荒?可充粮[本草]
☞ 오우(烏芋, 올방개의 뿌리) ○ 가루내어 먹거나 삶아서 먹으면 배가 고프지 않다. 그러므로 흉년에 식량 대신 쓸 수 있다[본초]. 

? 桃膠 ○ 補中不飢以桑灰漬之服餌身輕百病愈數月斷穀[本草]
☞ 도교(桃膠, 복숭아나무진) ○ 속을 보하여 배가 고프지 않게 한다. 뽕나무 잿물에 절구어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며 온갖 병이 낫고 두어 달 동안 곡식을 먹지 않아도 된다[본초]. 

? 胡麻 ○ 九蒸九曝熬搗餌之斷穀不飢長生 ○ 又合白大豆棗動蒸曝作團食令不飢斷穀 ○ 胡麻休粮人重之[本草]
☞ 호마(胡麻, 검정참깨) ○ 쪄서 햇볕에 말리기를 9번해서 볶은 다음 짓찧어 먹으면 곡식을 먹지 않아도 배가 고프지 않고 오랫동안 살 수 있다. ○ 또한 흰콩과 대추를 함께 쪄서 햇볕에 말린 다음 단자[團]를 만들어 먹으면 배가 고프지 않다. 그러므로 곡식을 먹지 않아도 된다. ○ 검정참깨는 식량을 대신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귀중히 여긴다[본초]. 

? 白脂麻 ○ 仙方蒸曝服餌以?穀[本草]
☞ 백지마(白脂麻, 흰참깨) ○ 신선방(仙方)에 쪄서 햇볕에 말려 먹으면 곡식을 먹지 않아도 된다고 씌어 있다[본초]. 

? 榛子 ○ 久食令人不飢[本草]
☞ 진자(榛子, 개암) ○ 오랫동안 먹으면 배가 고프지 않다[본초]. 

? 大麻子 ○ 令人不飢 ○ 麻子二升大豆一升熬令香搗末蜜丸日二服令不飢 ○ 又麻子一升白羊脂七兩蠟五兩白蜜一合和搗蒸食之不飢[本草]
☞ 대마자(大麻子, 역삼씨) ○ 배가 고프지 않게 한다. 역삼씨 2되, 콩 1되를 고소한 냄새가 나도록 볶아서 가루낸 다음 봉밀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들어 하루 2번 먹으면 배가 고프지 않다. ○ 또는 역삼씨 1되, 흰양의 기름 280g, 황랍 200g, 봉밀 1홉을 한데 짓찧어 쪄서 먹으면 배가 고프지 않다[본초]. 

? 黑豆 ○ 炒熟以棗肉同搗之爲?可以代粮 ○ 左元放救荒年法擇取雄黑豆三七粒生者熟?之令煖氣徹豆心先一日不食次早以冷水呑下魚肉菜果不復經口渴則飮冷水初雖小困十數日後體力壯健不復思食矣[本草] ○ 仙方修製大豆黃末服餌之可?穀度飢?[本草]
☞ 흑두(黑豆, 검정콩) ○ 볶아서 대추살[棗肉]과 함께 짓찧은 다음 볶아 가루내어 먹으면 식량을 대신할 수 있다. ○ 좌원방(左元放)의 흉년에 사람을 구제하는 방법에는 "검정콩(길쭉하게 생긴 것으로 생것) 21알을 몹시 비벼서 뜨거운 기운이 콩 속에까지 들어가게 하여 먹는데 하루 전부터 음식을 먹지 않고있다가 이튿날 아침에 찬물로 넘긴다. 그 다음 생선과 고기와 나물과 과실을 먹지 말고 갈증이 나면 찬물을 먹어야 한다. 그리고 처음에는 조금 피곤하지만 10여 일이 지나면 몸이 건강해지고 음식 생각이 다시는 나지 않는다"라고 씌어 있다[본초]. ○ 신선방(仙方)에는 콩을 가루내어 먹으면 음식을 먹지 않고도 흉년에 지낼 수 있다고 씌어 있다[본초]. 

? 粳米 ○ 荒年穀貴無以充粮取粳米一升酒三升漬之出曝乾又漬又曝酒盡乃止稍稍食之渴飮冷水?三十日足一斛二升?周年 ○ 又大米三合炒過以黃蠟二兩熔?內入米炒令乾任便食之數日不飢如食胡桃二箇卽思食[本草]
☞ 갱미(粳米, 멥쌀) ○ 흉년에 식량이 귀하여 구할 수 없을 때 멥쌀 1되를 술 3되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리기를 술이 다 없어질 때까지 하여 조금씩 먹는데 갈증이 나면 찬물을 마셔야 한다. 이와 같이 하면 30일 동안은 음식을 먹지 않고도 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것 1말 2되면 1년 동안은 음식을 먹지 않아도 살 수 있다. ○ 또는 멥쌀 3홉을 볶아서 녹인 황랍 80g과 함께 냄비에 담아서 다시 볶은 다음 말려서 마음대로 먹으면 며칠 동안 배가 고프지 않다. 이때에 호두 2알을 먹으면 곧 음식 생각이 난다[본초]. 

? ?米 ○ 若遇凶年穀貴取?米一斗淘洗百蒸百曝搗末日一飡以冷水得三十日都盡則可終身不食不飢[本草]
☞ 나미(?米, 찹쌀) ○ 흉년이 들어 식량이 귀할 때에는 찹쌀 1말을 씻어 일어 쪄서 햇볕에 말리기를 1백 번 한 다음 가루내어 하루 1번씩 찬물로 먹어야 하는데 30일 동안 다 먹으면 죽을 때까지 음식을 먹지 않아도 배가 고프지 않다[본초]. 

? 靑梁米 ○ 靑梁米一斗以苦酒一斗漬之三日出百蒸百曝好?藏之遠行一飡十日不飢重飡九十日不飢 ○ 靑梁醋拌百蒸百曝可作?粮?穀[本草]
☞ 청량미(靑梁米, 생동찹쌀) ○ 생동찹쌀 1말을 식초 1말에 3일 동안 담가두었다가 쪄서 햇볕에 말리기를 1백 번 한다. 이것을 잘 싸두었다가 먼길을 갈때마다 한번씩 먹으면 10일 동안은 배가 고프지 않다. 2번 먹으면 90일 동안 배가 고프지 않다. ○ 생동찹쌀을 식초에 버무려 쪄서 햇볕에 말리기를 1백번 한 다음 미숫가루를 만들어 먹으면 음식을 먹지 않아도 된다[본초]. 

? 蔓菁子 ○ 取子用水煮三遍令苦味盡曝乾搗末水服二錢日三久漸增服可以?穀 ○ 又蔓菁取苗葉莖根四時長服可以備饑?[本草]
☞ 만청자(蔓菁子, 순나복자) ○ 순나복자를 물에 3번 끓여서 쓴 맛을 다 뺀 다음 햇볕에 말려 가루내서 한번에 8g씩 물에 타서 하루 세번 먹는다. 점차 양을 늘려 먹으면 음식을 먹지 않아도 된다. ○ 또는 순무의 싹, 잎, 줄기, 뿌리를 구하여 사철 늘 먹으면 흉년에도 무사하게 지낼 수 있다[본초]. 

? 荏子 ○ 服食斷穀 ○ 可蒸令熟烈日乾之當口開?取米食之亦可休粮[本草]
☞ 임자(荏子, 들깨) ○ 이것을 먹으면 음식을 먹지 않아도 된다. ○ 익도록 쪄서 뜨거운 햇볕에 터지도록 말린 다음 방아에 찧어 쌀을 내서 먹으면 음식을 먹지 않아도 된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잡방(雜方)] 흉년에 음식을 먹지 않고도 사는 방법[救荒?穀方] 561
[잡방(雜方)] 침을 삼키거나 물을 마시는 방법[嚥津服水法] 601
[잡방(雜方)] 6가지 천기를 마시는 방법[服六天氣法] 461
[잡방(雜方)] 음식을 먹지않아도 배가 고프지 않게 하는 약[斷穀不飢藥] 778
[잡방(雜方)] 음식을 먹지 않고도 살 수 있게 하는 방법[?穀絶食方] 741
[잡방(雜方)] 몇가지 방법[諸法] 420
[잡방(雜方)] 자석으로 남쪽을 가리키게 하는 방법[磁石指南] 512
[잡방(雜方)] 추위를 타지 않게 하는 방법[不畏寒] 512
[잡방(雜方)] 몸에서 향기가 나게 하는 방법[香身法] 672
[잡방(雜方)] 사람을 용감해지게 하는 방법[令人勇] 483
[잡방(雜方)] 헛것을 쫓아버리고 신명이 통하게 하는 방법[去鬼通神] 467
[잡방(雜方)] 헛것을 보는 방법[見鬼方] 521
[잡방(雜方)] 몸이 보이지 않게 하는 방법[隱形法] 442
[잡방(雜方)] 부부가 서로 사랑하게 하는 방법[令夫婦相愛] 538
[잡방(雜方)] 질투하는 것을 없어지게 하는 방법[去妬方] 667
[잡방(雜方)] 옷에 묻은 기름과 때를 빼는 방법[去衣油及衣垢] 841
[잡방(雜方)] 옥을 연해지게 하는 방법[軟玉法] 420
[잡방(雜方)] 돌을 연해지게 하는 방법[爛石法] 407
[잡방(雜方)] 여러 가지 향처방 627
[잡방(雜方)] 과실을 절이는 방법[淹藏果實法] 457
[잡방(雜方)] 향비조(香肥?) 603
[잡방(雜方)] 벼룩과 이를 없애는 방법[?蚤?] 1109
[잡방(雜方)] 모기와 파리를 없애는 방법[?蚊蠅] 683
[잡방(雜方)] 좀을 없애는 방법[??] 580
[잡방(雜方)] 새와 짐승과 쥐를 죽이는 방법[殺禽獸賊鼠] 646
[잡방(雜方)] 물고기를 죽이는 방법[殺魚] 475
[잡방(雜方)] 쥐를 모이게 하는 방법[集鼠] 438
[잡방(雜方)] 기와나 돌을 붙이는 방법[粘瓦石] 614
[잡방(雜方)] 짐승이 먹으면 곧 취하는 것[獸食物卽醉] 479
[잡방(雜方)] 나쁜 공기를 없애는 방법[解鬱氣] 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