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血)

침뜸치료[鍼灸法]/혈

한닥터 2011.07.15 조회 수 588 추천 수 0
◎ 鍼灸法 ○ ?吐血下血取隱白大陵神門太谿<易老> ○ ?血灸?會上星<資生> ○ ?宜灸大椎?門卽止<丹心> ○ ?不止以三稜針於氣衝出血立愈<東垣> ○ ?血取上星風府?門合谷內庭三里照海<綱目>?吐血取風府大椎亶中上脘中脘氣海關元三里<綱目> ○ 吐血灸大陵<得效> ○ 嘔血取上脘大陵?門神門<東垣> ○ 關脈?大便出血數斗者以膈兪傷故也.宜灸膈兪<脈經> ○ 虛勞吐血灸中脘三百壯又吐血唾血灸肺兪隨年壯又口鼻出血不止名腦?灸上星五十壯<得效> ○ 下血不止量臍心與脊骨平於脊骨上灸七壯卽止<資生>

☞ 침뜸치료[鍼灸法]/혈

  ○ 코피가 나오는 것, 피를 토하는 것, 하혈하는 데는 은백(隱白), 대릉(大凌), 신문(神門), 대계(大谿)혈을 쓴다[역로]. ○ 코피가 나는 데는 신회(?會)와 상성(上星)혈에 뜸을 뜬다[자생]. ○ 코피는 대추(大椎)와 아문(?門)혈에 뜸을 뜨면 곧 멎는다[단심]. ○ 코피가 멎지 않을 때에는 삼릉침으로 기충(氣衝)혈을 찔러 피를 내야 곧 멎는다[동원]. ○ 코피가 나오는 데는 상성(上星), 풍부(風府), 아문(?門), 합곡(合谷), 내정(內庭), 삼리(三里), 조해(照海)혈을 쓴다[강목]. ○ 피를 토하는 데는 풍부(風府), 대추, 단중(?中), 상완(上脘), 중완(中脘), 기해(氣海), 관원, 삼리혈들을 쓴다[강목]. ○ 피를 토하는 데는 대릉(大陵)혈에 뜸을 뜬다[득효]. ○ 구혈(嘔血)에는 상완, 대릉, 극문(?門), 신문(神門)혈을 쓴다[동원]. ○ 관맥 부위에서 규맥(脈)이 나타나고 대변으로 피가 여러 되 나오는 것은 격유(膈兪)가 상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격수(膈兪)혈에 뜸을 뜨는 것이 좋다[맥경]. ○ 허로(虛勞)로 피를 토하는 데는 중완에 뜸을 3백장 뜬다. 그리고 피를 토하는 데와 타혈(唾血)에는 폐수(肺兪)혈에 나이수와 같이 뜸을 뜬다. 입과 코로 피가 나오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을 뇌뉵(腦?)이라고 하는데 이때에는 상성혈에 뜸을 50장 뜬다[득효]. ○ 하혈이 멎지 않을 때에는 배꼽과 수평되는 등뼈 위에 뜸을 7장 뜨면 멎는다[자생].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침구(針灸)] 오장육부소속오수오행五臟六腑所屬五?五行 368
[침구(針灸)] 5수혈과 음양의 배합[五?陰陽配合] 327
[침구(針灸)] 5수혈이 주관하는 병[五?主病] 356
[침구(針灸)] 4계절에 따라 5수혈에 침놓는 방법[五?鍼隨四時] 307
[침구(針灸)] 정합의 의의[井合有義] 283
[침구(針灸)] 12개의 원혈을 써서 5장6부의 병을 치료하는 방법[五臟六腑有疾當取十二原] 706
[침구(針灸)] 장부의 중요한 침혈[臟腑要穴] 396
[침구(針灸)] 6개의 합혈이 나드는 곳[六合所出所入] 466
[침구(針灸)] 족3초의 별맥[足三焦別脈] 378
[침구(針灸)] 8회혈(八會穴) 1027
[침구(針灸)] 6개 경맥의 표와 본[六經標本] 575
[침구(針灸)] 몸에 있는 4곳의 모여드는 것과 그에 해당한 수혈[人身四海?穴] 426
[침구(針灸)] 대접경(大接經) 519
[침구(針灸)] 병을 치료하는 데 주요한 혈[主病要穴] 562
[침구(針灸)] 침과 뜸을 놓는데 삼가할 것[禁鍼灸] 468
[침구(針灸)] 5장을 찌르면 죽는다[刺中五臟死候] 481
[침구(針灸)] 침을 잘못 놓으면 사람이 상한다는 데 대하여[失鍼致傷] 442
[침구(針灸)] 침을 놓지 못하는 혈[禁鍼穴] 489
[침구(針灸)] 뜸을 뜨지 못하는 혈[禁灸穴] 510
[침구(針灸)] 기혈(奇穴) 587
[침구(針灸)] 별혈(別穴, 경외기혈) 1006
[침구(針灸)] 여러 가지 약으로 뜸을 뜨는 방법[諸藥灸法] 488
[침구(針灸)] 계족침법(鷄足鍼法) 718
[침구(針灸)] 좋은 날을 택하여 침뜸을 놓는 방법[擇鍼灸吉日法] 466
[침구(針灸)] 태을이 중궁에 옮겨가는 날, 8풍으로 좋고 나쁜 것을 예견하는 법 765
[침구(針灸)] 몸이 9야에 상응한다는 데 대하여[身形應九野] 456
[침구(針灸)] 태을신이 8계절이 나도는 날수[太乙遊八節日數] 471
[풀(草部)] 회향(茴香) 423
[풀(草部)] 관동화(款冬花) 380
[풀(草部)] 홍남화(紅藍花, 잇꽃) 홍남묘(紅藍苗, 잇꽃싹) 홍남자(紅藍子, 잇꽃씨) 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