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소리(聲音)

목소리[聲音]는 신(腎)에서 나온다는 것[聲音出於腎]

한닥터 2011.07.16 조회 수 975 추천 수 0
◎ 聲音出於腎 ○ 心爲聲音之主肺爲聲音之門腎爲聲音之根風寒暑濕氣血痰熱邪氣有干於心肺者病在上脘隨證解之邪氣散則天籟鳴矣若夫腎虛爲病不能納諸氣以歸元故氣逆而上咳嗽痰壅或喘或脹胸腹百骸俱爲之牽制其嗽愈重其氣愈乏其聲愈乾矣<直指> ○ 一小兒吐瀉錢氏與瓜蔞湯(方見小兒)得愈其兒又不大小便他醫以藥利之變身冷不飮食錢氏用益黃散使君子丸果身溫而能飮食其兒又不語錢氏曰此因凉藥利小便致脾腎俱虛今脾已實腎尙虛用六味地黃元(方見虛勞)一月而痊<錢乙> ○ 腎虛聲不出宜服人參平補湯大病後失音宜服腎氣丸(方見虛勞)
 
☞ 목소리[聲音]는 신(腎)에서 나온다는 것[聲音出於腎] 

 ○ 심(心)은 목소리를 주관하고 폐(肺)는 목소리의 문이며 신(腎)은 목소리의 근원이다. 풍(風), 한(寒), 서(暑), 습(濕), 기(氣), 혈(血), 담(痰), 열(熱) 등 사기(邪氣)가 심폐(心肺)에 침입하면 상완(上脘)에 병이 생기는데 증상에 따라 치료하여야 한다. 사기를 없애면 목소리가 나온다. 만약 신이 허해서 병이 생기면 모든 기를 받아들였다가 제자리로 돌려보내지 못하기 때문에 기운이 치밀어 오른다. 그러므로 기침이 나고 담이 뭉치며 혹은 숨차거나 가슴이 벅차고 가슴과 배, 온몸의 뼈가 다 켕긴다. 기침이 심하면 기운이 더 부족해져서 소리가 더 작아진다[직지]. ○ 어떤 어린이가 토하고 설사하였다. 그리하여 전씨(錢氏)가 과루탕(瓜蔞湯, 처방은 소아문에 있다)을 썼는데 나았다. 그 어린이가 또 대소변을 보지 못하게 되자 다른 의사가 약으로 설사시켰는데 몸이 차지고 음식을 먹지 못하게 되었다. 전씨가 익황산과 사군자환을 쓰자 비로소 몸이 더워지고 음식을 먹게 되었다. 또한 그 어린이가 말을 못하게 되었을 때 전씨가 "이것은 성질이 서늘한 약으로 오줌을 누게 하여 비(脾)와 신(腎)이 다 허해졌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금 보면 비는 이미 실해졌으나 신이 아직 허하다"고 하면서 육미지황원(六味地黃元,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1달 동안 썼는데 나았다[전을]. ○ 신(腎)이 허해서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데 인삼평보탕을 먹이는 것이 좋고 중병을 앓은 뒤에 말을 못하는 데는 신기환을 먹는 것이 좋다(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 人參平補湯 治腎虛聲不出人參川芎當歸熟地黃白芍藥白茯苓免絲子五味子杜沖巴戟橘紅半夏麴各六分牛膝白朮破故紙胡蘆巴益智甘草灸各三分石菖蒲二分右剉作一貼薑三片棗二枚水煎於五更初腎氣開時不許咳唾言語黙黙服之<直指> ○ 回春名滋腎湯與此同
☞ 인삼평보탕(人蔘平補湯) ○ 신(腎)이 허(虛)하여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인삼, 천궁, 당귀, 숙지황, 백작약, 백복령, 토사자, 오미자, 두충, 파극, 귤홍, 반하국 각각 2.4g, 우슬, 백출, 파고지, 호로파, 익지인, 감초(볶은 것) 각각 1.2g, 석창포 0.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인다. 새벽(4-5시)에 신기(腎氣)가 열릴 때 먹는데 기침을 하지 말고 가래침도 뱉지 말며 말도 하지 말고 있다가 조용히 먹어야 한다[직지]. ○ 『회춘』에 있는 자신탕(滋腎湯)이 이 약과 같다.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인삼평보탕(人蔘平補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풍(風)] 풍비(風?) 1572
[소아(小兒)] 경풍 허실을 구분하고 증상을 역증과 순증으로 가르며 치료는 나중에 할 것과 먼저 할 것이 있다[驚風大抵熱論虛實證別逆順治有後先] 1571
[머리(頭)] 기궐두통(氣厥頭痛) 1569
[후음(後陰)] 치질을 두루 치료하는 약[痔病通治] 1563
[기침(咳嗽)] 담수(痰嗽) 1549
[기(氣)] 상기(上氣) 1542
[손(手)] 어깻죽지와 팔의 병의 원인[肩臂病因] 1539
[충(蟲)] 노채충(勞?蟲) 1538
[화(火)] 오열과 오한[惡熱惡寒] 1537
[입과 혀(口舌)] 입맛이 짠 것[口鹹] 1536
[머리(頭)] 허훈(虛暈) 2 1534
[배(腹)] 식적으로 배가 아픈 것[食積腹痛] 1528
[잡방(雜方)] 신이고(神異膏) 1524
[오줌(小便)]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小便不利] 1523
[담음(痰飮)] 기담(氣痰) 1522
[한(寒)] 상한 때의 섬어와 정성[傷寒?語鄭聲] 1522
[신형(身形)] 환단내련법[還丹內煉法] 1521
[가슴(胸)] 담음으로 생긴 위완통[痰飮胃脘痛] 1521
[입과 혀(口舌)] 혀가 부은 것[舌腫] 1518
[풍(風)] 풍병을 치료하는 방법[風病治法] 1518
[눈(眼)] 내장(內障) 1515
[대변(大便)] 손설(飱泄) 1512
[부인(婦人)] 태루와 태동[胎漏胎動] 1512
[풍(風)] 역절풍의 치료법[歷節風治法] 1510
[소아(小兒)] 만경풍(慢驚風) 1509
[젖(乳)] 유옹(乳癰) 1508
[간장(肝臟)] 간병의 증상[肝病證] 1501
[허리(腰)] 접질려서 허리가 아픈 것[挫閃腰痛] 2 1500
[정(精)] 몽설(夢泄)은 심(心)에 속한다[夢泄屬心] 1492
[담음(痰飮)] 식담(食痰) 1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