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소리(聲音)

단방(單方)/목소리

한닥터 2011.07.16 조회 수 782 추천 수 0
◎ 單方 ○ 凡十二種
☞ 단방(單方)/목소리  ○ 모두 12가지이다. 

◈ 石菖蒲出音聲煎服或末服?佳<本草>
☞ 석창포(石菖蒲) ○ 목소리를 내게 하는데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 燕覆子續五藏斷絶氣使語聲足氣常食之<本草>
☞ 연복자(燕覆子, 목통씨) ○ 5장(五藏) 기운이 끊어진 것을 잇고 말소리가 힘있게 나오게 하는데 늘
먹어야 한다[본초]. 

◈ 通草出音聲可煎服之佳<本草>
☞ 통초(通草) ○ 목소리를 내게 하는데 달여서 먹으면 좋다[본초]. 

◈ 杏仁可和酪作湯益潤聲氣 ○ 欲好聲杏仁一升去皮尖熬?一兩蜜少許和丸梧子大米飮下十五丸或二十丸<本草>
☞ 행인(杏仁, 행인) ○ 졸인 젖(酪)과 섞어 달여서 먹으면 목소리가 더 미끈하고 힘있게 나온다. ○ 목소리를 좋게 하려면 행인 1되를 껍질과 끝을 버리고 졸인 젖(熬酪) 40g에 넣어 끓인 다음 봉밀을 약간 넣고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15-20알씩 미음으로 먹어야 한다.[본초] 

◈ 桂心治感寒失音取細末含之嚥汁 ○ 咽喉痒痛失音不語桂心杏仁各一兩爲末蜜丸櫻桃大綿裏含化嚥汁<本草>
☞ 계심(桂心) ○ 한사(寒邪)에 감촉되어 목이 쉰 것을 치료한다. 보드랍게 가루내서 입에 물고 녹여 먹는다. ○ 목구멍이 가렵고 아프며 목이 쉬어 말을 못하는 데는 계심과 행인 각각 40g씩을 가루내어 봉밀에 반죽한 다음 앵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쓰는데 솜에 싸서 입에 물고 녹여 먹는다[본초]. 

◈ 苦竹葉治卒失聲聲?不出濃煎飮之<本草>
☞ 고죽엽(苦竹葉) ○ 갑자기 목이 쉬거나 목소리가 막혀서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데 진하게 달여서 먹는다[본초]. 

◈ 橘皮治卒失聲聲不出橘皮濃煮取汁頻服<本草>
☞ 귤피(橘皮) ○ 갑자기 목이 쉬어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데 진하게 달여 즙을 짜서 자주 먹는다[본초]. 

◈ 梨主中風失音不語生?取汁每服一合日再<本草>
☞ 이(梨, 배) ○ 중풍으로 목이 쉬어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 데 주로 쓴다. 생것으로 짓찧어 즙을 내어 한번에 1홉씩 하루 두번 먹는다[본초]. 

◈ 乾?潤聲喉可水漬常服之<本草>
☞ 건시(乾?, 곶감) ○ 목소리를 부드럽게 하는 데 좋다. 물에 담갔다가 늘 먹어야 한다[본초]. 

◈ 胡麻油主??能潤肺故也.可和竹瀝薑汁童便等服之
☞ 호마유(胡麻油, 참깨기름) ○ 벙어리를 치료하는 데 주로 쓴다. 폐를 눅여 주려면 참대기름이나 생강즙같은 것을 타서 먹어야 좋다. 

◈ 童子尿主久嗽失音由其能降火故也.又云人尿益聲可溫服之<綱目>
☞ 동자뇨(童子尿) ○ [번역생략] 

◈ 鷄子多食令人有聲以水煮兩沸合水服之<本草>
☞ 계자(鷄子, 달걀) ○ 많이 먹으면 목소리가 잘 나온다. 물에 두번 끓어오르게 삶아서 그 물과 같이 먹는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나무[木部]] 빈랑(檳郞 ) 69
[나무[木部]] 위모(衛矛) 70
[돌[石部]] 자석모(磁石毛, 지남석털) 70
[금속[金部]] 철분(鐵粉) 70
[채소(菜部)] 현경엽( ?莖葉, 비름의 줄기와 잎) 71
[채소(菜部)] 백개(白芥, 흰겨자) 71
[채소(菜部)] 사근(渣芹) 71
[풀(草部)] 모향화(茅香花) 71
[풀(草部)] 초과(草果) 71
[나무[木部]] 곽향(藿香) 71
[나무[木部]] 혈갈(血竭) 71
[금속[金部]] 침사(鍼砂) 71
[풀(草部)] 촉칠(蜀漆) 72
[풀(草部)] 백두옹(白頭翁, 할미꽃뿌리) 72
[나무[木部]] 춘목엽(椿木葉, 춘나무잎) 72
[나무[木部]] 대풍자(大風子) 72
[채소(菜部)] 사과(絲瓜, 수세미) 74
[나무[木部]] 대복피(大腹皮) 74
[돌[石部]] 흑반(黑礬) 74
[채소(菜部)] 고거근(苦?根, 고거뿌리) 75
[풀(草部)] 천웅(天雄) 75
[나무[木部]] 송연묵(松烟墨) 75
[풀(草部)] 육두구(肉豆?) 76
[풀(草部)] 패천공(敗天公) 76
[나무[木部]] 죽력(竹瀝, 참대기름) 76
[풀(草部)] 야자고(野茨菰) 77
[채소(菜部)] 해조(海藻, 듬북) 78
[풀(草部)] 정중태(井中苔, 우물 속의 이끼) 78
[돌[石部]] 녹반(綠礬) 78
[풀(草部)] 청포(靑布, 쪽물들인 천)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