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갱미(粳米, 멥쌀)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693 추천 수 0
◈ 粳米 ○ 됴?니?性平味甘苦無毒平胃氣長肌肉溫中止痢益氣除煩[本草] ○ 粳硬也堅硬於?米也入手太陰少陰經氣精皆從米變化而生故字皆從米[入門] ○ 作飯及粥食之稍生則不益脾過熟則佳[本草] ○ 白晩米爲第一早熟米不及也[本草] ○ 卽晩米也霜後收者佳[日用]

☞ 갱미(粳米, 멥쌀)

○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면서 쓰고[甘苦] 독이 없다. 위기(胃氣)를 고르게 하고 살찌게 하며 속을 덥히고 이질을 멎게 하는데 기를 보하고 답답한 것[煩]을 없앤다[본초]. ○ 멥쌀이라는 '갱(粳)'자에는 굳다는 뜻(硬, 즉 堅)이 들어 있는데 그것은 찹쌀보다 굳기 때문이다. 이것의 기운은 수태음경과 수소음경으로 들어간다. 기(氣)와 정(精)은 다 쌀을 먹어서 그것이 변화되어 생긴 것이기 때문에 '기(氣)'자와 '정(精)'자에는 다 쌀'미(米)'자가 들어 있다[입문]. ○ 밥이나 죽을 만들어 먹는데 약간 설익어도 비장(脾臟)에 좋지 못하다. 잘 익혀 먹어야 좋다[본초]. ○ 멥쌀은 늦벼쌀(白晩米)이 제일 좋다. 올벼쌀(早熟米)은 이것만 못하다[본초]. ○ 이것은 바로 늦벼쌀을 말하는데 서리가 온 뒤에 거둔 것이 좋다[일용].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580 [가] 곽향(藿香) 2097
579 [탕액편] 근, 량, 되, 말[斤兩升斗] 2087
578 [사] 생강(生薑) 건강(乾薑, 마른생강) 2082
577 [아] 율자(栗子, 밤) 율피(栗皮, 밤껍질) 율모각(栗毛殼, 밤송이) 건율 2063
576 [바] 반석(礬石, 백반) 2004
575 [하] 사초근(莎草根, 향부자) 2002
574 [아] 연실(蓮實, 연밥) 연자(蓮子, 연밥) 연자육(蓮子肉, 연밥) 2000
573 [바] 백렴(白 , 가위톱) 1996
572 [가] 감초(甘草) 1995
571 [탕액편] 5장을 보하거나 사하는 것[五藏補瀉] 1965
570 [다] 대맥얼(大麥蘖, 보리길금) 맥아(麥芽) 1964
569 [바] 반하(半夏, 끼무릇) 1940
568 [가] 고본(藁本) 1926
567 [바] 복분자(覆盆子, 나무딸기) 1913
566 [다] 독활(獨活, 따두릅) 1838
565 [바] 백출(白朮, 흰삽주) 1821
564 [바] 백부자(白附子, 노랑돌쩌귀) 1802
563 [사] 소엽,자소(紫蘇, 차조기) ,자소엽(紫蘇葉, 차조기잎) 1799
562 [차] 차전자(車前子, 길짱구씨) 차전엽/차전근(車前葉及根, 길짱구의 잎과 뿌리) 1792
561 [아] 인진호(茵陳蒿, 생당쑥) 1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