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령(茯苓 , 솔풍령)

HaanDoctor 2008.02.25 조회 수 2157 추천 수 0

복령(茯 , 솔풍령)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달고[甘] 독이 없다.

입맛을 돋구고 구역을 멈추며 마음과 정신을안정하게 한다.

폐위(肺 )로 담이 막힌 것을 낫게하며 신(腎)에 있는 사기를 몰아내며 오줌을 잘나가게 한다.

수종(水腫)과 임병(淋病)으로오줌이 막힌 것을 잘 나가게 하며 소갈을 멈추고건망증[健忘]을 낫게 한다.

○ 『선경(仙經)』에서는 음식 대신 먹어도좋다고 하였다. 이 약은 정신을 맑게 하고 혼백을안정시키며 9규를 잘 통하게 하며 살을 찌게 하고대소장을 좋게 하며 가슴을 시원하게 한다. 또영기(榮氣)를 고르게 하고 위(胃)를 좋게 하므로[理]제일 좋은 약이며 곡식을 안 먹어도 배고프지않다고 하였다.

○ 산 속의 곳곳에 있다. 송진이 땅에 들어가천년 지나서 솔풍령이 된다. 소나무뿌리를 싸고있으면서 가볍고 퍼석퍼석한 것은 복신(茯神)이다.음력 2월과 8월에 캐서 다 그늘에서 말린다.크기가 3-4되가 되며 껍질이 검고 가는 주름이있으며 속은 굳고 희며 생김새가 새, 짐승, 거북,자라 같은 것이 좋다[본초].

○ 흰 것, 벌건 것 등 두 종류가 있는데 흰 것은수태음경, 족태양경, 족소양경에 들어가고 벌건것은 족태음경, 수태양경, 소음경에 들어간다.또한 빛이 흰 것은 신수[壬癸]로 들어가고 빛이벌건 것은 심화[丙丁]로 들어간다[탕액].

○ 빛이 흰 것은 보하고 빛이 벌건 것은 사한다[본초].

○ 쓸 때에 껍질을 벗기고 가루내서 수비(水飛)하여물 위에 뜨는 잡질을 버리고 햇볕에 말려 쓴다.이렇게 해서 써야 눈이 상하지 않는다. 음이 허한사람은 쓰지 말아야 한다[입문].

복령(茯
 , 솔풍령) 단방 [身形] 

오랫동안 먹으면 배고프지 않고 오래 살며 늙지 않는다. 흰솔풍령(백복령)에 흰국화를 섞거나 흰삽주(백출)를 섞어서 알약이나 가루약을 만들어 마음대로 먹을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흰솔풍령껍질을 버리고 술에 15일 동안 담가 두었다가 건져내어 가루를 낸 다음 한번에 12g씩 하루 세번 물로 먹는다. 오랫동안 먹으면 오래 살고 늙지 않으며 얼굴이 젊은이와 같이 된다[본초].

복령(茯 흰솔풍령) [小便]        
5가지 임병을 치료하는데 주로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을 잘 나오게 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어도 다 좋다[본초].

[濕]        
슴슴한 맛은 수분이 나가는 구멍을 잘 통하게 하고 단맛은 양기(陽氣)를 도와주므로 습을 없애는 데 아주 좋은 약이다. 선방(仙方)에는 흰솔풍령(백복령)을 먹는 법이 있다. 법제(法製)하여 오랫동안 먹으면 좋다고 하였다[본초].

백복령(白茯
, 흰솔풍령) [精]       
술에 담갔다가 주사와 같이 쓰면 정(精)을 굳건히 간직하게 한다[동원 탕액].  

○ 심이 허하여 몽설(夢泄)하는 것을 치료한다. 흰솔풍령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16g씩 하루 세번 미음에 타 먹는다[직지].

[面]        
기미와 몸푼 부인의 얼굴에 참새알빛같은 검버섯이 생긴 것을 없앤다.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늘 얼굴에 바르면 좋다[본초].

[津液]       
저절로 땀이 나는 것과 식은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한다.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오매와 묵은 약쑥을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득효].



* 한닥터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24 00:56)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복령(茯苓, 솔풍령) 복신(茯神) by 한닥터
  2. 약재 정보 복령(茯苓) by 한닥터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15 [바] 박하(薄荷) 1466
14 [바] 반석(礬石, 백반) 2003
13 [바] 반하(半夏, 끼무릇) 1938
12 [바] 방기(防己) 1741
11 [바] 방풍(防風) 1487
10 [바] 백급(白?) 1474
9 [바] 백렴(白 , 가위톱) 1996
8 [바] 백부자(白附子, 노랑돌쩌귀) 1802
7 [바] 백지(白芷, 구릿대) 1591
6 [바] 백출(白朮, 흰삽주) 1819
[바] 복령(茯苓 , 솔풍령) 2157
4 [바] 복분자(覆盆子, 나무딸기) 1911
3 [바] 복신(茯神) 1387
2 [바] 부자(附子) 1525
1 [바] 빈랑(檳 ) 1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