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약학

대황 (大黃, Rhei Rhizoma)

한닥터 2016.03.31 조회 수 3 추천 수 0

기   원 

Rheum palmatum L.(금문대황), R. coreanum Nakai (장군풀), R. tanguticum Maximowicz (서대황). (마디풀과 Polygonaceae)


성   미 

苦, 寒 / 攻下藥 : 사열통변(瀉熱通便), 양혈해독(凉血解毒), 축어통경(逐瘀通經)


산   지 

금문대황, 서대황은 중국, 티벳 등지

장군풀(한국대황)은 한국

운남대황은 중국 약 3000 m 고지에서 생산


성분

Dianthrone Glycosides  - sennoside A - F

Anthraquinone - crysophanol, emodin, aloe-emodin, rhein, physcion

Stilbene - rhaponticin, 3,5,4’-trihydroxystilbene 4’-glucoside 및 6’-gallate

Naphthalene  - torachrysone 8-glucoside, 6-hydroxymusizin

Phenylbutane - (-)-lindleyin

Tannins  - rhatanin I, II, glucogallin, 2’-O-cinnamoyl-glucogallin,  1,2,6-trigalloyl glucose, (+)-catechin, (-)-epicatechin, procyanidin B1-3-O-gallate, procyanidin B2-3,3’-di-O-gallate



약리, 응용

사하작용  - sennosides는 위장관에서 흡수되지 않고 대장으로 이행 → 장내 세균에 의해 rhein anthrone으로 분해 → 장 연동운동 촉진, 수분, Na 흡수 저해, 점액분비 촉진으로 사하작용


유리anthrone - 복통,구토,설사 등 유발 (따라서 anthraquinone 함유 생약은 채취 후 1년 이상 경과 생약 사용)

                - chrysophanol, physcion 및 이들 배당체는 사하작용이 없음




관련된 글
  1. 약재 정보 대황 (大黃, Rhei Rhizoma) by 한닥터
  2. 동의보감 대황(大黃) by 한닥터
  3. 약재 정보 대황(大黃) by 한닥터
  4. 약재 정보 Rhizoma Rhei 대황 by 한닥터
  5. 방약합편 HH237 大黃(대황) Capsule by 한닥터
  6. 방약합편 HH207 大黃細末(대황세말) by 한닥터
  7. 본초정리 대황(大黃)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500 [아] 위령선(威靈仙, 으아리) 1233
499 [아] 음양곽(淫羊藿, 팔파리) 1211
498 [아] 연실(蓮實, 연밥) 연자(蓮子, 연밥) 연자육(蓮子肉, 연밥) 2000
497 [하] 행핵인(杏核仁, 살구씨) 행실(杏實, 살구열매) 행인(杏仁) 1617
496 [다] 담죽엽(淡竹葉) 1526
495 [마] 만형자(蔓荊子, 순비기열매) 만형실(蔓荊實, 순비기나무열매) 1198
494 [다] 대맥얼(大麥蘖, 보리길금) 맥아(麥芽) 1964
493 [바] 복분자(覆盆子, 나무딸기) 1913
492 [사] 서여(薯? , 마) 산약(山藥, 마) 1401
491 [사] 상표초(桑??, 사마귀알집) 1469
490 [아] 아교(阿膠) 1217
489 [아] 익모초(益母草) 충위자( 蔚子, 익모초씨) 1399
488 [자] 진피(榛皮) 1562
487 [차] 천남성(天南星) 1324
486 [차] 천문동(天門冬) 1441
485 [타] 토사자(兎絲子) 1409
484 [파] 패모(貝母) 1386
483 [파] 포공영(蒲公英) 1408
482 [하] 현삼(玄蔘) 1372
481 [하] 회향(茴香) 1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