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얼미(蘖米, 조길금)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520 추천 수 0
◈ ?米 ○ 조기룸性溫味苦無毒主寒中下氣開胃消食除熱[本草] ○ 此卽粟?也取半生者作之今穀神散中用之性又溫於大麥?[本草] ○ ?者生不以理之名也皆當以可生之物爲之粟?麥?皆其類也[本草] ○ ?米卽穀芽也[入門]

☞ 얼미(蘖米, 조길금)

○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쓰며[苦] 독이 없다. 속이 찬 것[寒中]을 치료하고 기를 내리며 입맛이 나게 하고 음식이 소화되게 한다. 열도 없앤다[본초]. ○ 이것이 바로 속얼(粟蘖)인데 절반 정도 자란 것을 쓴다. 요즘에는 곡신산(穀神散)에 넣어 쓴다. 성질은 보리길금(대맥얼)보다 더 따뜻하다[溫][본초]. ○ 길금(蘖)이란 땅 속에 묻지 않고 싹을 낸 것인데 곡식은 다 싹을 낼 수 있다. 조길금이나 보리길금도 다 이렇게 만든 것이다[본초]. ○ 길금이란 바로 곡식의 싹을 말한다[입문].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260 [탕액편] 벽해수(碧海水, 짠 바닷물) 569
259 [탕액편] 인곤당(人??, 속곳 밑부분) 569
258 [탕액편] 고양각(?羊角, 숫양의 뿔) 569
257 [탕액편] 백아육(白鵝肉, 흰 거위고기) 571
256 [탕액편] 연어(?魚) 576
255 [탕액편] 지장수(地漿, 누런 흙물을 말한다.) 577
254 [탕액편] 송어(松魚) 578
253 [탕액편] 회어(?魚, 민어) 579
252 [탕액편] 석류(石榴) 580
251 [탕액편] 목방(鶩肪, 집오리 기름) 586
250 [탕액편] 나미(?米, 찹쌀) 591
249 [탕액편] 진름미(陳?米, 묵은 쌀) 592
248 [탕액편] 작육(雀肉, 참새고기) 592
247 [탕액편] 노육(驢肉, 나귀고기) 594
246 [탕액편] 추어(鰍魚, 미꾸라지) 595
245 [탕액편] 공어(?魚, 가오리) 598
244 [탕액편] 팔초어(八梢魚, 문어) 599
243 [탕액편] 감란수(甘爛水, 몹시 휘저어서 거품이 생긴 물을 말한다.) 604
242 [탕액편] 춘우수(春雨水, 정월에 처음으로 내린 빗물) 607
241 [탕액편] 점어(鮎魚, 메기) 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