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병증(脾病證)

웅이아빠 2009.05.29 조회 수 3519 추천 수 0

비병증(脾病證)

비기허증(脾氣虛證), 비양허증(脾陽虛證), 비음허증(脾陰虛證), 중기하함증(中氣下陷證), 비불통혈증(脾不統血證), 한습곤비증(寒濕困脾證), 습열상비증(濕熱傷脾證), 비허수종(脾虛水腫), 비종증(脾腫證)으로 분류한다.

① 비기허증(脾氣虛證) : 脾의 運化機能이 失調되어 面色萎黃 四肢倦怠 食慾不振 食後脘腹脹滿 ?氣 吐酸 嘔吐 浮腫 便?或稀便 尿淸長 舌淡嫩或有齒? 苔白 脈虛緩而無力 等의 症狀을 나타내는 病證이다. 비기가 부족하여 운화작용을 상실한 증이다. 본증은 비기가 부족하여 운화기능이 제대로 안되는 증이다. 비는 후천의 본으로 기혈생화의 원천이므로 비허로 식사량이 감소하면 기혈의 생화가 부족하게 되어 여러 부가적인 증상이 나타나는데, 기혈이 면부를 영양하지 못하면 면색이 위황하고, 전신을 영양하지 못하면 사지권태가 나타난다. 비허하면 중기부족하므로 기단라언한다. 또한 비위는 상호 영향을 주므로 비기가 부족하면 위기 역시 약화되어 음식을 받아들이고 소화하는 기능이 쇠퇴하므로 음식부진으로 나타나고 소화가 늦어지며, 식후에는 비기가 오히려 피곤해지므로 중초의 기혈순환이 안되어 복창한다. 그리고 비허로 수습이 불화하게 되면 대변당박, 소변불리, 지체부종 등이 나타난다. 본증은 설질이 담하고 태백하며, 맥상이 완약한데 그것은 비기허로 기혈이 충만하지 못한 때문이다.

② 비양허증(脾陽虛證) : 脾氣虛가 보다 발전하여 寒象을 나타내는 것으로 生冷 肥甘物을 過食하거나 寒凉藥物을 過用하거나 또는 久病으로 말미암아 脘腹脹滿而冷痛 喜溫喜按 肢冷倦怠 納?兼嘔吐 泄痢淸穀 面色萎黃 少華或有水腫 白帶下而量多 舌質淡 舌苔薄白 脈沈細或細弱 等의 症狀을 나타내는 病證이다. 비기허증이 오래되어 비양이 손상되거나 또는 찬음식물을 과식하거나 한량약을 과다하게 복용하여 양기가 쇠퇴되고 내한이 생겨 비의 운화기능이 원활히 수행되지 못하는 증이다. 비양이 허쇠하여 운화기능이 제대로 안되면 식사량이 감소하고 복창한다. 또한, 중양이 부진하여 허한이 생기면 기기를 응체시켜 복중랭통이 나타나는데 따뜻하게 하면 한기가 흩어지고, 만져주면 손의 열기가 전달되어 동통이 점차로 경감하므로 그 동통의 특징이 ‘희온희안’이다. 수습이 운화가 안되어 수습이 모여서 장내로 흐르면 대변이 당박청희하며 기허의 변당보다 더욱 심하고, 수습이 기부로 넘치면 기체부종, 소변불리하며, 수습이 아래로 모이면 백대가 청희하고 양이 많다. 더불어 양기가 사말에 도달되지 못하므로 사지불온하게 된다. 맥은 침세해지는데 이것은 리허한을 끼고 있기 때문이다.

③ 비음허증(脾陰虛證) : 脾胃의 陰液이 不足하여 受納 運化에 影響을 미쳐 唇燥口乾 喜飮口淡無味 飮食減少 大便乾結 舌紅乾 苔少 或舌面光滑 等의 症狀을 나타내는 病證이다. 습열사가 비음을 손상하거나 사려노권, 실혈, 토설과다로 비음이 부족해져 허열이 발생하고 유윤기능과 운화기능에 영향을 미친 증이다. 비음이 부족하여 유윤작용을 하지 못하므로 구건소진, 대변비결이 있고 운화기능이 원활하지 못하므로 식납감소, 식후복창이 나타난다. 또한 수곡의 정미가 정신과 형체를 영양하지 못하여 신피, 소요하고 비음부족으로 허열이 생겨 순설건조, 구갈희음하면서 경미한 발열이 있다. 설건소진 또는 태소, 맥세수한 것은 음허내열을 의미한다.

④ 중기하함증(中氣下陷證) : 脾陽의 升擧가 乏力하여 聲低氣短 脘腹墜脹 脫肛 子宮脫垂 小便淋?不盡 久泄 消瘦乏力 舌淡苔白 脈緩無力或濡細 等의 症狀을 나타내는 病證. 기허 병기의 일종으로 기의 승거 작용이 무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오장육부의 위치와 기능은 기의 상승제섭 및 정상적인 승강출입 운동에 의지하고 있는데 기허로 인한 기능감퇴시에는 중기가 하함하여 장부조직의 위치가 아래로 이동하는 병리변화를 일으킨다. 체질이 허약하거나 오랜 병환으로 비기가 허손부족하여 청양불승하고 그로 인해 중기라 허함하면 위하수, 신하수, 자궁탈수, 탈항 등의 병증이 발생한다. 동시에 요복창만중추, 변의빈빈, 기단핍력, 어성저미, 맥세무력 등이 함께 나타난다.

⑤ 비불통혈증(脾不統血證) : 脾氣虛弱으로 血을 統攝하지 못하여 便血 尿血 月經過多 崩漏肌? 納? 脘腹脹滿 便? 神疲肢倦 面色萎黃或蒼白 頭暈 氣短心悸 舌質淡 脈細弱 等의 症狀을 나타내는 病證. 구병이나 노권 등으로 비기가 손상되어 혈액을 충섭할 수 없어서 혈이 외일된 증이다. 비허로 혈액을 충섭하지 못하면 혈액이 경을 따라 제대로 흐르지 못하고 맥외로 흘러나와 변혈, 뉵혈, 비부자문, 월경과다 또는 붕루 등의 각종 출혈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비허로 기혈을 화생하지 못하면 신체와 정신이 영양받지 못하여 신피무력, 면색창백 또는 위황, 단기라언, 권태무력하고 운화기능이 무력해져서 식후창만, 대변당설한다. 설담, 맥약은 비기허의 상이다.

⑥ 한습곤비증(寒濕困脾證) : 脾氣가 虛하여 水濕을 運化하지 못하거나 或은 涉水 淋雨 久臥 濕地 等의 原因으로 말미암아 胃脘滿悶 納食減少 頭重如? 肢體困倦 大便?泄 白帶下過多 浮腫 脘腹綿綿作痛 甚則惡 心嘔吐 口淡粘? 喜熱飮 皮膚睛黃 舌苔厚? 脈濡細或緩 等의 症狀을 나타내는 病證. 내습으로 비가 손상을 받았거나 비가 허하여 한습이 생겨서 발생된 증이다. 체내에 습이 생기는 것은 비를 오랜 시간 맞으며 작업을 하거나 습기가 많은 곳에 기거하는 경우나 어느 한 음식물을 과식하는 경우에 많다. 체내에 습이 생기면 비양을 피곤하게 만들어서 기능을 쇠퇴시키고, 반대로 비양이 허하여서 한습이 생기게 된다. 이렇게 되면 비의 운화와 승강기능이 제대로 안되어 완복창민하고 심하면 복통당설, 오심욕토, 구점무미하게 되고 한습이 경맥에 맺혀 청장이 위로 올라가지 못해 두신곤중한다. 또한 비가 습으로 피곤해지면 생화기능이 약해져서 기혈이 면부를 영양하지 못하므로 면색회황하고, 장기가 한습으로 그 기능을 못하여 다시 수습을 온화라 수 없게 되면 습이 기표로 넘치므로 기체부종이 나타난다. 한습이 아래로 모이면 여성의 경우 대하량이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설질은 담반하고 태는 백니하며 맥이 유골한 것은 한습내성으로 인한 것이다.

⑦ 습열상비증(濕熱傷脾證) : 脾胃의 濕熱과 膽汁이 肌膚로 外溢함으로써 面目發黃而如橘色脘腹脹悶 不思飮食 壓油? 惡心嘔吐 尿少而赤 身痒發熱 口乾苦便秘或大便不爽 皮膚瘡瘍 濕疹流黃水 舌苔黃? 脈濡數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병증.

⑧ 비허수종(脾虛水腫) : 脾陽이 虛하여 運化機能이 低下됨으로써 四肢浮腫 甚則全身浮腫 腹脹納? 大便?泄 神疲肢倦 舌質淡 苔白潤 脈濡緩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병증.

⑨ 비종증(脾腫證)

기타 비병증(脾病證) : 변증에 의해 다음과 같은 분류를 할 수 있다.

㉠ 비위기허증(脾胃氣虛證) : 脾氣虛와 같음.

㉡ 비위습열증(脾胃濕熱證) : 濕熱이 脾胃에 內蘊하여 身目俱黃 腹脹脘? 飮食減少 惡心 倦怠 尿少黃 苔黃? 脈濡數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병증.

㉢ 비위기체증(脾胃氣滯證)

㉣ 위강비약증(胃强脾弱證)

㉤ 비위허한증(脾胃虛寒證) : 腹部脹滿 食後明顯 大便?稀 甚則小便不利 水腫 或四肢乏力 全身倦怠 舌淡有齒痕 苔白 ?脈濡滑 等의 症狀을 나타내는 病證.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