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허증(腎虛證)

웅이아빠 2009.05.29 조회 수 6667 추천 수 0

신허증(腎虛證)

腎의 機能的인 면의 虛弱을 말하며, 아래와 같이 분류한다.

① 신음허증(腎陰虛證) : 신의 진액이 부족하여 허화가 생긴 증이다. 본증은 구병, 실혈, 방로과도, 정지내상, 열병으로 음액이 손상되어 신수가 부족해진 것이다. 신음이 소모되어 부족하면 수해가 충만하지 못하여 두훈목현, 이명이농 등이 나타나고 골이 영양을 잃으므로 요슬산경하며, 신음이 휴허하면 내열이 생겨나므로 오심번열, 조열도한, 구건인조, 뇨황변건 등이 있고, 음허화황으로 심신이 요란되어 건망소면한다. 한편, 음허로 상화가 망동하게 되면 유정, 조설 등이 나타나고 정혈이 부족해져 남자는 정소불육하고 여자는 경폐불잉하게 된다. 설홍소태, 맥세수는 음허화황의 상이 된다.

② 신양허증(腎陽虛證) : 원양이 부족하여 기화작용을 상실함으로써 온후가 안되고 수습이 증가되는 증이다. 본증은 품부부족, 구병기허, 방로부절, 연고체쇠, 노역과도가 원인이 되어 생긴다. 신양이 허쇠하여 형체를 온양할 수 없으므로 외한지랭, 요슬산연하고 신양이 비위를 온양할 수 없고 온후를 잃으면 밤에 음한이 더욱 심하므로 오경설사가 나타나고 소변청장한다. 정수부족으로 정신력이 약하고 흐릿해지며 심하면 현훈하게 되고 신은 이에 개규하므로 신기가 쇠하면 이명이 나타난다. 생식기능도 감퇴하므로 남자의 경우 양위불거하거나 또는 성욕감퇴가 있고 여자의 경우 불임, 백대청희가 나타난다. 또한, 정곤이 불고하므로 정랭조설하기도 한다.

③ 신기불고증형 신허증(腎氣不固證型 腎虛證) : 신기불쇠하여 봉장고섭이 기능을 잃은 증이다. 본증은 구병이나 골리지제를 과용하였을 때, 소아의 경우는 선천신기가 충만하지 못하거나 연로한 경우에 많이 나타난다. 신과 방광은 서로 표리가 되어 신허하면 방광이 저장과 배설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소변이 빈수하고 유뇨나 실금이 있기도 하며, 고섭기능이 결여되어 소변을 본 후 여력부진한다. 또한, 신은 정을 저장하는 기능이 있는데 신허하여 정의 저장과 배설을 조절하지 못하면 남자는 골정조설한다. 여자는 대맥의 작용이 약화되어 백대하가 청희하게 나오며, 임신부의 경우 쉽게 태동역골한다. 이외에 요슬산연, 청력감퇴, 신피무력, 면색황백, 설담태백 등의 신허증상이 나타나고 맥도 세약하다.

④ 신불납기증형 신허증(腎不納氣證型 腎虛證) : 신허로 기가 귀원되지 못하여 납기기능이 상실된 증이다. 본증은 노권으로 신기를 손상하였거나 오래도록 해천을 앓아서 신이 허약해진 경우로 기가 기원하지 못하므로 기단천식, 호다흡소, 동칙천심이 있다. 더불어, 신허로 요슬이 영양을 잃으므로 요슬산연하고, 양기허에 편중되면 면색황백이허부, 자한출, 외한지랭 등이 나타나고, 심하면 면순청자, 설담태백, 맥세약 또는 맥허부무근이 나타난다.

⑤ 신허수범증형 신허증(腎虛水泛證型 腎虛證) : (포함 : 수습범람증, 양허수범증) 신양이 쇠약해져 기화작용이 되지 않아 수음이 저류된 증이다. 본증은 구병이나 방로과도, 반복적인 한랭자극으로 신양이 부족해서 발생한다. 수액이 정체하여 기부로 넘치므로 전신에 수종이 있고 누르면 자국이 난다. 수습의 성질은 하류하므로 하초가 허랭하면서 수종이 요이하에서 심하다. 신은 수장이 되어 신양허쇠로 수액을 온화할 수 없으면 방광의 기화도 실조되므로 뇨소하며, 복부에 수습이 정체되어 복창만이 생긴다. 또한, 양허로 온후작용이 부족하여 형한지랭하고 요실산통이 있으면서 냉감이 있다. 설맥도 설염반, 태백골, 맥침현하여 양허와 수음정취의 상이 나타난다.

⑥ 신음허양항증형 신허증(腎陰虛陽亢證型 腎虛證)

⑦ 비신양허증형 신허증(脾腎陽虛證型 腎虛證)

⑧ 간신음허증형 신허증(肝腎陰虛證型 腎虛證)

⑨ 폐신음허증형 신허증(肺腎陰虛證型 腎虛證)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01 [사] 신생아홍반(新生兒紅斑) profile 웅이아빠 5220
200 [사] 신양울축증(腎陽鬱縮證) profile 웅이아빠 3517
199 [사] 신전(?塡) profile 웅이아빠 2934
198 [사] 신함(?陷) profile 웅이아빠 3241
[사] 신허증(腎虛證) profile 웅이아빠 6667
196 [사] 심실증(心實證) profile 웅이아빠 4064
195 [사] 심통(心痛) profile 웅이아빠 2914
194 [사] 심풍증(心風症) profile 웅이아빠 3256
193 [사] 심하비경(心下?硬) profile 웅이아빠 3805
192 [사] 심하역만(心下逆滿) profile 웅이아빠 2842
191 [사] 심허증(心虛證) profile 웅이아빠 4567
190 [아] 아반(兒斑) profile 웅이아빠 4947
189 [아] 아침통, 산후복통(兒枕痛, 産後腹痛) profile 웅이아빠 7443
188 [아] 안검질환(眼瞼疾患) profile 웅이아빠 3053
187 [아] 안맹질환(眼盲疾患) profile 웅이아빠 3169
186 [아] 안포질환(眼胞疾患) profile 웅이아빠 3145
185 [아] 안혼안화질환(眼昏眼花疾患) profile 웅이아빠 3408
184 [아] 애기(?氣) profile 웅이아빠 3766
183 [아] 애역(?逆) profile 웅이아빠 3617
182 [아] 야제(夜啼) profile 웅이아빠 3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