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寒)

신기가 부족하면 땀을 내지 말아야 한다[腎氣不足難得汗]

한닥터 2011.09.16 조회 수 735 추천 수 0
? 腎氣不足難得汗 ○ 太陽病脈浮緊身疼痛宜以汗解之假令尺脈遲者不可發汗何以知之以榮血不足血少故也小建中湯(方見虛勞)加黃?服之尺脈有力乃服汗藥[脈經] ○ 一人患傷寒發汗多驚悸目眩身戰孫曰太陽經病得汗早因太陽經欲解復作汗腎氣不足故汗不來所以心悸目眩身戰遂作眞武湯三服微汗而解盖附子白朮和其腎氣腎氣得行故汗得來也若但責太陽惟能乾?血液爾仲景云尺脈遲者榮血不足不可以汗以此知腎氣怯則難得汗也[孫兆]

☞ 신기가 부족하면 땀을 내지 말아야 한다[腎氣不足難得汗]

 ○ 태양병에 맥이 부긴하고 몸이 아프면 반드시 땀을 내어 풀리게 해야 한다. 가령 척맥이 지하면 땀을 내지 못하는 것은 영혈(榮血)이 부족하여 피가 적어지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때는 소건중탕(小建中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에 황기을 더 넣어 먹는다. 척맥에 힘이 있으면 땀낼 약을 먹는다[맥경]. ○ 어떤 사람이 상한병에 땀을 지나치게 내서 놀란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고 눈 앞이 아찔하며 몸이 떨리었다. 손조(孫兆)는 "태양경병에는 땀을 일찍이 내서 태양경병이 나으려는데 다시 땀을 내면 신기(腎氣)가 부족하여지기 때문에 땀이 나지 않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눈 앞이 아찔하며 몸이 떨리는 것이다"고 하였다. 이때 진무탕 3첩을 먹으니 약간 땀이 나고 병이 나았다. 그것은 부자와 백출가 신기를 조화시키고 또 신기를 잘 돌아가게 하기 때문에 땀을 내는 것이다. 만일 태양병만 치료하면 오직 피만 말릴 뿐이다. 중경은 "척맥(尺脈)이 지(遲)한 것은 영혈이 부족한 것이므로 땀을 내지 못한다"고 하였다. 이것으로써 신기가 약하면 땀을 내기가 곤란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손조]. 
관련된 글
  1. 명의방론 계지가작약탕, 계지가작약대황탕, 소건중탕 – 한방 소화관 진경제② by 한닥터
  2. 명의방론 계지가작약탕, 계지가작약대황탕, 소건중탕 – 한방 소화관 진경제① by 한닥터
  3. 임상 경험방 소변실금 by 한닥터
  4. 방약합편 진무탕, 현무탕 眞武湯 by 한닥터
  5. 방약합편 소건중탕 小建中湯 by 한닥터
  6. 기본방 모음 271. 眞武湯(진무탕) by 한닥터
  7. 기본방 모음 167. 小健中湯(소건중탕) by 한닥터
  8. 기본방 모음 45 소건중탕(小建中湯) by 한닥터
  9. 기본방 모음 7 진무탕(眞武湯)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허로증을 두루 치료하는 약[虛勞通治藥]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상한병에 힘살이 푸들거리는 것[傷寒筋?肉?]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소음병에 꺼릴 것[少陰病禁忌]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소음병 때 저절로 설사하는 것[少陰病自利] by
  14. 동의보감 태음병 때 배가 아픈 것[太陰病腹痛] by
  15. 동의보감 표증, 이증, 허증, 실증에 쓰는 약[表裏虛實藥]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저절로 나는 땀[自汗]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구혈(嘔血)과 토혈(吐血) by 한닥터
  18. 방약합편 271. 眞武湯(진무탕) by 한닥터
  19. 방약합편 167. 小健中湯(소건중탕)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처방집 소건중탕(小建中湯)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처방집 진무탕(眞武湯)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처방집 소건중탕(小建中湯) by 한닥터
  23. 고방 처방집 진무탕 眞武湯方 by 한닥터
  24. 고방 처방집 소건중탕 小建中湯方 by 한닥터
  25. 방약합편 45 소건중탕(小建中湯) by 한닥터
  26. 방약합편 7 진무탕(眞武湯)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한(寒)] 궐음병 때 답답하고 그득하며 음낭이 졸아드는 것[厥陰病煩滿囊縮] 944
[한(寒)] 남아 있는 열이 내리지 않는 것[餘熱不退] 944
[한(寒)] 상한 때의 발광증[傷寒發狂] 933
[한(寒)] 소음병 때 저절로 설사하는 것[少陰病自利] 914
[한(寒)] 양극사음(陽極似陰) 901
[한(寒)] 태양상한(太陽傷寒) 871
[한(寒)] 음극사양(陰極似陽) 862
[한(寒)] 상한 때의 비기[傷寒?氣] 861
[한(寒)] 상한병이 나은 뒤의 잡증[傷寒差後雜證] 861
[한(寒)] 상한 때의 혈증[傷寒血證] 854
[한(寒)] 상한 때의 흉통(胸痛)과 복통(腹痛)[傷寒胸腹痛] 854
[한(寒)] 열이 혈실에 들어간 증[熱入血室證] 854
[한(寒)] 괴증(壞證) 826
[한(寒)] 태양경이 풍과 한에 동시에 상한 것[太陽兩傷風寒] 819
[한(寒)] 상한음궐(傷寒陰厥) 816
[한(寒)] 양명증의 3가지 증상[陽明三證] 808
[한(寒)] 양감상한은 죽을 병이다[兩感傷寒爲死證] 807
[한(寒)] 소음병 때에 복기(伏氣)로 목구멍이 아픈 것[少陰病伏氣咽痛] 781
[한(寒)] 상한부(傷寒賦) 776
[한(寒)] 상한결흉(傷寒結胸) 771
[한(寒)] 상한병에 맥이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은 땀이 나려는 것이다[傷寒無脈爲欲汗] 766
[한(寒)] 상한 때의 번갈[傷寒煩渴] 752
[한(寒)] 태양상풍(太陽傷風) 749
[한(寒)] 신기가 부족하면 땀을 내지 말아야 한다[腎氣不足難得汗] 735
[한(寒)] 소양병 때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少陽證往來寒熱] 724
[한(寒)] 상한은 중한 병이다[傷寒號爲大病] 722
[한(寒)] 소양병 때의 괴증[少陽病壞證] 721
[한(寒)] 태음병 때 배가 아픈 것[太陰病腹痛] 721
[한(寒)] 소음병 때에 맥이 끊어지는 것[少陰病脈絶] 718
[한(寒)] 호혹증(狐惑證) 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