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癰疽)

어제정(魚臍?)

한닥터 2011.10.04 조회 수 357 추천 수 0
◎ 魚臍? ○ 又有一種瘡頭黑深形如魚臍破之?出黃水四畔浮漿謂之魚臍?其毒尤甚絲瓜葉連鬚?白?葉各等分硏搗如泥取汁以酒和服其滓貼腋下如病在左手貼左腋下在右手貼右腋下在左脚貼左?在右脚貼右?左身中貼心臍幷以帛縛住候肉下紅絲皆白則安矣或蛇退燒灰鷄子淸調付內服神仙解毒丸[丹心]

☞ 어제정(魚臍?)

 ○ 헌데의 한 가지이다. 헌데 끝이 검고 뿌리가 깊어서 마치 물고기 배꼽 같은데 터지면 누런 물이 나오고 언저리가 들뜨기 때문에 어제정이라고 한다. 이런 것은 독이 아주 심하다. 이런 데는 수세미잎(사과엽), 뿌리가 달린 파밑(총백), 부추잎(구엽)을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풀지게 짓찧은 다음 즙을 내어 술에 타서 먹는다. 다음 그 찌꺼기를 겨드랑이에 붙이는데 만약 왼쪽 손에 생겼으면 왼쪽 겨드랑이에 붙이고 오른쪽 손에 생겼으면 오른쪽 겨드랑이에 붙인다. 왼쪽 다리에 생겼으면 왼쪽 자개미[?]에 붙이며 오른쪽 다리에 생겼으면 오른쪽 자개미에 붙이고 몸 가운데 생겼으면 배꼽 중심에 붙인다. 그 다음 천으로 동여매 두는데 살 밑에 생겼던 벌건 줄이 다 허옇게 되면 낫는다. 혹은 뱀허물을 태워 가루내서 달걀 흰자위에 개어 붙이고 신선해독환을 먹는다[단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옹저(癰疽)] 완저, 석저, 적풍의 감별[緩疽石疽賊風辨] 508
[옹저(癰疽)] 부골저(附骨疽) 2115
[옹저(癰疽)] 낭옹(囊癰) 367
[옹저(癰疽)] 변옹(便癰) 773
[옹저(癰疽)] 현옹(懸癰) 956
[옹저(癰疽)] 둔옹(臀癰) 676
[옹저(癰疽)] 비옹(臂癰) 431
[옹저(癰疽)] 장옹을 치료한 경험[腸癰治驗] 397
[옹저(癰疽)] 장옹과 복옹[腸癰腹癰] 1658
[옹저(癰疽)] 위완옹(胃脘癰) 635
[옹저(癰疽)] 신옹(腎癰) 904
[옹저(癰疽)] 간옹(肝癰) 916
[옹저(癰疽)] 심옹(心癰) 852
[옹저(癰疽)] 폐옹(肺癰) 1263
[옹저(癰疽)] 속에 생겼는가 겉에 생겼는가 하는 것으로 옹과 저를 가른다[內外分癰疽] 835
[옹저(癰疽)] 참대대롱으로 독기를 빨아내는 방법[竹筒吸毒方] 522
[옹저(癰疽)] 옹저에 약을 뿌리고 붙이는 방법[癰疽?貼法] 1048
[옹저(癰疽)] 옹저 때 달임약물로 씻는 방법[癰疽湯洗法] 656
[옹저(癰疽)] 옹저 때 궂은 살을 없애는 방법[癰疽去惡肉方] 689
[옹저(癰疽)] 옹저 때 헌데 구멍이 깊고 큰 데 쓰는 약[癰疽瘡口深大方] 659
[옹저(癰疽)] 옹저 때 고름을 빼내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는 방법[癰疽排膿生肌法] 1115
[옹저(癰疽)] 옹저에 구멍을 내어 고름을 빼내는 방법[癰疽作穴出膿法] 1112
[옹저(癰疽)]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1447
[옹저(癰疽)] 음저를 겉으로 나오게 하는 방법[陰疽起發法] 845
[옹저(癰疽)] 옹저 때 내탁하는 방법[癰疽內托法] 1153
[옹저(癰疽)]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1285
[옹저(癰疽)] 옹저 때 좋거나 나쁜 증상[癰疽善惡證] 535
[옹저(癰疽)] 옹저 때 죽을 수 있는 증상[癰疽死證] 490
[옹저(癰疽)] 옹저 주위에 무리가 생기는 것[癰疽發暈] 449
[옹저(癰疽)] 옹저 때는 고름이 있는가 없는가 얕은 곳에 있는가 깊은 곳에 있는가를 구분해야 한다[癰疽辨膿有無及淺深] 4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