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저(癰疽)

정창의 근을 빼내는 방법[拔?法]

한닥터 2011.10.04 조회 수 577 추천 수 0
◎ 拔?法 ○ ?瘡有毒根在內須拔去乃可救黑?牛牽於石上必撤糞候糞上生菌取焙乾與??草葉等分爲末用竹筒兩頭去節套在?上陷入肉內以線緊縛取藥末一匙滴水和之放於筒內少時藥滾起則?自拔起未效則漸加度數其?必拔拔去後以金銀白芷散調之[正傳] ○ 宜用廻瘡錠子或保生錠子四聖旋?散拔去?根調治[精義] ○ 蒼耳莖葉燒灰醋調塗?上乾則易不過十度卽根出和雄黃尤妙[本草] ○ 蟬?白?蠶爲末醋調留瘡口塗四圍??根出拔去[綱目] ○ ??安濃米?小盞中以火逼之?熱喫?及困死取腦中白肉新瓦上焙爲末熱酒調二錢服仍以少許塗?上根自出[資生] ○ 一云??於心腹下度取之其肉稍白貼?上根出卽愈[本草] ○ 斑猫一枚捻破以鍼刺?上封之根卽出 ○ 取黑?十枚置?上以荻箔繩作炷灸?上卽根出 ○ 白狗屎燒存性和酒服又塗?上根自出 ○ 苦?取莖中白汁塗?上出根 ○ 馬齒?和梳垢爛搗封?上根出[本草]

☞ 정창의 근을 빼내는 방법[拔?法]

 ○ 정창 속에는 독이 있는 근(根)이 있으므로 반드시 그것을 빼내야 살 수 있다. 검정암소를 바위 있는 데로 끌고 가면 반드시 똥을 누는데 그 위에 돋은 버섯을 따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이것을 진득찰잎(희렴초엽)과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낸다. 그 다음 참대통을 양쪽마디를 잘라서 구멍이 통하게 하여 헌데 위에 씌우되 살이 푹 들어가도록 씌우고 실로 동여맨다. 그 다음 그 참대대롱 속으로 약가루 1숟가락을 물에 개어 넣는다. 그러면 좀 있다가 약이 끓어오르면서 정창의 근이 저절로 빠진다.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면 약을 좀 더 넣으면서 몇 번 더 해야 한다. 그러면 반드시 정창의 근이 빠진다. 근이 빠진 다음에는 금은백지산을 써서 조리해야 한다[정전]. ○ 회창정자나 보생정자, 사성선정산으로 정창의 근을 빼고 조리하는 치료를 해야 한다[정의]. ○ 도꼬마리의 줄기와 잎[蒼耳莖葉]을 태워 가루내서 식초에 개어 정창에 바르는데 마르면 다시 바르기를 10번 하지 않아 곧 정창의 근이 빠진다. 석웅황을 섞어 쓰면 더 좋다[본초]. ○ 선퇴(선태)과 백강잠을 가루내어 식초에 개서 헌데 구멍둘레에 발라도 정창의 근이 빠진다[강목]. ○ 말똥구리(강랑)를 걸쭉한 쌀 씻은 물과 함께 작은 잔에 담아서 불 위에 놓으면 말똥구리가 뜨거워하면서 쌀 씻은 물을 먹다가 지쳐서 죽는다. 그 다음 그 말똥구리 머리 속의 허연 살을 발라내서 새 기왓장 위에 놓고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이것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더운 술에 타 먹고 이어 조금씩 헌데에 바르면 근이 저절로 빠져 나온다[자생]. ○ 어떤 데는 말똥구리의 뱃속에 있는 약간 허연 살을 발라서 헌데에 붙이면 근이 빠지고 곧 낫는다고 씌어 있다[본초]. ○ 반묘 1마리를 비벼서 부스러뜨려 쓰는데 침으로 정창을 짼 다음 거기에 붙이면 근이 곧 빠진다. ○ 씀바귀(고거)의 줄기 속에 있는 허연 즙을 내서 정창에 붙이면 근이 빠진다. ○ 쇠비름(마치현)을 짓찧어 정창에 붙이면 근이 빠진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옹저(癰疽)] 옹저의 원인[癰疽發病之原] 736
[옹저(癰疽)] 옹저의 전구증상[癰疽欲發之候] 490
[옹저(癰疽)] 옹저의 이름과 생김새[癰疽名狀] 531
[옹저(癰疽)] 옹저 때 부으면서 아프고 가려운 원인[癰疽腫痛痒之因] 533
[옹저(癰疽)] 옹저가 경하고 중한 것과 얕고 깊은 것을 구분하는 것[癰疽輕重淺深之辨] 463
[옹저(癰疽)] 옹저가 생기면 죽을 수 있는 부위가 따로 있다[定癰疽死之部分] 519
[옹저(癰疽)] 옹저 때에는 속에 생긴 것과 겉에 생긴 것을 구분해야 한다[癰疽當分內外] 543
[옹저(癰疽)] 옹저 때는 반드시 어느 경락과 관련된 것인가를 가려 보아야 한다[癰疽當分經絡] 524
[옹저(癰疽)] 옹저 때의 맥[癰疽脈] 471
[옹저(癰疽)] 옹저 때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하지 못할 증상[癰疽難治不治證] 499
[옹저(癰疽)] 옹저 때는 고름이 있는가 없는가 얕은 곳에 있는가 깊은 곳에 있는가를 구분해야 한다[癰疽辨膿有無及淺深] 474
[옹저(癰疽)] 옹저 주위에 무리가 생기는 것[癰疽發暈] 449
[옹저(癰疽)] 옹저 때 죽을 수 있는 증상[癰疽死證] 490
[옹저(癰疽)] 옹저 때 좋거나 나쁜 증상[癰疽善惡證] 535
[옹저(癰疽)]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1285
[옹저(癰疽)] 옹저 때 내탁하는 방법[癰疽內托法] 1153
[옹저(癰疽)] 음저를 겉으로 나오게 하는 방법[陰疽起發法] 845
[옹저(癰疽)]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1447
[옹저(癰疽)] 옹저에 구멍을 내어 고름을 빼내는 방법[癰疽作穴出膿法] 1112
[옹저(癰疽)] 옹저 때 고름을 빼내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는 방법[癰疽排膿生肌法] 1115
[옹저(癰疽)] 옹저 때 헌데 구멍이 깊고 큰 데 쓰는 약[癰疽瘡口深大方] 659
[옹저(癰疽)] 옹저 때 궂은 살을 없애는 방법[癰疽去惡肉方] 689
[옹저(癰疽)] 옹저 때 달임약물로 씻는 방법[癰疽湯洗法] 656
[옹저(癰疽)] 옹저에 약을 뿌리고 붙이는 방법[癰疽?貼法] 1048
[옹저(癰疽)] 참대대롱으로 독기를 빨아내는 방법[竹筒吸毒方] 522
[옹저(癰疽)] 속에 생겼는가 겉에 생겼는가 하는 것으로 옹과 저를 가른다[內外分癰疽] 835
[옹저(癰疽)] 폐옹(肺癰) 1263
[옹저(癰疽)] 심옹(心癰) 852
[옹저(癰疽)] 간옹(肝癰) 916
[옹저(癰疽)] 신옹(腎癰) 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