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포로감(哺露疳)

한닥터 2011.10.17 조회 수 476 추천 수 0
? 哺露疳 ○ 虛熱往來頭骨分解反食吐?煩渴嘔?骨瘦稜層露形盖丁奚哺露皆因脾胃久虛形體瘦削亦由胎稟所成盡皆無辜種類?難治大體相似宜用十全丹布袋丸[入門]

☞ 포로감(哺露疳)

○ 허열(虛熱)이 있었다 없었다 하고 머리뼈가 아물지 않고 먹은 것을 도로 토하고 벌레를 토하며 번갈이 나고 구역질과 딸꾹질을 하며 여위어 뼈가 드러난다. 대개 정해감이나 포로감은 모두 비위(脾胃)가 오랫동안 허해서 몸이 여위어 가는 것이다. 또는 선천적으로 체질이 허약하여 되는 것도 있다. 이것은 다 무고감 종류인데 치료하기 어려우며 대체로 비슷하다. 이때는 십전단(十全丹), 포대환(布袋丸)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배가 아프고 불러 오르는 것[腹痛腹脹] by 한닥터
  2. 동의보감 감창(疳瘡)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정해감(丁奚疳) by
  4. 동의보감 무고감(無辜疳)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처방집 포대환(布袋丸)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처방집 십전단(十全丹)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조열(潮熱) 508
[소아(小兒)] 어린이의 맥을 보는 법[診小兒脈法] 506
[소아(小兒)] 학열(?熱) 505
[소아(小兒)] 뇌감(腦疳) 502
[소아(小兒)] 마마를 예방하는 법[痘瘡預防法] 490
[소아(小兒)] 단방(單方) 490
[소아(小兒)] 홍사류(紅絲瘤) 489
[소아(小兒)] 마마를 진찰하는 법[辨痘證] 489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긴 이질[痘後痢疾] 489
[소아(小兒)] 5장감(五臟疳) 486
[소아(小兒)] 어린이에게 젖을 먹이는 법[小兒乳哺法] 485
[소아(小兒)] 반란(斑爛) 485
[소아(小兒)] 유모를 고르는 법[擇乳母法] 484
[소아(小兒)] 감갈(疳渴) 479
[소아(小兒)] 어린이를 보호하는 법[小兒保護法] 478
[소아(小兒)] 감리(疳痢) 478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옹과 절[痘後癰癤] 477
[소아(小兒)] 포로감(哺露疳) 476
[소아(小兒)] 추워서 떠는 것[寒戰] 476
[소아(小兒)] 정해감(丁奚疳) 475
[소아(小兒)] 신전과 신함[?塡?陷] 473
[소아(小兒)] 5장 6부가 생기는 것[臟腑生成] 471
[소아(小兒)] 어린이를 기르는 10가지 방법[養子十法] 470
[소아(小兒)] 이마는 심화(心火)에 속하면서 470
[소아(小兒)] 감안(疳眼) 470
[소아(小兒)] 조리하고 보호하는 데 대한 노래[調護歌] 469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에 물이 실리는 것[起脹三朝] 469
[소아(小兒)] 흠집을 없애는 법[滅瘢] 466
[소아(小兒)] 고름이 잡힐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貫膿時吉凶證] 464
[소아(小兒)] 갓난아이를 목욕시키는 방법[初生洗浴法] 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