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간열(肝熱)

한닥터 2011.10.17 조회 수 818 추천 수 0

? 肝熱 肝熱者手尋衣領亂捻物左?赤瀉靑丸(方見五藏)主之[入門]


간열(肝熱)


간열이 있으면 손으로 옷섶을 만지작거리며 물건을 주무르고 왼쪽 뺨이 붉다. 이때는 사청환(瀉靑丸, 처방은 5장문에 있다)을 주로 쓴다[입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경휵(驚?)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신전과 신함[?塡?陷] by 한닥터
  3. 동의보감 급경풍(急驚風) by 한닥터
  4. 동의보감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이는 증에는 5가지가 있다[驚?之證有五] by 한닥터
  5. 동의보감 간은 풍을 주관한다[肝主風] by
  6. 동의보감 간열(肝熱) by 한닥터
  7. 동의보감 눈이 아픈 것[眼疼] by 한닥터
  8. 동의보감 간장적열(肝臟積熱) by 한닥터
  9. 동의보감 간병을 치료하는 법[肝病治法]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사청환(瀉靑丸)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사청환(瀉靑丸) by 한닥터
  12. 방약합편 사청환 - 瀉靑丸 by 한닥터
  13. 방약합편 106 사청환(瀉淸丸)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어린이병은 치료하기 어렵다[小兒病難治] 589
[소아(小兒)] 5장 6부가 생기는 것[臟腑生成] 471
[소아(小兒)] 갓난아이의 태독을 풀어 주는 법[初生解毒法] 461
[소아(小兒)] 갓난아이를 목욕시키는 방법[初生洗浴法] 463
[소아(小兒)] 갓난아이의 탯줄을 끊는 방법[初生斷臍法] 546
[소아(小兒)] 유모를 고르는 법[擇乳母法] 484
[소아(小兒)] 어린이에게 젖을 먹이는 법[小兒乳哺法] 485
[소아(小兒)] 어린이를 보호하는 법[小兒保護法] 478
[소아(小兒)] 어린이를 기르는 10가지 방법[養子十法] 470
[소아(小兒)] 조리하고 보호하는 데 대한 노래[調護歌] 469
[소아(小兒)] 변증의 증후[變蒸候] 650
[소아(小兒)] 어린이의 계병과 기병[小兒繼病?病] 531
[소아(小兒)] 어린이를 보고 명이 길고 짧은 것을 아는 법[相兒命長短法] 514
[소아(小兒)] 호구 3관의 맥을 보는 법[虎口三關脈法] 548
[소아(小兒)] 어린이의 맥을 보는 법[診小兒脈法] 506
[소아(小兒)] 이마는 심화(心火)에 속하면서 470
[소아(小兒)] 얼굴에 나타나는 빛을 보고 병증을 아는 데 대한 노래[面上形證歌] 444
[소아(小兒)] 5체에서는 머리가 제일이고 얼굴에는 오직 생기가 있어야 한다[五體以頭爲尊一面惟神可恃] 459
[소아(小兒)] 목소리에는 가는 것과 탁한 것이 있고 울 때에도 눈물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聲有輕重啼有乾濕] 461
[소아(小兒)] 갓난아이의 구급법[小兒初生救急] 419
[소아(小兒)] 금구증, 촬구증, 제풍증[?口撮口臍風證] 848
[소아(小兒)] 배꼽이 붓거나 허는 것을 치료하는 법[臍腫臍瘡治法] 720
[소아(小兒)] 객오와 중악[客?中惡] 776
[소아(小兒)] 밤에 우는 증[夜啼] 825
[소아(小兒)] 5장이 주관하는 허증과 실증[五臟所主虛實證] 440
[소아(小兒)] 심은 놀라는 것을 주관한다[心主驚] 702
[소아(小兒)] 간은 풍을 주관한다[肝主風] 1101
[소아(小兒)] 비는 곤한 것을 주관한다[脾主困] 696
[소아(小兒)] 폐는 숨찬 것을 주관한다[肺主喘] 944
[소아(小兒)] 신은 허한 것을 주관한다[腎主虛]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