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小兒)

담열(痰熱)

한닥터 2011.10.17 조회 수 723 추천 수 0
? 痰熱 ○ 痰熱者面赤身熱喘咳胸膈不利咽喉有痰聲宜抱龍丸(方見上)[錢乙]

☞ 담열(痰熱)

○ 담열이 있으면 얼굴이 붉고 몸에서 열이 나며 숨이 차고 기침하며 가슴이 불편하고[不利] 목구멍에서 가래 끓는 소리가 난다. 이때는 포룡환(抱龍丸,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전을].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마마를 앓은 뒤의 잡병[痘後雜病] by 한닥터
  2. 동의보감 담천(痰喘) by 한닥터
  3. 동의보감 3일 동안 열이 나는 것[發熱三朝] by 한닥터
  4. 동의보감 담연으로 숨이 차 하고 기침하는 것[痰涎喘嗽] by
  5. 동의보감 천조경풍(天吊驚風) by 한닥터 *1
  6. 동의보감 밤에 우는 증[夜啼]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처방집 포룡환(抱龍丸) by 한닥터
  8. 방약합편 176 우황포룡환(牛黃抱龍丸 by 한닥터
  9. 방약합편 175 포룡환(抱龍丸)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痘後?膜] 601
[소아(小兒)] 적과 벽[積癖] 599
[소아(小兒)] 경풍을 치료한 경험[驚風治驗] 598
[소아(小兒)] 비열(脾熱) 596
[소아(小兒)] 구토(嘔吐) 595
[소아(小兒)]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辨痘形色善惡] 592
[소아(小兒)] 어린이병은 치료하기 어렵다[小兒病難治] 589
[소아(小兒)] 머리털이 나지 않고 이가 나오지 않는 것[髮不生齒不生] 580
[소아(小兒)] 눈을 보호하는 것[護眼] 578
[소아(小兒)] 5연과 5경[五軟五硬] 576
[소아(小兒)] 3일 동안 고름이 잡히는 것[貫膿三朝] 576
[소아(小兒)] 담연으로 숨이 차 하고 기침하는 것[痰涎喘嗽] 573
[소아(小兒)] 이를 가는 것[咬牙] 570
[소아(小兒)] 풍한열(風寒熱) 561
[소아(小兒)] 토하고 설사하는 증에 대한 이론[吐瀉論證] 560
[소아(小兒)] 피를 많이 흘리는 것[失血] 553
[소아(小兒)] 여러 가지 감병을 두루 치료하는 약[諸疳通治藥] 550
[소아(小兒)] 호구 3관의 맥을 보는 법[虎口三關脈法] 548
[소아(小兒)] 도엽(倒?) 548
[소아(小兒)] 설사(泄瀉) 547
[소아(小兒)] 갓난아이의 탯줄을 끊는 방법[初生斷臍法] 546
[소아(小兒)] 무고감(無辜疳) 544
[소아(小兒)] 어린이의 계병과 기병[小兒繼病?病] 531
[소아(小兒)]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 530
[소아(小兒)] 태경과 간풍[胎驚癎風] 524
[소아(小兒)] 목구멍이 아픈 것[咽喉痛] 523
[소아(小兒)] 임신부에게 생긴 마마를 덧붙임[附孕婦痘瘡] 523
[소아(小兒)] 어린이를 보고 명이 길고 짧은 것을 아는 법[相兒命長短法] 514
[소아(小兒)] 태열(胎熱) 514
[소아(小兒)] 마마를 쉽게 앓게 하는 처방[稀痘方] 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