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속단(續斷)

한닥터 2011.11.15 조회 수 390 추천 수 0
◈ 續斷 ○ 性微溫味苦辛無毒能通經?續筋骨調氣調血?婦人産後一切病 ○ 生山野三月後生苗?四稜似苧麻葉亦類兩兩相對而生四月開花紅白色根如大?赤黃色七月八月採根陰乾以節節斷皮黃皺者爲眞[本草] ○ 能止痛生肌續筋骨故名爲續斷婦人崩漏帶下尿血爲最節節斷有烟塵起者佳酒浸焙乾用與桑寄生同功[入門]

☞ 속단(續斷)

○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微溫] 맛이 쓰고[苦] 매우며[辛] 독이 없다. 경맥을 잘 통하게 하고 힘줄과 뼈를 이어주며 기를 도와주고 혈맥을 고르게 하며 해산 후의 일체 병(一切病)에 쓴다.
○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음력 3월 후에 싹이 돋아서 화살대 같은데 네모져 있다. 잎은 모시잎 같은데 2개씩 맞붙어서 난다. 음력 4월에 붉은 빛과 흰빛의 꽃이 피고 뿌리는 엉겅퀴 뿌리(大?)와 같은데 붉고 누른빛이다. 음력 7월, 8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서 말린다. 마디마디가 끊어지고 껍질이 누르고 주름진 것이 좋은 품종이다[본초].
○ 아픈 것을 잘 멎게 하고 살이 살아나오게 하며 힘줄과 뼈를 이어주므로 속단이라고 한다. 붕루, 대하, 피오줌을 누는 것들에 매우 좋다. 마디마디가 끊어지면서 연기 같은 먼지가 나는 것이 좋은 것이다. 술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려 쓴다. 뽕나무겨우살이(桑寄生)와 효력이 같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백급(白及 ) 17
[풀(草部)] 대극(大戟, 버들옻) 25
[풀(草部)] 택칠(澤漆) 84
[풀(草部)] 관중(貫衆) 13
[풀(草部)] 낭아(狼牙, 집신나물) 38
[풀(草部)] 양척촉(羊?? , 철쭉꽃) 23
[풀(草部)] 상륙(商陸, 자리공) 22
[풀(草部)] 청상자(靑箱子, 맨드라미씨) 계관화(鷄冠花, 맨드라미꽃) 117
[풀(草部)] 위령선(威靈仙, 으아리) 35
[풀(草部)] 견우자(牽牛子, 나팔꽃씨) 67
[풀(草部)] 비마자(?麻子, 아주까리) 30
[풀(草部)] 삭조(??) 접골목(接骨木) 88
[풀(草部)] 천남성(天南星) 23
[풀(草部)] 귀구(鬼臼) 27
[풀(草部)] 양제근(羊蹄根, 소리쟁이 뿌리) 양제실(羊蹄實, 소리쟁이씨) 양제엽(羊蹄葉, 소리쟁이잎) 92
[풀(草部)] 산막(酸摸) 15
[풀(草部)] 고근(菰根, 줄풀뿌리) 68
[풀(草部)] 변축(?蓄, 마디풀) 45
[풀(草部)] 낭독(狼毒, 오독도기) 56
[풀(草部)] 희렴(稀? , 진득찰) 52
[풀(草部)] 저근(苧根, 모시풀뿌리) 지저즙(漬苧汁, 모시담갔던 즙) 38
[풀(草部)] 마편초(馬鞭草) 20
[풀(草部)] 하수오(何首烏) 44
[풀(草部)] 백두옹(白頭翁, 할미꽃뿌리) 72
[풀(草部)] 파초근(芭蕉根, 파초뿌리) 57
[풀(草部)] 파초유(芭蕉油, 파초진) 58
[풀(草部)] 노근(蘆根, 갈뿌리) 39
[풀(草部)] 노화(蘆花, 갈대꽃) 44
[풀(草部)] 마두령(馬兜鈴, 쥐방울) 마두령근(馬兜鈴根, 마두령뿌리) 41
[풀(草部)] 유기노초(劉寄奴草)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