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소리(聲音)

신겁증[腎怯]은 목 쉰 것[失音]과 비슷하다[腎怯與失音相似]

한닥터 2011.07.16 조회 수 857 추천 수 0
◎ 腎怯與失音相似 ○ 病吐瀉及大病後雖有聲而不能言又能進藥此非失音乃腎怯不能上接於陽故也.當補腎地黃元(方見虛勞)主之失音乃感風寒卒病耳<錢仲陽>

☞ 신겁증[腎怯]은 목 쉰 것[失音]과 비슷하다[腎怯與失音相似]

  ○ 병으로 토하고 설사한 뒤와 중병을 앓은 뒤에 목소리는 낼 수 있으나 말이 되지 않는데 이때에 약을 먹을 수 있는 것은 목이 쉰 것이 아니고 신겁(腎怯)증이다. 이것은 신기(腎氣)가 위로 올라 가지만 양기(陽氣)와 잘 접촉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이런 데는 보신지황원(補腎地黃元,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주로 쓴다. 목이 쉰 것은 풍한에 접촉되어서 갑자기 생기는 것이다[전중양].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소갈에는 3가지가 있다[消渴有三]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처방집 보신지황원(補腎地黃元)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내장(內障) 1515
[풍(風)] 풍병을 치료하는 방법[風病治法] 1518
[입과 혀(口舌)] 혀가 부은 것[舌腫] 1520
[가슴(胸)] 담음으로 생긴 위완통[痰飮胃脘痛] 1522
[한(寒)] 상한 때의 섬어와 정성[傷寒?語鄭聲] 1522
[신형(身形)] 환단내련법[還丹內煉法] 1523
[오줌(小便)]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小便不利] 1523
[잡방(雜方)] 신이고(神異膏) 1524
[담음(痰飮)] 기담(氣痰) 1528
[배(腹)] 식적으로 배가 아픈 것[食積腹痛] 1528
[머리(頭)] 허훈(虛暈) 2 1536
[입과 혀(口舌)] 입맛이 짠 것[口鹹] 1536
[충(蟲)] 노채충(勞?蟲) 1538
[화(火)] 오열과 오한[惡熱惡寒] 1538
[손(手)] 어깻죽지와 팔의 병의 원인[肩臂病因] 1540
[기(氣)] 상기(上氣) 1544
[기침(咳嗽)] 담수(痰嗽) 1550
[후음(後陰)] 치질을 두루 치료하는 약[痔病通治] 1566
[머리(頭)] 기궐두통(氣厥頭痛) 1569
[소아(小兒)] 경풍 허실을 구분하고 증상을 역증과 순증으로 가르며 치료는 나중에 할 것과 먼저 할 것이 있다[驚風大抵熱論虛實證別逆順治有後先] 1571
[풍(風)] 풍비(風?) 1574
[포(胞)] 월경을 고르롭게 하는 치료법[調血治法] 1581
[신형(身形)] 노인의 보양(老人保養) 1582
[적취(積聚)] 비괴의 증상과 치료[?塊證治] 1582
[코(鼻)] 비연증[鼻淵] 1583
[구토(嘔吐)] 토하기를 치료하는 방법[嘔吐治法] 1584
[얼굴(面)] 얼굴에 생기는 잡병[面上雜病] 1585
[신형(身形)] 단전(丹田)에는 세 가지가 있다[丹田有三] 1588
[심장(心臟)] 심병을 치료하는 방법[心病治法] 1588
[한(寒)] 상한병의 치료법[傷寒治法] 1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