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소리(聲音)

신겁증[腎怯]은 목 쉰 것[失音]과 비슷하다[腎怯與失音相似]

한닥터 2011.07.16 조회 수 857 추천 수 0
◎ 腎怯與失音相似 ○ 病吐瀉及大病後雖有聲而不能言又能進藥此非失音乃腎怯不能上接於陽故也.當補腎地黃元(方見虛勞)主之失音乃感風寒卒病耳<錢仲陽>

☞ 신겁증[腎怯]은 목 쉰 것[失音]과 비슷하다[腎怯與失音相似]

  ○ 병으로 토하고 설사한 뒤와 중병을 앓은 뒤에 목소리는 낼 수 있으나 말이 되지 않는데 이때에 약을 먹을 수 있는 것은 목이 쉰 것이 아니고 신겁(腎怯)증이다. 이것은 신기(腎氣)가 위로 올라 가지만 양기(陽氣)와 잘 접촉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이런 데는 보신지황원(補腎地黃元,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주로 쓴다. 목이 쉰 것은 풍한에 접촉되어서 갑자기 생기는 것이다[전중양].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소갈에는 3가지가 있다[消渴有三]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처방집 보신지황원(補腎地黃元)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정(精)] 정을 보하는 약[補精藥餌] 2070
[목소리(聲音)] 신겁증[腎怯]은 목 쉰 것[失音]과 비슷하다[腎怯與失音相似] 857
[오줌(小便)] 오줌을 참지 못하는 것[小便不禁] 2465
[눈(眼)] 멀리 보지 못하는 것과 가까이 보지 못하는 것[不能遠視不能近視] 640
[눈(眼)] 책을 많이 읽어서 눈이 보이지 않는 것[讀書損目] 490
[허리(腰)] 신허로 허리가 아픈 것[腎虛腰痛] 1 1960
[허로(虛勞)]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1 2609
[허로(虛勞)] 허로증을 두루 치료하는 약[虛勞通治藥] 2480
[기침(咳嗽)] 밤에 나는 기침[夜嗽] 1455
[소갈(消渴)] 소갈에는 3가지가 있다[消渴有三] 2470
[소아(小兒)] 간은 풍을 주관한다[肝主風] 1101
[소아(小兒)] 신은 허한 것을 주관한다[腎主虛] 1200
[소아(小兒)]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이는 증에는 5가지가 있다[驚?之證有五] 782
[소아(小兒)] 경풍을 치료한 경험[驚風治驗] 598
[소아(小兒)] 신열(腎熱) 423
[소아(小兒)] 숫구멍이 아물지 않는 것[解?] 1054
[소아(小兒)] 말을 늦게 하고 걸음마가 늦는 것[語遲行遲] 872
[눈(眼)]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眼昏] 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