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소리(聲音)

신겁증[腎怯]은 목 쉰 것[失音]과 비슷하다[腎怯與失音相似]

한닥터 2011.07.16 조회 수 857 추천 수 0
◎ 腎怯與失音相似 ○ 病吐瀉及大病後雖有聲而不能言又能進藥此非失音乃腎怯不能上接於陽故也.當補腎地黃元(方見虛勞)主之失音乃感風寒卒病耳<錢仲陽>

☞ 신겁증[腎怯]은 목 쉰 것[失音]과 비슷하다[腎怯與失音相似]

  ○ 병으로 토하고 설사한 뒤와 중병을 앓은 뒤에 목소리는 낼 수 있으나 말이 되지 않는데 이때에 약을 먹을 수 있는 것은 목이 쉰 것이 아니고 신겁(腎怯)증이다. 이것은 신기(腎氣)가 위로 올라 가지만 양기(陽氣)와 잘 접촉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이런 데는 보신지황원(補腎地黃元,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주로 쓴다. 목이 쉰 것은 풍한에 접촉되어서 갑자기 생기는 것이다[전중양].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소갈에는 3가지가 있다[消渴有三]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처방집 보신지황원(補腎地黃元)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신형(身形)] 병들지 않게 하며 건강하고 오래 살게 하는 약[養性延年藥餌] 2106
[정(精)] 유정은 심에 속한다[遺泄精屬心] 1271
[정(精)] 정을 보하는 약[補精藥餌] 2070
[기(氣)] 소기(少氣) 1754
[기(氣)] 약 쓰는 법[用藥法] 1744
[신(神)] 전광(癲狂) 2150
[신(神)] 신병에 두루 쓰는 약[神病通治藥餌] 1960
[혈(血)] 7정은 혈을 동하게 한다[七情動血] 938
[혈(血)] 축혈증(蓄血證) 1400
[혈(血)] 코피[?血] 1427
[혈(血)] 구혈(嘔血)과 토혈(吐血) 2318
[혈(血)] 해혈(咳血), 수혈(嗽血), 타혈(唾血), 각혈(?血) 1 1770
[혈(血)] 피오줌[尿血] 1487
[혈(血)] 피똥[便血] 1916
[혈(血)] 잇몸에서 피가 나오는 것[齒?] 1392
[혈(血)] 혈한(血汗)/혈 973
[혈(血)] 피가 나오는 데 약을 쓰는 방법[治血藥法] 1178
[혈(血)] 혈병(血病)에 두루 쓰는 약[通治血病藥餌] 1417
[목소리(聲音)] 신겁증[腎怯]은 목 쉰 것[失音]과 비슷하다[腎怯與失音相似] 857
[언어(言語)] 말소리가 약한 것[言微] 900
[언어(言語)] 치료법[治法] 815
[진액(津液)] 저절로 나는 땀[自汗] 2290
[진액(津液)] 식은땀[盜汗] 1810
[진액(津液)] 어린이 식은땀[童子盜汗] 1155
[진액(津液)] 두루 쓰는 약[通治藥] 1165
[담음(痰飮)] 열담(熱痰) 2224
[담음(痰飮)] 식담(食痰) 1493
[비장(脾臟)] 비병을 치료하는 방법[脾病治法] 1903
[신장(腎臟)] 신병을 치료하는 방법[腎病治法] 2220
[포(胞)] 피가 엉켜서 가가 된 것[血結成?] 1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