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음(痰飮)

경담(驚痰)

한닥터 2011.07.18 조회 수 872 추천 수 0

驚痰 因驚痰結成塊在胸腹發則跳動痛不可忍或成癲癎婦入多有之宜妙應丹滾痰丸


경담(驚痰) 部 


놀란 것으로 담이 뭉쳐서 가슴이나 배에 덩어리가 생겼는데 발작하면 툭툭 뛰면서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이 경담이다. 혹 전간(癲癎)을 일으키기도 한다. 경담은 부인에게 많이 생긴다. 이런 데는 묘응단이나 곤담환을 쓰는 것이 좋다.


? 妙應丹治一身牽引隱痛不可忍走易不定或疑風毒或爲??或謂癰疽皆非也.乃痰涎伏在心膈變爲此疾但服此藥其疾如失(方見下) 一名控涎丹<河間>

묘응단(妙應丹) 온몸이 켕기고 은근히 참을 수 없이 아프며 병이 일정한 곳이 없이 왔다갔다 하기 때문에 풍독(風毒)같기도 하고 혹 반신불수가 되기도 하는 것을 보고 혹 옹저(癰疽)라고도 하는데 실지는 그것이 아니다. 이것은 담연(痰涎)이 가슴에 잠복해 있기 때문에 생긴 병이다. 그러므로 오직 이 약을 먹어야만 낫는다(처방은 아래에 있다). 일명 공연단(控涎丹)이라고도 한다[하간].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충적(蟲積) by 한닥터
  2. 동의보감 과채적(果菜積)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어해적(魚蟹積) by 한닥터
  4. 동의보감 비괴의 증상과 치료[?塊證治] by 한닥터
  5. 동의보감 담수(痰嗽) by 한닥터
  6. 동의보감 귀가 먹은 것[耳聾] by 한닥터
  7. 동의보감 담음에 두루 쓰는 약[痰飮通治藥] by 한닥터
  8. 동의보감 담(痰)에 대한 왕은군의 이론[王隱君痰論]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처방집 묘응단(妙應丹)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곤담환(滾痰丸)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공연단(控涎丹)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처방집 묘응단(妙應丹) by 한닥터
  13. 청강의감 滾痰丸(곤담환) by 한닥터
  14. 방약합편 75 곤담환(滾痰丸) by 한닥터
  15. 방약합편 72 공연단(控涎丹)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꿈(夢)] 몸이 무거우면 눕기를 좋아한다[身重嗜臥] 1362
[머리털(毛髮)] 수염과 머리털이 길어지거나 마르는 것[鬚髮榮枯] 1372
[신형(身形)] 사람의 마음은 천기와 부합된다[人心合天機] 1374
[혈(血)] 코피를 멈추는 방법[止?法] 1376
[후음(後陰)] 치질은 내치와 외치로 가른다[痔有內外] 1376
[풍(風)] 중풍의 열증[中風熱證] 1 1377
[기침(咳嗽)] 노수(勞嗽) 1377
[신형(身形)] 형체와 기는 오래 살고 일찍 죽는 것을 정한다[形氣定壽夭] 1378
[화(火)] 비열(脾熱) 1384
[대변(大便)] 변비[大便秘結] 1386
[신형(身形)] 4대(四大)로부터 형체가 생긴다는 것[四大成形] 1387
[정(精)] 정은 지극한 보배[精爲至寶] 1388
[내상(內傷)] 내상병 초기에 속이 열하나 나중에는 속이 차다[內傷病始爲熱中終爲寒中] 1389
[혈(血)] 잇몸에서 피가 나오는 것[齒?] 1392
[얼굴(面)] 얼굴에 생긴 대양증[面戴陽證] 1393
[한(寒)] 태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약 쓰는 방법[太陰形證用藥] 1393
[혈(血)] 피를 흘린 뒤의 어지럼증[失血眩暈] 1394
[신형(身形)] 단방(單方) 1395
[가슴(胸)] 어혈로 생긴 위완통[瘀血胃脘痛] 1396
[정(精)] 정은 신체의 근본[精爲身本] 1398
[혈(血)] 축혈증(蓄血證) 1400
[가슴(胸)] 적심통(積心痛) 1400
[기(氣)] 7기(七氣) 1404
[피부(皮)] 비사와 뾰두라지, 땀띠[?] 1406
[제창(諸瘡)] 천포창(天疱瘡) 1406
[신형(身形)] 도[道]를 배우는 데는 빠르고 늦은 것이 없다[學道無早晩] 1414
[신형(身形)] 마음에 잡념이 없어야 수양하는 이치에 맞는다[虛心合道] 1417
[혈(血)] 혈병(血病)에 두루 쓰는 약[通治血病藥餌] 1417
[피부(皮)] 검은 사마귀와 기미[黑??子] 1 1418
[귀(耳)] 귀가 아프다가 고름이 나오는 것[耳痛成膿耳] 1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