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줌(小便)

혈림(血淋)

한닥터 2011.07.26 조회 수 1306 추천 수 0
◎ 血淋 ○ 小便不出時下血疼痛滿急<本草> ○ 遇熱則發甚則尿血熱結莖痛宜四物湯加知母黃栢澤瀉赤茯苓<入門> ○ 色鮮者心與小腸虛熱導赤散(方見五藏)去甘草加黃芩色如黑豆汁者腎與膀胱火也.宜五淋散(方見下) ○ 血淋宜增味導赤散金黃湯小薊飮子 ○ 死血作淋牛膝膏最妙(方見下)
 
☞ 혈림(血淋)

  ○ 혈림이란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때로 피가 섞여 나오고 아프며 아랫배가 그득하며 켕기는 것이다[본초]. ○ 열(熱)이 있으면 임병이 생기는데 이것이 심해지면 피오줌[尿血]이 나오고 열이 몰리면 음경[莖]이 아프다. 이런 데는 사물탕에 지모, 황백, 택사, 적복령을 넣어서 써야 한다[입문]. ○ 오줌에 섞여 나오는 핏빛이 선명하면 심(心)과 소장에 허열(虛熱)이 있는 것이므로 도적산(導赤散, 처방은 5장문에 있다)에서 감초를 빼고 황금을 넣어 써야 한다. 오줌빛이 검정콩물(黑豆汁) 같은 것은 신(腎)과 방광에 화(火)가 있는 것이므로 5림산(五淋散, 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써야 한다. ○ 혈림(血淋)에는 증미도적산, 금황탕, 소계음자 등을 쓴다. ○ 궂은 피[死血]로 임병이 생긴 데는 우슬고(牛膝膏, 처방은 아래에 있다)가 제일 좋다. 
 
? 增味導赤散 治血淋澁痛 生乾地黃木通黃芩車前子梔子仁川芎赤芍藥甘草各一錢右剉作一貼薑三片竹葉十片空心水煎服<直指>
☞ 증미도적산(增味導赤散) ○ 혈림으로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생건지황, 목통, 황금, 차전자, 산치자, 천궁, 작약, 감초 각각 4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죽엽 10잎과 함께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직지]. 
 
? 金黃湯 治小便出血水道澁痛 鬱金瞿麥生乾地黃車前子滑石芒硝各五錢右爲麄末每取五錢空心水煎服<類聚>
☞ 금황탕(金黃湯) ○ 오줌에 피가 섞여 나오면서 오줌길[水道]이 저리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울금, 구맥,생건지황, 차전자, 활석, 망초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유취]. 
 
? 小薊飮子 治下焦結熱尿血淋痛 生地黃二錢小薊根滑石通草蒲黃炒藕節竹葉當歸山梔仁甘草灸各七分右剉作一貼空心水煎服<濟生>
☞ 소계음자(小薊飮子) ○ 하초에 열이 몰려서 피오줌[尿血]이 나오면서 아픈 임병을 치료한다. ○ 생지황 8g, 소계, 활석, 통초, 포황(볶은 것), 연뿌리마디(藕節), 죽엽, 당귀, 산치자, 감초(볶은 것) 각각 2.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제생].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처방집 도적산(導赤散) by 한닥터
  2. 방약합편 HK197 增味導赤散(증미도적산) by 한닥터
  3. 기본방 모음 84 오림산(五淋散) by 한닥터
  4. 방약합편 HK063 導赤散(도적산) by 한닥터
  5. 동의보감 경휵(驚?) by 한닥터
  6. 동의보감 마마를 치료하는 법[痘瘡治法]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심열(心熱) by 한닥터
  8. 동의보감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이는 증에는 5가지가 있다[驚?之證有五]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신은 허한 것을 주관한다[腎主虛]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심은 놀라는 것을 주관한다[心主驚]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밤에 우는 증[夜啼]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심열(心熱)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음경 속이 가렵거나 아픈 것[莖中痒痛]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여러 가지 임병[諸淋]을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열림(熱淋)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小便不利]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소장병을 치료하는 법[小腸病治法]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심병을 치료하는 방법[心病治法]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피오줌[尿血] by 한닥터
  20. 방약합편 208. 五淋散(오임산) by 한닥터
  21. 보험 정보 오림산 - 건강보험 적응증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처방집 오림산(五淋散)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처방집 소계음자(小?飮子)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처방집 금황탕(金黃湯)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처방집 증미도적산(增味導赤散)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처방집 도적산(導赤散)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처방집 소계음자(小?飮子) by 한닥터
  28. 회원임상례 오늘 가입하고 바로 임상례 남기려니... 기울환자의 견비통치료험례입니다 by 선장 *1
  29. 방약합편 85 증미도적산(增味導赤散) by 한닥터
  30. 방약합편 84 오림산(五淋散) by 한닥터
  31. 방약합편 78 도적산(導赤散)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담음(痰飮)] 단방(單方)/담음 734
[담음(痰飮)] 침뜸치료[鍼灸法]/담음 726
[오장육부(五臟六腑)] 의사는 반드시 5장 6부를 알아야 한다[醫當識五臟六腑] 867
[오장육부(五臟六腑)] 장부를 음과 양으로 가른다[臟腑陰陽] 759
[오장육부(五臟六腑)] 장과 부는 작용이 다르다[臟腑異用] 771
[오장육부(五臟六腑)] 장과 부는 짝이 있다[臟腑有合] 726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은 7규와 통한다[五臟通七竅] 690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에 속한 기관이 있다[五臟有官] 648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이 작고 큰 것이 있다[五臟有小大] 642
[오장육부(五臟六腑)] 장에는 또한 9가지가 있다[贓又有九] 616
[오장육부(五臟六腑)] 부(腑)에는 6가지가 있다[腑又有六] 1047
[오장육부(五臟六腑)] 창자의 길이와 음식물을 받아들일 수 있는 양[腸胃之長水穀之數] 806
[오장육부(五臟六腑)] 사기에 5장이 상한다는 것[五臟中邪] 652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의 정경에 절로 병이 생기는 것[五臟正經自病] 751
[오장육부(五臟六腑)] 장과 부의 병을 맥으로 가른다는 것[脈辨臟腑] 683
[오장육부(五臟六腑)] 장과 부의 병증은 다르다[臟腑異證] 682
[오장육부(五臟六腑)] 장의 병은 치료하기 어렵고 부의 병은 쉽다[臟腑病治有難易] 700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 6부의 상호관계[臟腑相關] 1615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병이 경해지거나 중해지는 것[五臟病間甚] 633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의 기가 죽는 시기[五臟死期] 648
[오장육부(五臟六腑)] 장부의 기운이 끊어진 증후[臟腑氣絶候] 691
[오장육부(五臟六腑)] 단방(單方)/5장6부 832
[간장(肝臟)] 간장의 형태[肝形象] 814
[간장(肝臟)] 간의 위치[肝部位] 1053
[간장(肝臟)] 간이 주관하는 날짜[肝主時日] 634
[간장(肝臟)] 간에 속한 것들[肝屬物類] 1183
[간장(肝臟)] 간이 크고 작은 것[肝臟大小] 736
[간장(肝臟)] 간병의 증상[肝病證] 1504
[간장(肝臟)] 간병의 허증과 실증[肝病虛實] 1190
[간장(肝臟)] 간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肝病間甚] 8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