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줌(小便)

냉림(冷淋)

한닥터 2011.07.26 조회 수 1023 추천 수 0
◎ 冷淋  ○ 必先寒慄小便澁數竅中腫痛<入門> ○ 亦有挾冷而淋者其證先寒戰而得?便盖冷氣與正氣交爭冷氣勝則寒戰成淋正氣勝則寒戰解而得便尿也.<直指> ○ 冷淋宜八味丸(方見虛勞)生附湯木香湯

☞ 냉림(冷淋)

  ○ 냉림이란 반드시 먼저 추워서 떨다가 오줌이 조금씩 자주 나오고 오줌길[竅中]이 부으며 아프다[입문]. ○ 또한 냉(冷)증을 겸해서 임병이 되는데 그 증상은 먼저 추워서 떨다가 오줌을 눈다. 대체로 냉기(冷氣)와 정기(正氣)가 싸우다가 냉기가 이기면 추워서 떨다가 임병이 생기고 정기가 이기면 추워서 떨리는 것이 없어지고 오줌을 제대로 누게 된다[직지]. ○ 냉림에는 팔미환(八味丸,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이나 생부탕, 목향탕을 쓴다. 

? 生附湯治冷淋小便澁痛增寒凜凜附子生滑石各七分木通半夏製瞿麥各一錢二分右?作一貼入生薑七片燈心二十莖蜜半匙空心水煎服<得效>
☞ 생부탕(生附湯) ○ 냉림으로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아프고 오한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 부자(생것), 활석 각각 2.8g, 목통, 반하(법제한 것), 구맥@) 각각 4.8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 등심초 20오리, 봉밀 반 숟가락과 함께 물에 달여서 빈속에 먹는다[득효]. 

? 木香湯治冷淋小便淋澁身體淸冷木通木香當歸白芍藥靑皮茴香檳?澤瀉陳皮甘草各七分肉桂三分右?作一貼入薑五片空心水煎服<直指>
☞ 목향탕(木香湯) ○ 냉림으로 오줌이 찔끔찔끔 나오고 몸이 찬 것을 치료한다. ○ 목통, 목향, 당귀, 백작약, 청피, 회향, 빈랑, 택사, 진피, 감초 각각 2.8g, 육계 1.2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달여서 빈속에 먹는다[직지].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 두부 불청감 전신 쇠약 등의 환자에게 지백지황환 후 호전 사례 by 봉지
  2. 임상 경험방 요통 by 한닥터
  3. 임상 경험방 안면홍조 by 한닥터
  4. 회원임상례 [등업용] 80대 할아버지 통풍 치험례 by 동명사 *2
  5. 동의보감 자림(子淋)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염창(?瘡)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치료하기 어려운 증[不治證]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천식이나 기침으로 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은 신이 허하기 때문이다[喘嗽上氣出於腎虛] by 한닥터
  9. 동의보감 허로증을 두루 치료하는 약[虛勞通治藥]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by 한닥터 *1
  11. 동의보감 습병의 치료법과 두루 쓰는 약[濕病治法及通治藥] by 한닥터
  12. 동의보감 음경과 음낭이 찬 것[陰冷]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이빨이 흔들리는 것[牙齒動搖]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눈곱이 나오는 것[眼生眵糞]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음경 속이 가렵거나 아픈 것[莖中痒痛]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신병을 치료하는 방법[腎病治法]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담음을 치료하는 방법[痰飮治法]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처방집 생부탕(生附湯) by 한닥터
  19. 회원임상례 발이 찬데 황련 이용. by cool... *1
  20. 회원임상례 (등업용)70세 남자 전립선비대(치료경과 좋지 못함) by 연이들이 *1
  21. 동의보감 처방집 목향탕(木香湯)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처방집 생부탕(生附湯)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처방집 팔미환(八味丸) by 한닥터
  24. 고방 처방집 팔미환 - 신기환 - 팔미신기환 八味丸方(崔氏)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피부(皮)] 전풍(?風), 역양풍(?瘍風), 백철(白?) 1126
[부인(婦人)] 골반이 벌어지지 않아서 생긴 난산[交骨不開難産] 1126
[오줌(小便)] 여러 가지 임병[諸淋]을 두루 치료하는 것[通治] 1124
[옆구리(脇)] 협통에도 허증과 실증이 있다[脇痛有虛實] 1124
[기침(咳嗽)] 담천(痰喘) 1123
[목구멍(咽喉)] 목구멍이 아픈 것[咽喉痛]/인후 1122
[혈(血)] 열에 혈이 상한다[熱能傷血] 1118
[부인(婦人)] 오조(惡阻) 1118
[대변(大便)] 설사증에는 5가지가 있다[泄證有五] 1117
[맥(脈)] 인영맥(人迎脈)과 기구맥(氣口脈) 1117
[기(氣)] 기가 부족하면 병이 생긴다[氣不足生病] 1116
[담음(痰飮)] 담음유주증[痰飮流注證] 1115
[한(寒)] 양명병에는 3가지가 있다[陽明病有三] 1115
[옹저(癰疽)] 옹저 때 고름을 빼내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는 방법[癰疽排膿生肌法] 1113
[담음(痰飮)] 현음(懸飮) 1112
[머리(頭)] 열궐두통(熱厥頭痛) 1112
[옹저(癰疽)] 옹저에 구멍을 내어 고름을 빼내는 방법[癰疽作穴出膿法] 1112
[허리(腰)] 요통을 두루 치료한다[腰痛通治] 1111
[한(寒)] 상한이증(傷寒裏證) 1111
[짐승(獸部)] 우유(牛乳) 양유(羊乳) 마유(馬乳) 낙(酪, 타락) 수(?, 졸인 젖) 제호(醍?) 1110
[잡방(雜方)] 벼룩과 이를 없애는 방법[?蚤?] 1109
[기(氣)] 기(氣)로부터 여러 가지 병이 생긴다[氣爲諸病] 1108
[허리(腰)] 식적으로 허리가 아픈 것[食積腰痛] 1108
[귀(耳)] 허하여 귀가 먹은 것[虛聾] 1107
[담음(痰飮)] 주담(酒痰) 1106
[내상(內傷)] 음식을 먹은 뒤에 정신이 흐릿하고 몸이 노곤한 것[食後昏困] 1106
[오줌(小便)] 오줌이 잘 나오지 않을 때에는 설사를 시켜야 한다[?閉宜瀉] 1105
[한(寒)] 노복증과 식복증[勞復食復證] 1105
[오줌(小便)] 석림(石淋) 1103
[한(寒)] 태양축혈(太陽畜血) 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