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로(虛勞)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한닥터 2011.09.22 조회 수 2602 추천 수 0
◎ 腎虛藥 ○ 腎藏有二左爲腎右爲命門腎屬水水不足則爲陰虛命門屬火火不足則爲陽虛 ○ 腎虛宜用六味地黃元太極丸陰煉秋石丹八味補腎丸冷補丸腎氣丸三一腎氣丸延年益壽不老丹(方見身形)無比山藥元補腎養脾丸 ○ 命門虛宜用八味丸加減八味丸(二方?見五藏)小兎絲子元三味安腎丸九味安腎丸小安腎丸加減內固丸(方見前陰)陽煉秋石丹秋石五精丸增益歸茸元 ○ 腎與命門俱虛宜用玄?固本丸斑龍丹陰陽煉秋石丹茸珠丸

☞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 신(腎)은 둘이 있는데 왼쪽은 신(腎)이고 오른쪽은 명문(命門)이다. 신은 수(水)에 속하였으므로 수가 부족하면 음이 허해진다. 명문은 화(火)에 속하였으므로 화가 부족하면 양이 허해진다. ○ 신이 허한 데는 육미지황원, 태극환, 음련추석단, 팔미보신환, 냉보환, 신기환, 삼일신기환, 연년익수불로단(延年益壽不老丹, 처방은 신형문에 있다), 무비산약원, 보신양비환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명문이 허한 데는 팔미환, 가감팔미환(加減八味丸, 2가지 처방은 5장문에 있다), 소토사자원, 삼미안신환, 구미안신환, 소안신환, 가감내고환(加減內固丸, 처방은 전음문에 있다), 양련추석단, 추석오정환, 증익귀용원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신과 명문이 다 허한 데는 현토고보환, 반룡단, 음양련추석단, 용주환 등을 쓰는 것이 좋다. 

? 六味地黃元 ○ 治虛勞腎氣衰弱久新憔悴寢汗發熱五藏齊損瘦弱虛煩骨蒸?弱脈沈而虛(方見五藏) ○ 此藥專補左尺腎水兼理脾胃少年水虧火旺陰虛之證最宜服之 ○ 凡人年幼被誘慾太早者根本受傷及?賦薄者又?喪之過隱諱不敢實告以致元氣虛憊或遺精盜汗神疲力怯飮食不生肌肉面白五心發熱夏先惡熱冬先?寒腰疼膝重頭暈目眩故曰水一虧則火必勝火動則肺金受剋而痰嗽作矣或勞汗當風面生粉刺則虛損成矣宜服此藥可保無虞[回春]
☞ 육미지황원(六味地黃元) ○ 허로로 신기가 쇠약하여 언제나 얼굴이 초췌해지고 잘 때에 땀이 나며 열이 나는 것과 5장이 다 상해서 여위고 쇠약하며 허번증(虛煩證)이 나며 골증열[骨蒸]이 있어 팔다리가 나른해지고 약하며 맥이 침(沈)하면서 허(虛)한 것을 치료한다(처방은 5장문에 있다). ○ 이 약은 왼쪽 신을 주로 보하면서 겸하여 비위를 조리하는데 젊었을 때에 신수가 줄어들어 화가 왕성하는 음허증(陰虛證)에 먹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 대체로 사람들이 젊은 나이에 너무 일찍 성생활을 하여 정기를 줄어들게 하였거나 또한 타고난 체질이 약한 사람이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여 몹시 약해진 것을 숨기고 똑바로 말하지 않은 데로부터 원기가 더욱 더 허약해졌거나 유정과 식은땀이 나면 정신이 피로하고 권태감이 심하며 음식을 먹어도 살로 가지 않으며 얼굴빛이 희고 가슴과 손발바닥에 번열이 난다. 그리고 여름이면 남보다 더위를 몹시 타고 겨울이면 남보다 추위를 더 타며 허리가 아프고 무릎이 무거우며 머리가 어지럽고 눈 앞이 아찔해진다. 그러므로 신정이 한번 소모되면 심화가 반드시 왕성하게 되며 심화가 동하면 폐금(肺金)이 억제를 받아서 가래가 성하고 기침이 난다. 혹 땀을 흘리면서 노동하다가 바람을 맞아 얼굴에 여드름이 생기면 허손이 되는데 이 약을 먹으면 근심할 것이 없다[회춘]. 

? 太極丸 ○ 治腎虛黃栢二兩六錢(屬木)知母一兩四錢(屬水)破故紙二兩八錢(屬火)胡桃肉一兩二錢(屬金)縮砂五錢(屬土)右爲末蜜丸梧子大空心鹽湯下三五十丸[入門]
☞ 태극환(太極丸) ○ 신이 허한 것을 치료한다. ○ 황백(목(木)에 속한다) 104g, 지모(수(水)에 속한다) 56g, 파고지(화(火)에 속한다) 112g, 호두살(금(金)에 속한다) 48g, 사인(축사, 토(土)에 속한다)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입문]. 

? 陰煉秋石丹 ○ 治虛勞諸般宿疾大能滋陰降火(製法詳見雜方)每取三十丸空心溫酒呑下 ○ 此藥治虛勞羸弱鍼炙不效頭眩腹脹痰喘積年腫滿年少色慾過度未老眼昏膝疼遺泄白濁腰背時痛服之眞還元衛生之寶也如竹器損以竹補之金器損以金補之以人補人眞得其眞此藥能洞入骨體無所不至非惟去疾可以常服有功久病人只數服極爲神效實能再生人也[得效]
☞ 음련추석단(陰煉秋石丹) ○ 허로(虛勞)와 여러 가지로 오래된 병을 치료하는데 음을 세게 불쿠어 주고 화를 잘 내린다(만드는 방법은 잡방에 자세히 있다). 한번에 30알씩 데운 술로 빈속에 먹는다. ○ 이 약은 허로로 몹시 쇠약하여 침뜸으로 효과가 없는 것을 치료한다. 머리가 어지럽고 배가 불러 오르며 담으로 인해 숨이 차고 오랫동안 몸이 붓고 배가 그득하게 불러오른 것을 치료한다. 젊은 나이에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여 늙기도 전에 눈이 어둡고 무릎이 아프며 유정, 몽설과 오줌이 뿌옇고 허리와 잔등이 때때로 아플 때에 먹으면 원기를 잘 회복시키므로 생명을 구원하는데 귀중한 약이다. 이것은 마치 참대그릇이 파손되었으면 참대로 고치고 쇠그릇이 깨졌으면 쇠붙이로 붙이듯이 사람에게도 역시 그런 식으로 이 약을 쓰면 몸에 들어가서 퍼지지 않는 곳이 없으므로 병을 낫게 할 뿐아니라 늘 먹으면 효과가 있다. 오래된 환자도 이 약을 몇 번만 먹으면 신기한 효력이 있으므로 참으로 좋다[득효]. 

? 八味補腎丸 ○ 治虛勞補腎滋陰熟地黃兎絲子各八兩當歸身三兩半肉?蓉五兩山茱萸二兩半黃栢知母?酒炒各一兩破故紙酒炒五錢右爲末酒糊和丸梧子大溫酒或鹽酒呑下五七十丸[丹心]
☞ 팔미보신환(八味補腎丸) ○ 허로를 치료하는데 신을 보하고 음을 불쿠어 준다. ○ 숙지황, 토사자 각각 320g, 당귀 140g, 육종용 200g, 산수유 100g, 황백, 지모(다 술로 축여 볶은 것) 각각 40g, 파고지(술로 축여 볶은 것)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술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을 둔 술로 먹는다[단심]. 

? 冷補丸 ○ 治虛勞腎損或誤服燥熱腎水焦枯口渴目暗耳聾腰痛天門冬麥門冬生乾地黃熟地黃牛膝白芍藥地骨皮石斛玄參磁石沈香各等分右爲末蜜丸梧子大鹽湯下七十丸[入門]
☞ 냉보환(冷補丸) ○ 허로로 신이 허손되거나 성질이 조(燥)하고 열한 약을 잘못 먹어서 신수가 줄어들어 갈증이 나고 눈이 어두워지고 귀가 먹고 허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 천문동, 맥문동, 생건지황, 숙지황, 우슬, 백작약, 지골피, 석곡, 현삼, 자석, 침향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알씩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 腎氣丸 ○ 治虛勞腎損 ○ 六味地黃元一劑加五味子四兩乃滋肺之源以生腎水也[易老] ○ 水泛爲痰之聖藥血虛發熱之神劑又能補肝盖腎肝之病同一治故也[回春]
☞ 신기환(腎氣丸) ○ 허로로 신이 허손된 것을 치료한다. ○ 육미지황환 1제에 오미자 160g을 더 넣은 것이다. 페의 근원을 보해서 신수를 생기게 하는 것이다[역로]] ○ 수기(水氣)가 넘쳐나서 담이 생긴 데와 혈이 허하여 열이 나는데 좋은 약이다. 또한 간을 보해 준다. 그러므로 대개 간(肝)과 신(腎)의 병을 같이 치료하게 된다[회춘]. 

? 三一腎氣丸 ○ 治虛勞補心腎諸藏精血瀉心腎諸藏火濕熟地黃生乾地黃山藥山茱萸各四兩牡丹皮白茯?澤瀉쇄陽龜板各三兩牛膝枸杞子人參麥門冬天門冬各二兩知母黃栢?鹽炒五味子肉桂各一兩右爲末蜜丸梧子大溫酒或鹽湯下七九十丸 ○ 此藥有補有瀉夫五藏藏精血者也精血一虛邪水乘之而爲濕熱補者所以補其精血瀉者所以瀉其濕熱也此方旣有知母黃栢以瀉火茯?澤瀉以?濕尤爲備也 ○ 古方如腎氣丸固本丸補陰丸俱是滋陰補血之劑然固本丸胸滿有痰者忌之補陰丸脾虛有濕者忌之惟腎氣丸專於補腎滋陰而兼理痰濕最爲切當但品味數少不足以盡其變今將三方合而爲一名曰三一腎氣丸其間補瀉兼施庶乎可也[方廣]
☞ 삼일신기환(三一腎氣丸) ○ 허로(虛勞)를 치료하며 심(心)과 신(腎)의 정혈을 보하며 심과 신의 화와 습을 사(瀉)한다. ○ 숙지황, 생건지황, 산약,산수유 각각 160g, 목단피, 백복령, 택사, 쇄양, 귀판@) 각각 120g, 우슬, 구기자, 인삼, 맥문동, 천문동 각각 80g, 지모, 황백(다 소금물로 축여 볶은 것), 오미자 육계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9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 ○ 이 약은 보(補)하기도 하고 사(瀉)하기도 한다. 대체로 5장은 정혈(精血)을 간직하고 있다. 정혈이 한번이라도 약해지면 사기(邪氣)와 수기(水氣)가 침범하여 습열이 생긴다. 그러므로 보한다는 것은 곧 정혈을 보하는 것이고 사한다는 것은 곧 습열을 사하는 것이다. 이 처방에 있는 지모와 황백은 화를 누르고 복령과 택사는 습기를 잘 내보낸다. ○ 옛 처방에는 "신기환, 고본환, 보음환 같은 것들은 다 음을 불쿠어주고 혈을 보하는 약이다. 그러나 고본환은 가슴이 그득하고 담이 있으면 쓰지 말아야 한다. 보음환은 비가 허하고 습기가 있으면 쓰지 말아야 한다. 오직 신기환만이 신을 보하고 음을 불쿠어 줄 뿐아니라 겸해서 습담을 치료하는데 가장 적당하다. 그렇지만 약종이 적고 양이 적어서 제작용을 다 하지 못한다. 그래서 지금 3가지 처방을 합쳐서 만들었기 때문에 일명 삼일신기환이라고 한다. 삼일신기환은 보하고 사하는 작용이 다 있다"고 씌어 있다[방광]. 

? 無比山藥元 ○ 治虛勞補腎益精血五味子六兩肉?蓉四兩兎絲子杜?各三兩山藥二兩赤石脂茯神山茱萸巴戟牛膝澤瀉熟地黃各一兩右爲末蜜丸梧子大溫酒或米飮下七九十丸 ○ 服此藥七日後身輕體潤面光手足煖音聲淸亮是其驗也十日後長肌肉通中入腦鼻必酸疼勿怪[局方]
☞ 무비산약원(無比山藥元) ○ 허로를 치료하며 신과 정혈을 보한다. ○ 오미자 240g, 육종용 160g, 토사자, 두충 각각 120g, 산약@) 80g, 적석지, 복신, 산수유, 파극, 우슬, 택사, 숙지황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90알씩 데운 술이나 미음으로 먹는다. ○ 이 약을 먹고 나서 7일이 지나면 몸이 가볍고 몸과 얼굴에 기름기가 돌고 윤기가 나며 손발이 따뜻해지고 목소리가 맑아지는 것을 경험하였다. 10일 후면 몸에 살이 오르고 약기운이 코로 해서 뇌로 들어가기 때문에 코가 반드시 시큰거리며 아플 수 있다. 이것을 이상하게 생각할 것은 없다[국방]. 

? 補腎養脾丸 ○ 治虛勞諸證熟地黃薑汁浸二兩肉?蓉人參黃?蜜炙白朮當歸酒洗白茯?山藥各二兩杜?炒破故紙炒牛膝酒洗五味子各一兩半知母黃栢?酒炒白芍藥各一兩肉桂沈香各七錢半甘草炙五錢右爲末蜜丸梧子大溫酒或米飮下百丸[北窓]
☞ 보신양비환(補腎養脾丸) ○ 허로로 생긴 여러 가지 증상을 치료한다. ○ 숙지황(생강즙에 담갔다 낸 것), 육종용, 인삼, 황기(봉밀을 발라 볶은 것), 백출, 당귀(술로 씻은 것), 백복령, 산약@) 각각 80g, 두충(볶은 것), 파고지(볶은 것), 우슬(술로 씻은 것), 오미자 각각 60g, 지모, 황백(다 술로 축여 볶은 것), 백작약 각각 40g, 육계, 침향 각각 30g, 감초(볶은 것)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데운 술이나 미음으로 먹는다[북창]. 

? 小兎絲子元 ○ 治虛勞腎損陽氣衰少小便滑數兎絲子五兩山藥(內七錢半作糊)蓮肉各二兩白茯?一兩右爲末山藥糊和丸梧子大溫酒或鹽湯下七九十丸[局方]
☞ 소토사자원(小兎絲子元) ○ 허로로 신이 허손되고 양기가 부족하여 오줌이 잦은 것을 치료한다. ○ 토사자 200g, 산약(80g 중에서 30g은 풀을 쑨다), 연실(연육) 각각 80g, 백복령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마를 넣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9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국방]. 

? 三味安腎丸 ○ 治下虛腎氣不得歸元變見諸證用此補腎令其納氣破故紙茴香?炒乳香各等分右爲末蜜丸梧子大鹽湯下三五十丸[入門]
☞ 삼미안신환(三味安腎丸) ○ 하초(下焦)가 허하여 신기가 제자리로 돌아오지 못해서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은 신을 보하여 신기를 잘 돌아오게 한다. ○ 파고지, 회향(다 볶은 것), 유향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 九味安腎丸 ○ 治腎虛腰痛目眩耳聾面黑羸瘦(方見腰部)
☞ 구미안신환(九味安腎丸) ○ 신허(腎虛)로 허리가 아프고 눈이 어지러우며 귀가 먹고 얼굴이 검어지고 몸이 여윈 것을 치료한다(처방은 허리문에 있다). 

? 小安腎丸 ○ 治虛勞腎氣冷憊夜多?濁漸覺羸瘦面黑目暗耳鳴牙齒?痛香附子川練子各半斤用鹽二兩水二升同煮候乾?焙茴香炒六兩熟地黃四兩川烏?川椒炒各二兩右爲末酒糊和丸梧子大空心鹽湯或溫酒任下三五十丸[得效]
☞ 소안신환(小安腎丸) ○ 허로증으로 신기가 몹시 차서 밤에 오줌이 자주 나오고 뿌여면서 맑지 못하며 점점 몸이 여위어 가고 얼굴이 검어지며 눈이 어둡고 이명(耳鳴)이 있고 이가 벌레 먹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향부자, 고련자(천련자) 각각 300g(소금 80g을 물 2되에 함께 넣고 마르도록 달인 다음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회향(볶은 것) 240g, 숙지황 160g, 오두(싸서 구운 것), 산초(천초, 볶은 것) 각각 8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술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소금 끓인 물이나 데운 술로 빈속에 먹는다[득효]. 

? 陽煉秋石丹 ○ 治虛勞諸般冷疾久年腎虛勞損久服壯陽起?臍下如火此藥能洞入骨髓壯陽補陰眞還元衛生之寶也故一名元陽秋石丹一名還元丹(製法詳見雜方) ○ 每取三十丸空心以溫酒呑下[得效]
☞ 양련추석단(陽煉秋石丹) ○ 허로로 생긴 여러 가지 냉병과 오래된 신허(腎虛)와 노손(勞損)을 치료한다. 오랫동안 먹으면 양기를 든든하게 하고 음경을 일어나게 하며 배꼽아래가 몹시 더워진다. 이 약은 골수에 들어가서 양기를 든든하게 하고 음을 보하며 원기를 잘 회복시키므로 생명을 구원하는 데 귀중한 약이다. 때문에 일명 원양추석단 또는 환원단(還元丹, 만드는 방법은 잡방에 있다)이라고도 한다. ○ 한번에 30알씩 데운 술로 빈속에 먹는다[득효]. 

? 秋石五精丸 ○ 治虛勞腎虛陽衰蓮肉六兩白茯?二兩秋石一兩川椒茴香?微炒各五錢右爲末以人乳汁和丸梧子大溫酒或米飮下五七十丸[必用]
☞ 추석오정환(秋石五精丸) ○ 허로로 신이 허하고 양이 약해진 것을 치료한다. ○ 연실(연육) 240g, 백복령 80g, 추석 40g, 산초(천초), 회향(다 약간씩 볶은 것)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젖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미음으로 먹는다[필용]. 

? 增益歸茸元 ○ 治虛勞腎衰補精血養陽氣熟地黃鹿茸五味子大當歸各四兩山藥山茱萸大附子?牛膝酒浸肉桂各二兩白茯?牡丹皮澤瀉酒浸一宿各一兩右爲末用鹿角膠半斤?入石器中入酒少許熔化和丸梧子大空心溫酒或鹽湯下五七十丸一法膠作末酒和作丸亦可[得效]
☞ 증익귀용원(增益歸茸元) ○ 허로로 신이 약해진 것을 치료하는데 정혈을 보하고 양기를 도와준다. ○ 숙지황, 녹용, 오미자, 당귀(큰 것) 각각 160g, 산약,산수유, 부자(큰 것으로 싸서 구운 것), 우슬(술에 담갔다 낸 것), 육계 각각 80g, 백복령, 목단피, 택사(술에 하룻밤 담갔다 낸 것) 각각 4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낸다. 녹각교 300g을 썰어서 돌그릇에 넣고 술을 조금 두고 녹여서 앞의 가루약과 함께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소금 끓인 물이나 데운 술로 빈속에 먹는다. 어떤 처방에는 녹각교를 가루내어 술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고 하였다[득효]. 

? 玄?固本丸 ○ 治虛勞下元衰弱能滋陰助陽兎絲子一斤酒製取淨末八兩熟地黃生乾地黃天門冬麥門冬五味子茯神各四兩山藥微炒三兩蓮肉人參枸杞子各二兩右爲末蜜丸梧子大溫酒或鹽湯下八九十丸[丹心]
☞ 현토고본환(玄?固本丸) ○ 허로로 하초의 원기가 쇠약한 것을 치료하는데 음을 불쿠어 주고 양기를 도와준다. ○ 토사자(600g을 술로 법제하여 깨끗한 것으로 가루를 낸 것) 320g, 숙지황, 생건지황, 천문동, 맥문동, 오미자, 복신 각각 160g, 산약(약간 볶은 것) 120g, 연실(연육), 인삼, 구기자 각각 8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80-9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단심]. 

? 斑龍丹 ○ 治虛勞補腎藏氣血精延年益壽(方見身形) [正傳]
☞ 반룡단(斑龍丹) ○ 허로증을 치료하는데 신기와 정혈을 보하고 오래 살게 한다(처방은 신형문에 있다)[정전]. 

? 茸珠丸 ○ 治虛勞腎損兼補命門陽衰鹿茸鹿角霜鹿角膠熟地黃當歸各一兩半肉?蓉酸棗仁黃?栢子仁各七錢陽起石?附子?辰砂水飛各三錢右爲末以酒?糊和丸梧子大以溫酒或鹽湯下七九十丸[丹心]
☞ 용주환(茸珠丸) ○ 허로로 신이 허손된 것을 치료한다. 겸하여 명문(命門)의 양기가 쇠약한 것을 보한다. ○ 녹용, 녹각상, 녹각교, 숙지황, 당귀 각각 60g, 육종용, 산조인, 황기, 백자인 각각 28g, 양기석(달군 것), 부자(싸서 구운 것), 주사(수비한 것) 각각 12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술을 두고 쑨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9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단심]. 

? 陰陽煉秋石丹 ○ 治虛勞陰陽俱虛取陽煉陰煉朝夕各一服服法見上須二藥相兼服[得效]
☞ 음양련추석단(陰陽煉秋石丹) ○ 허로로 음양이 다 허약한 것을 치료한다. 양련추석단과 음련추석단을 아침 저녁으로 각각 한번씩 먹는다. 먹는 법은 위에 씌어 있다. 반드시 2가지 약을 겸해 먹어야 한다[득효].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 두부 불청감 전신 쇠약 등의 환자에게 지백지황환 후 호전 사례 by 봉지
  2. 저널 특발성 파킨슨병·파킨슨증후군 환자 7례의 치료경과사례 고찰 by 한닥터
  3. 저널 다낭성난소증후군으로 인한 무월경, 희발월경 환자 20명의 증례 보고 by 한닥터
  4. 임상 경험방 당뇨 by 한닥터
  5. 임상 경험방 치질 by 한닥터
  6. 임상 경험방 요통 by 한닥터
  7. 임상 경험방 안면홍조 by 한닥터
  8. 임상 경험방 소변-임병 by 한닥터
  9. 임상 경험방 우울 by 한닥터
  10. 임상 경험방 by 한닥터
  11. 회원임상례 [등업용] 80대 할아버지 통풍 치험례 by 동명사 *2
  12. 방약합편 HH78 六味地黃元(육미지황원) by 한닥터
  13. 방약합편 293. 太極丸(태극환)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말을 늦게 하고 걸음마가 늦는 것[語遲行遲]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숫구멍이 아물지 않는 것[解?]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주마감(走馬疳)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경풍을 치료한 경험[驚風治驗] by 한닥터
  18. 동의보감 신은 허한 것을 주관한다[腎主虛] by 한닥터
  19. 동의보감 간은 풍을 주관한다[肝主風] by 한닥터
  20. 동의보감 자림(子淋) by 한닥터
  21. 동의보감 신장풍창(腎臟風瘡) by 한닥터
  22. 동의보감 염창(?瘡) by 한닥터
  23. 동의보감 인면창(人面瘡) by 한닥터
  24. 동의보감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by 한닥터
  25. 동의보감 치료하기 어려운 증[不治證] by 한닥터
  26. 동의보감 소갈에는 3가지가 있다[消渴有三] by 한닥터
  27. 동의보감 천식이나 기침으로 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은 신이 허하기 때문이다[喘嗽上氣出於腎虛] by 한닥터
  28. 동의보감 밤에 나는 기침[夜嗽] by 한닥터
  29. 동의보감 허로에 조리하는 약[虛勞調理藥] by
  30. 동의보감 허로증을 두루 치료하는 약[虛勞通治藥] by
  31. 동의보감 양이 허한 데 쓰는 약[陽虛用藥] by
  32. 동의보감 음경과 음낭이 찬 것[陰冷] by 한닥터
  33. 동의보감 수염과 머리털이 길어지거나 마르는 것[鬚髮榮枯] by 한닥터
  34. 동의보감 신허로 허리가 아픈 것[腎虛腰痛] by 한닥터 *1
  35. 동의보감 이빨이 흔들리는 것[牙齒動搖] by 한닥터
  36. 동의보감 허하여 귀가 먹은 것[虛聾] by 한닥터
  37. 동의보감 하나의 물건이 둘로 보이는 것[視一物爲兩] by 한닥터
  38. 동의보감 눈곱이 나오는 것[眼生眵糞] by 한닥터
  39. 동의보감 음경 속이 가렵거나 아픈 것[莖中痒痛] by 한닥터
  40. 동의보감 적탁과 백탁[赤白濁] by 한닥터
  41. 동의보감 냉림(冷淋) by 한닥터
  42. 동의보감 오줌을 참지 못하는 것[小便不禁] by 한닥터
  43. 동의보감 신병을 치료하는 방법[腎病治法] by 한닥터
  44. 동의보감 담음을 치료하는 방법[痰飮治法] by 한닥터
  45. 동의보감 음낭 부위에서 땀이 나는 것[陰汗] by 한닥터
  46. 동의보감 피오줌[尿血] by 한닥터
  47. 동의보감 단기(短氣) by 한닥터
  48. 동의보감 정을 보하는 약[補精藥餌] by 한닥터
  49. 동의보감 노인의 병을 치료하는 법[老人治病] by 한닥터
  50. 동의보감 병들지 않게 하며 건강하고 오래 살게 하는 약[養性延年藥餌] by 한닥터

1개의 댓글

Profile
웅이아빠
2016.09.01

夜多?濁


夜多遺尿

제목 조회 수
[내상(內傷)] 단방(單方) 572
[내상(內傷)] 침뜸치료[鍼炙法] 488
[허로(虛勞)] 허로병의 원인[虛勞病源] 1206
[허로(虛勞)] 허로증(虛勞證) 1081
[허로(虛勞)] 맥 보는 법[脈法] 803
[허로(虛勞)] 5로증(五勞證) 896
[허로(虛勞)] 6극증(六極證) 686
[허로(虛勞)] 7상증(七傷證) 726
[허로(虛勞)] 몸에는 양이 실하고 음은 부족하다[人身陽有餘陰不足] 945
[허로(虛勞)] 기허, 혈허, 양허, 음허의 감별[辨氣虛血虛陽虛陰虛] 1858
[허로(虛勞)] 허로 때의 치료법[虛勞治法] 1083
[허로(虛勞)] 음이 허한 데 쓰는 약[陰虛用藥] 3123
[허로(虛勞)] 음이 허하여 갑자기 기절한 것을 치료하는 법[陰虛暴絶治法] 781
[허로(虛勞)] 양이 허한 데 쓰는 약[陽虛用藥] 1292
[허로(虛勞)] 음과 양이 다 허한 데 쓰는 약[陰陽俱虛用藥] 1 2573
[허로(虛勞)] 심이 허한 데 쓰는 약[心虛藥] 1327
[허로(虛勞)] 간이 허한 데 쓰는 약[肝虛藥] 1440
[허로(虛勞)] 비가 허한 데 쓰는 약[脾虛藥] 1040
[허로(虛勞)] 폐가 허한 데 쓰는 약[肺虛藥] 982
[허로(虛勞)]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1 2602
[허로(虛勞)] 허로증을 두루 치료하는 약[虛勞通治藥] 2475
[허로(虛勞)] 허로에 조리하는 약[虛勞調理藥] 1709
[허로(虛勞)] 허로를 치료하는 갈가구의 10가지 약[葛可久治虛勞十藥] 1 1298
[허로(虛勞)] 허로에 살 수 있는 증과 죽을 수 있는 증[虛勞生死證] 649
[허로(虛勞)] 허로증에 대맥이 나타나는 것[虛勞脈代證] 836
[허로(虛勞)] 전궐증(煎厥證) 792
[허로(虛勞)] 해역증(解?證) 955
[허로(虛勞)] 주하병(注夏病) 1012
[허로(虛勞)] 이양병(二陽病) 763
[허로(虛勞)] 치료하기 어려운 증과 치료할 수 없는 증[難治不治證] 843